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목동병원 김한수 교수, 새로운 갑상선암 수술법 개발
- 무결찰, 무배액관 수술법 개발…수술 시간, 입원 기간 대폭 단축
- 출혈, 통증 등 합병증 없이 회복 속도 빠르고, 흉터도 줄어
‘결찰’은 수술 도중 혈관을 자르기 전에 혈관을 실로 묶어 출혈을 방지하는 것이며 ‘배액관’은 수술 후에 발생하는 체내 출혈과 체액을 몸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삽입하는 관이다.
김한수 교수는 복강경 수술에 주로 사용되었던 하모닉 스카펠(Harmonic scalpel)이라는 기구를 이용해 수술함으로써 수술시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결찰’ 과정과 또 다른 흉터를 만드는 ‘배액관’ 삽입 없이도 갑상선 암을 수술하는 데 성공한 것.
무결찰, 무배액관 수술법에 대한 논문은 지난 9월11일부터 16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 14차 국제 갑상선 학술대회에서 발표돼 세계 의학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이 논문에 따르면 김한수 교수는 2009년 6월부터 2010년 7월까지 1년 동안 무결찰, 무배액관 갑상선암 수술을 시행한 113명의 환자의 수술 예를 분석해 113명 모두 출혈, 통증과 같은 합병증이 없었으며 수술시간과 입원기간도 대폭 단축됐다.
새 수술법을 적용한 갑상선 일엽절제술에 걸리는 시간은 평균 39.2분, 갑상선 전(全)절제 및 중심 림프절 절제까지 걸리는 시간은 52.7분으로 기존 수술 방법에 비해 30퍼센트 정도 줄어들었으며 평균 입원기간도 3.7일로, 직장을 가진 환자의 경우 금요일 저녁에 입원해 토요일 수술을 받고 일요일에 퇴원을 하는 2박 3일 수술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기존의 갑상선암 수술은 결찰을 하기 위해 최소 6 – 10cm 길이의 절개창이 필요하고, 배액관 삽입을 위해 또 다른 흉터를 만드는 반면 무결찰, 무배액 수술은 수술시 약 3cm 길이의 절개창만으로도 수술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 후 작은 흉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 참고 사항
결찰과 배액관?
의학 관련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수술 도중에 집도의가 ‘타이(Tie)!’ 라고 말하면 보조의가 혈관을 실로 묶는 장면이 나오는데 우리말로는 ‘결찰’이라고 한다. ‘결찰’은 수술 도중 혈관을 자르기 전에 혈관을 실로 묶어 출혈을 방지하는 행위로 이른바 몸에 칼을 사용하는 외과 수술에서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결찰한 혈관이 풀리게 되면 출혈이 발생해 수술 시간이 길어지고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 따라서 얼마만큼 ‘결찰’을 빨리 안전하게 잘 하느냐가 외과의사의 실력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결찰이 중요한 만큼 결찰에 걸리는 시간이 수술 시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배액관은 수술 부위에 피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하는 관으로 수술 후에 발생하는 체내 출혈과 체액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배액관은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고 배액관을 삽입하기 위해 또 다른 흉터를 만드는 단점이 있다.
하모닉 스카펠이란?
하모닉 스카펠 (harmonic scalpel)은 수술 겸자와 비슷한 모양의 수술 도구로 양날이 초당 약 55,000 번 정도 진동을 하여 거기서 유발하는 열로 조직을 자르고 혈관을 결찰하는 도구이다. 과거에는 주로 복강경 수술에 이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그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 되고 있다.
갑상선 종양 수술의 범위는?
갑상선의 모양은 나비 모양으로 가운데 좁은 부위를 협부라 부르고 양쪽을 각각 우엽, 좌엽이라고 부른다. 일엽 절제술은 우엽 또는 좌엽 한쪽만 절제하는 수술이며, 전절제는 양쪽 엽을 모두 절제하는 것이다.
기존 갑상선 암 수술의 평균 수술 시간과 입원기간은?
기존 수술의 평균 수술 시간과 입원기간은 시술자에 따라 다양한데 기존에발표 된 연구를 참고하면 기존 수술의 경우 일엽 절제술은 약 60여분, 전절제 및 중심림프절 절제는 약 90여분 이상이며 입원기간은 배액관을 삽입할 경우 평균 6일 정도임.
연락처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홍보과
담당 전상영
02-2650-5069
-
2012년 1월 3일 0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