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새로운 기회, 서(西) 중국의 부상’
2000년대 들어‘서부대개발’을 계기로 중국 정부의 지역발전 정책의 무게중심이 서부지역으로 이동하였다. 특히, 최근 중국의 주력 경제중심지인 동부지역의 생산비용 상승과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서부지역에 대한 정부의 투자 확대로 인해 이 지역이 중국경제의 새로운 성장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 서부지역의 특징적 변화
(주요 성과) 과거 10년 간 중국 정부의‘서부대개발계획’추진으로 2000~2009년 동안 서부지역의 연평균 GDP 증가율은 11.9%로 동기간 전국 평균 GDP 증가율을 2%p나 상회하였다. 또한 교통 인프라가 크게 확충되었으며 주민소득은 2.5배나 증가하였다.
(서부지역 특징적 변화) ① (물류 환경) 서부지역의 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물류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2000~2008년 동안 중국 서부지역의 물동량은 연평균 9.4%씩 증가하여 동기간 전국 평균 물동량 증가율을 1%p 이상 상회하였다. 또한 서부지역의 화물운송효율(지역총생산÷물류량)은 연평균 8.9%씩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② (생산비용) 서부지역은 인건비와 토지가격 측면에서 동부지역에 비해 비교우위를 보이고 있다. 2009년 기준 서부지역의 최저임금 수준은 전국 평균에 비해 13%가 낮으며, 토지가격은 전국 평균 지가에 비해 16%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③ (소비시장) 서부지역의 소비시장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00~2008년 동안 중국 서부지역의 소비시장 규모는 3.2배(전국의 17.7%)나 확대되어 경제권역별로는 장강삼각주와 환발해만에 이어 3위로 부상하였다.
④ (투자유치 정책) 중국 정부는 서부지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투자유치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서부지역 투자기업들에 대해 법인세율을 15%로 적용(동부지역은 25%)하는 한편, 토지사용권의 유효기간, 양도가능여부 및 금융권 대출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시사점과 대응방안
(시사점) 중국 서부지역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진출이 크게 늘고 있는 데 반해 국내기업들의 진출은 미약한 수준이다. 2000~2008년 동안 중국 서부지역에 대한 전 세계의 FDI는 3배 이상 급증하였으며, HP, Intel, GE, Maersk 등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서부지역으로 생산·물류 거점을 이전하였다. 반면, 국내기업들의 대 중국 투자는 주로 동부지역에 편중(한국의 對中 투자 중 서부지역 비중은 1%에 불과)되어 있어 중국 서부지역 진출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할 필요가 있다.
(대응방안) 중국 서부시장 부상에 대응하여 기업들은 첫째, 유라시아 대륙 진출의 전진기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중국 서부지역에 생산·물류 거점 구축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물류상의 제약으로 글로벌기업들의 진출이 미흡했던 서부지역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현지 업체와의 제휴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셋째, 정부도 중국 서부지역의 교통, 환경 인프라 분야에 대한 국내기업의 진출을 위해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에 주력해야 한다. 넷째, 급속한 개발로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환경규제 강화 정책이 예상되는 중국 서부 지역에서 생태보전, 식수(植樹)를 포함한 CDM 사업을 적극 전개해야 한다. [이만용 연구위원]
*위 자료는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일부 입니다. 언론보도 참고자료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hri.co.kr
연락처
현대경제연구원 이만용 연구위원
02-2072-6237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