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4월 수출 230억불 기록 (4월 확정치)

대전--(뉴스와이어)--‘05년 4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6.9% 증가한 22,967백만불, 수입은 12.5% 증가한 21,178만불로, 무역수지는 865백만불 감소한 1,789백만불 흑자 기록

수출은 환율 하락·고유가등 불리한 여건하에서도 화공품·기계류와정밀기기 등이 수출 증가세를 이어갔고, 지역별로는 중국·EU·중남미가 전체 수출을 주도하여 230억불을 기록하였으나, 지난2월에 이어 다시 수출증가율이 10%밑으로 하락

수입은 원자재 및 자본재의 수입이 증가하였고, 품목별로는 원유·철강재·화공품의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는 중국·중동으로부터의 수입이 크게 증가하여 212억불 기록

무역수지는 수출의 지속적인 증가에 힘입어 ‘03.4월이후 25개월 연속으로 흑자를 유지하였고, 수입증가로 인하여 흑자 폭이 소폭이긴 하나 전월에 비해 다소 증가함.

1. 수출 동향

`05. 4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6.9% 증가한 230억불을 기록

성질별로는 원료 및 연료(19.3%)와 중화학공업품(10.9%)은 증가세를 이어간 반면, 경공업품(△19.5%) 및 식료 및 직접소비재(△2.1%)는 감소세 시현

중화학공업품은 화공품(28.2%), 기계류와 정밀기기(26.9%), 승용차(23.6%)수출이 크게 증가하였고, 철강 및 금속제품(22.6%), 반도체(6.6%)도 증가세 유지. 다만, 가전제품(△17.4%)은 3개월 연속 감소

원료 및 연료는 석유제품(17.2%) 수출이 증가
경공업품은 금(△98%)수출이 ‘04년 10월 이후로 감소세 지속

경제권역별로는 對선진국(6.5%) 및 對개도국(7.2%)수출 모두 증가

4월 수출은 환율 하락·고유가등 불리한 여건 하에서도 화공품, 기계류와 정밀기기, 철강 및 금속제품, 승용차, 반도체등이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며 230억불을 기록하였으나, 지난2월에 이어 증가율이 또다시 10%밑으로 하락

품목별로는 화공품(28.2%), 기계류와 정밀기기(26.9%), 철강 및 금속제품(22.6%), 승용차(23.6%)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고 석유제품(17.2%), 무선통신기기(10.6%), 반도체(6.6%)등도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나, 컴퓨터·주변기기(-28.2%), 가전제품(-17.4%), 의류(-18.6%)등의 수출은 감소

월별로는 전월(23,980백만불)에 비해 총수출액이 1,014백만불(4.2%) 감소하였고 주요 수출품목도 모두 전월보다 감소하였으며, 특히 기계류와 무선통신기기가 전월보다 3억불 감소

《 주요 수출품목 월별 수출금액(억불) 》
· 반도체 : (‘05.1월) 24 → (2월) 23 → (3월) 25 → (4월) 24
· 무선통신기기 : (‘05.1월) 18 → (2월) 16 → (3월) 19 → (4월) 16
· 승용차 : (‘05.1월) 24 → (2월) 18 → (3월) 26 → (4월) 25
· 기계류 등 : (‘05.1월) 20 → (2월) 20 → (3월) 27 → (4월) 24

경제권역별로는 중국, 중남미로의 수출 호조로 對개도국 수출이 상대적 증가

’05.4월 수출 증감율 : 대개도국 : 7.2%. 대선진국 : 6.5%

지역별로는 캐나다, CIS로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고, 주요 수출상대국인 중국, EU로의 수출도 호조를 보임. 다만, 동남아로의 수출은 4개월 연속 감소하였고, 미국수출도 소폭감소

- 對중국 수출 증감률 : (’05.1월) 35.0% → (2월) 10.6% → (3월) 26.8% → (4월) 20.8%
- 對미국 수출 증감률 : ('05.1월) 31.7% → (2월) -4.9% → (3월) 10.2% → (4월) -2.2%
- 對 EU 수출 증감률 : ('05.1월) 36.3% → (2월) 5.3% → (3월) 18.1% → (4월) 13.6%
- 對동남아 수출 증감률 : ('05.1월) -3.7% → (2월) -10.6% → (3월) -4.9% → (4월) -11.5%

2. 수입동향

`05. 4월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12.5% 증가한 212억불을 기록

용도별로는 원자재(26.6%)와 자본재(4.0%)는 증가한 반면 소비재(-14.6%)는 감소세 시현

지역별로는 對개도국(20.7%) 및 對선진국(4.3%) 모두 증가

4월 수입은 수송장비 및 정보통신기기 등 자본재 및 원유 및 철강재등 원자재 수입 증가로 인하여 212억불 기록

소비재 수입은 7개월 연속 감소하였으나 자본재수입은 지난달에 이어 증가하였고 원자재수입도 꾸준한 증가세임

품목별로는 원유(43.2%), 철강재(34.9%), 연료(38.5%), 화공품(27.8%)의 수입이 증가하였고, 승용차(26.9%), 골프용품(45.9%)등도 증가

원자재 수입은 고유가 및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27%증가

원유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도입단가(45.9%, 15.2불/배럴 상승)가 크게상승하여 도입물량(-1.8%, 116만배럴 감소)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입금액은 43.2%, 919백만불 증가

자본재 수입은 수송장비, 정보통신기기등 수입증가로 4.0% 증가

소비재 수입은 전월에 이어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14.6% 감소

지역별로는 對중국 ·중동 수입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입 증가를 주도

※ 對중국 수입 증감률 : (’05.1월) 47.5% → (2월) 33.2% → (3월) 60.1% → (4월) 37.9%
※ 對미국 수입 증감률 : (’05.1월) 34.8% → (2월) 12.5% → (3월) 8.8% → (4월) 8.7%

3. 무역수지 동향

4월 무역수지는 지속적인 수출증가에 힘입어 18억불을 기록하였으며, ‘03.4월이후 25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였으며 흑자폭도 전월에 비해 다소 증가함

·무역수지12월’05.1월2월3월4월 (백만불)2,230→3,023→2,053→1,353→1,789

對선진국 무역적자는 다소 개선되었으나, 對개도국 흑자규모는 축소

대선진국 :254백만불 적자(전년동월대비 180백만불 개선)
대개도국 :2,042백만불 흑자(전년동월대비 1,045백만불 축소)

특히, 對중남미흑자는 전년동월대비 5억불, 對EU흑자는 4억불 증가하였으나 對중국 1억불 및 對미국은 3억불 감소하였고, 對중동 무역적자규모는 12억불 확대.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공보담당관실 (042)481-7615~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