지겟츠, SMAP(Smart Messaging Application Platform) 개발

서울--(뉴스와이어)--스마트폰에서 Application을 받는 방법은 2가지 방법을 가지고 있다.

제조사및 이통사에서 운영하는 AppStore를 이용하는 방법과 Internet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이다. 이동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AppStore는 제조사에 비해 경쟁이 되지 않는 실정이다. 다른 방법으로 수익 구조을 찾아야 하지만 제조사에 밀려 전세계 이동통신 및 일반 사업자들의 수익 구조는 길 잃은 양과 같은 실정이다. Application Download 서비스로서 수익구조를 가지는 반면 SMAP(Smart Messaging Application Platform)은 다양한 서비스를 런칭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스마트폰에서 여러 신사업을 주도 할 수 있는 플렛폼이다.[그림-1 AppStore와 SMAP 서비스 비교참조]

게임/방송

슈팅, 아케이드, MMORPG 등 다양한 장르에서 채팅 및 문자 메시지를 통해 서로의 의견을 주고 받고 있다. 하지만 정작 Offline과 연동되어지는 솔루션은 몇가지가 없다. MO(Mobile Originated) 또는 Virtual Phone Number(가상전화번호)를 통해서 Online과 Offline의 소통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활용도 및 가격적 측면에서 사용량이 많지 않으며, 특정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고 되고 있다. 특히 방송에서는 시청자/청취자들에게 요금부가하며 서비스를 지속하고 있다. SMAP는 채팅 중 Offline인 사용자를 호출하고 싶을 때 단문 메시지를 통하여 사용자를 호출하며, SMAP에 탑재된 Chatting Module이 구동되며, 호출한 Chatting 서버로 연결된다. 아이템 거래뿐만 아니라 SNG(Social Network Game)에서 지향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구현 가능하다.([그림-2] SMAP 서비스 구조 참조)

금융(은행/증권)

단문 메시지(SMS)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결재 내역 및 정보를 문자로 전송해 주고 있다. 단문 메시지의 글자 제한(80Bytes)으로 인한 표현의 한계가 있다.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는 가격문제로 인한 무료서비스로서는 힘든 부분이 있다. 또한 보안 문제 등이 뒷받침 되어야 할 서비스는 웹사이트 및 개별 App을 통해 서비스를 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불편한 점들이 있다. 단문 메시지를 받고 확인 후, App을 찾아 구동해야 하며, 해당 내용을 찾아가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SMAP에 탑재된 은행/증권 모듈을 사용하게 되면, 메시지를 받은 후, 카드 사용 내역 및 증권거래 알람 기능을 이용한 “One Click” 거래도 가능하게 된다.

기업 전자결재

삼성 및 LG, KT 등 대기업에서는 사내 전자결재 시스템을 모바일과 연동 서비스 하고 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직원들은 대부분 출장 및 외근을 하는 분야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일일이 접속하여 확인 후 결재 하는 불편함이 있다. 스마트폰에서도 거대 사내 전자결재 시스템을 수용하고 있으며, 할 준비를 하고 있다. SMAP는 사내 전자결재 시스템에 결재가 올라오면 메시지를 받아, Non-Stop으로 전자결재 시스템과 연동하여 결재만 신속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신속히 처리를 요하는 부분에서는 탁월한 기능을 제공한다.

교육(학교/학원)/관공서

수학여행을 가기 위해 가정통신문을 부모님께 가져다 드린적이 있거나 아이들로부터 받은 적이 있을것이다. 또한 관공서에 민원을 넣었지만 언제 처리되었는지 알 수가 없다. 물론 친철한 민원센터에서 담당자가 연락을 주는 경우가 많다. 처리 결과 내용은 인터넷으로 접속해서 확인을 해야만 한다. SMAP은 통보형태의 메시지를 통해 처리 또는 처리내용을 간단히 확인 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댓글도 바로 가능하다.

현재 많은 관공서에서 제기한 민원에 대해 처리진행상황을 SMS로 공지해주지만 처리 결과 내용을 인터넷으로 직접 접속해서 확인을 해야만 하는 등 즉시성이 떨어진다. SMAP에서는 기존 SMS에 즉시성을 부여하고 동시에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편적인 정보전달이 아닌 양방향성을 제공하여 즉각적인 정보 수집 또한 가능하다.

광고/결재

광고 시장이 스마트폰으로 넘어 오면서 많이 쇄퇴하고 있다. 스팸의 구분이 모호한 구조적 문제도 있겠지만 SMS/MMS 서비스를 통한 광고는 회수율과 비용적 측면에서 경제성이 떨이지고 있다. URL 링크로 인한 광고는 단순 웹사이트 방문 수준으로 끝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방안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SMAP은 단문 메시지를 통해 광고 모듈을 구동하거나, 광고 App의 Download 등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서비스 구성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에서 전자결재 문제는 해결 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 있다. 결재 방식의 새로운 방식으로 SMAP 자체에서 결재 정보를 핸들링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단문 메시지를 전자결재 Key로 사용하며, 카드정보를 분산 저장하여 인증기관를 통한 보안 기능 및 편리성에 강점이 있다. 핸드폰 분실 및 해킹 프로그램의 설치로 인한 해킹이더라도 결재 정보 및 카드정보에 대해서 알 지 못하도록 처리시 입력 단계가 없으며, 모든 결재 정보는 분산처리 설계 되어있다.

모바일 광고 시장은 스마트폰 및 모바일 인터넷의 대중화로 급 성장하고 있다. 기존의 SMS는 타켓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편적이고 단방향성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스팸이라는 거부감이 때문에 효과 및 경제성이 떨어진다. SMAP에서는 기존 SMS를 통해 광고 모듈을 구동하거나 광고 App 다운로드하여 양방향성, 참여유도형 광고로 전환 및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서비스 구성이 가능하다.

SMAP의 활용 범위는 기존의 WAP 서비스를 기본 모델로 하고 있으며, 이것을 App 서비스로 전환한 것이다. CP(Contents Provider)들이 원하는 다양한 모델들을 수용 할 수 있으며, 서비스 진행중 SMAP에서 1단계 보안 체크를 하므로, 개인이 직접 설치 하는 것 보다 보안 적인 측면에서도 뛰어나다. ([그림-3] 서비스 제공 방식 참조)

개인정보 유출은 특정 Application에서 전화번호 및 하드웨어 정보, 비밀번호, 이메일 내용 등이 타인에게 유출 되는것이다. SMAP는 이러한 Application을 그룹화 하여 서비스 하는 플랫폼으로서, 스마트폰에서의 보안 및 수익 구조를 찾지 못하는 국내외 사업자들에겐 희소식이라 하겠다.

이 솔루션은 벤처기업 지겟츠(www.zgets.com)에서 개발하였으며, 상용화 준비를 위해 전력 질주 하고 있다. 지겟츠(www.zgets.com, 대표이사 권형근)는 2006년11월10일 창립된 App 개발, ARS/IVR 서비스, SI 등 전문기업이다.

웹사이트: http://www.zgets.com

연락처

지겟츠 경영지원팀
차장 이성숙
02-566-4014

이 보도자료는 지겟츠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