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사 백열전구 LED전구로 바꾸면 전력소모 86% 절약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산란계사에 백열전구·주광색 LED· 전구색 LED 비교실험 실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전구별 산란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란계사에 백열전구와 주광색 LED, 전구색 LED를 조도 20lux로 맞추어 4주 동안 실험해보았다.
그 결과, 기존 백열전구를 사용한 계사의 산란율은 76.2%, 주광색 LED 72.83%, 전구색 LED 75.45%로 백열전구와 유사한 파장을 가진 전구색 LED를 사용해야 비슷한 산란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D 전구를 이용할 경우 기존 백열전구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전기에너지를 86% 절감할 수 있었다.
빛은 닭의 시신경과 두개골을 투과한 후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해 성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며 이를 통해 산란을 한다. 따라서 닭에게 빛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백열전구는 세계적으로 생산이 중단될 예정이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오는 2013년까지 백열전구를 LED로 대체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현재 1억 2천만 수의 닭을 사육하고 있으며 연간 17만5,000MWh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백열전구는 전구수명이 평균 5천 시간으로 LED 전구의 1/15 정도로 짧고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이 5% 정도로 매우 낮다.
실제 양계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17만5,000MWh의 전력을 LED로 전환시 46억 1천만원 정도의 전기료(농업용 전기료 30.6원 기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가금과 서옥석 과장은 “LED 조명은 소비전력이 매우 낮을 뿐 아니라 기존 백열전구와 비슷한 파장의 전구색 LED를 이용할 경우 생산성도 비슷하다”며 “앞으로 육계농가와 오리농장에서 필요한 LED 점등기술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가금과
서옥석 과장
041-580-6720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