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의 결실, 서울 대표 뮤지컬 ‘피맛골 연가’ 9/4일 첫 공연
대중이 가장 좋아하는 장르인 대형 뮤지컬은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고 성공에 대한 위험 부담이 커, 공연기획사들이 창작제작을 꺼려하는 실정으로 대부분 해외 유명작품이 공연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서울시는 한국적이고도 서울을 알릴 수 있는 뮤지컬 제작을 위해 대본과 작곡을 심사하여 <열하일기만보>로 ‘동아연극상’과 ‘대산문학상’을 수상한 배삼식 작가, <싱글즈>, <형제는 용감했다>, <영웅을 기다리며>로 최근 흥행작품의 뮤지컬 넘버를 만드는 작곡가 장소영씨를 선정하고 수차례의 트리트먼트 작업을 거쳐 금년 2월에 작품창작을 완료하였다.
뮤지컬 ‘모차르트’의 유희성 연출과 뮤지컬 ‘뷰티풀 게임’의 이란영 안무로 작품을 제작하여 9월 4일(토)부터 9월 14일(화)까지 총12회의 막을 올린다.
《세계인이 공감하는 러브스토리, 탄탄하게 전개》
‘피맛골 연가’는 세계적인 뮤지컬 ‘캣츠’, ‘오페라의 유령’ 등이 문화적 차이에 무관하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를 배경으로 하였듯이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사랑이야기를 주요 소재로 다뤘다.
조선시대 경성 ‘피맛골’을 배경으로 서출 출신의 김생과 사대부 여인 홍랑의 애틋하고 감동적인 사랑이야기를 탄탄한 구성과 전곡에 흐르는 국악과 양악의 감동적인 음악으로 다뤘다.
‘피맛골 연가’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창작작품을 심사하고 작가와 작곡가를 선정하였으며 창작결과에 대한 전문가들의 자문과 시민평가단의 평가를 수렴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서울시와 세종문화회관은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8명의 작가와 작곡가를 지명 선정하고 시놉시스와 음악을 심사하여 배삼식 작가와 장소영 작곡가를 최종 선정하였으며 작품 초안과정에서부터 창작발표회까지 전문가와 시민평가단의 참여를 통하여 작품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서울시관계자는 올 가을 초연공연에 대한 관객과 전문가의 평을 수렴하여 작품을 지속적으로 보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디션을 통한 캐스팅, 화려한 무대와 웅장한 오케스트라》
‘피맛골 연가’의 초연공연에 실력 있는 캐스트 선정을 위해 오디션을 통해 ‘행매’역에 국보급 배우 양희경, ‘김생’역에 시원한 가창력의 박은태, ‘홍랑’역에 연기력과 가창력을 인정받은 조정은을 선정하였다.
지난 5월 충무아트홀에서 개최된 오디션을 통해 <피맛골 연가>의 중심축 역할을 할 행매역의 베테랑 배우 양희경은 이 공연을 통해 다채로운 매력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강변가요제 출신의 박은태는 ‘모차르트’, ‘사랑은 비를 타고’, ‘햄릿’ 등에서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로미오와 줄리엣>, <미녀와 야수>에서 2년간의 영국 유학 후 무대 복귀작 <로맨스, 로맨스>를 통해 연기력을 인정받은 조정은이 홍랑역을 맡는다.
그밖에 오디션을 통해 선정된 임현수, 오소연, 이승원외 뮤지컬배우 50여명이 ‘피맛골’ 등 시원한 합창을 선사하며 익살과 재미를 더한다.
조선시대 유가행렬, 전통과 현대가 가미된 화려한 의상, 26인조 대형 오케스트라 라이브 연주로 웅장하게 표현될 음악은
해금, 피리, 태평소, 가야금 등 국악이 가미된 퓨전오케스트라로 국제적인 감각과 독창적인 우리의 정서를 잘 살려 줄 것으로 기대된다.
《대형뮤지컬 5만원으로 VIP석 관람》
서울시는 시민 및 서울을 찾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부담 없이 ‘피맛골 연가’를 즐길 수 있도록 티켓가격을 기존 대극장 뮤지컬 보다 50%이상 대폭 낮추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대형 뮤지컬시장의 높은 가격 책정으로 일반시민들이 뮤지컬을 관람하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여 공연티켓 가격을 대폭 낮추었으며, 가족 관람객을 위한 패밀리패키지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하여 시민들의 관람을 확대할 계획이며 이번 책정 가격이 유난히 비싼 뮤지컬시장의 티켓 가격을 전반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피맛골 연가’를 서울시민 및 국내외관광객들이 꼭 보고픈, 봐야 할 뮤지컬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작품을 보완하고 업그레이드 할 예정이며 2011년 지방공연에 이어 2012년에는 해외마케팅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한다.
자세한 공연정보는 공식카페(http://cafe.daum.net/pimagollovesong)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문화국
문화예술과장 엄연숙
2171-2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