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제3회 한강 마포나루 새우젓 축제’ 개최
지역 주민에게는 저렴한 농수산물을, 전국 주요 새우젓 산지에는 풍성한 이익을… 문화도시 마포, ‘나눔도시’로 거듭나 전국 5개 산지, 15개 단체가 참여하는 명품새우젓 판매장과 천일염 나눔장터 열려 축제기간인 10월 15일~17일 평화광장에는 강화, 소래, 강경, 광천, 신안 등 옛날 마포나루에 젓갈을 대던 5개 산지의 15개 단체가 참여해 새우젓 및 젓갈류 판매장을 연다. 김장철 필수품목인 전국 대표 새우젓을 산지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어 김장을 앞둔 알뜰주부라면 꼭 한번 와볼만 하다.
특히 15일, 16일 열리는 새우젓 경매행사는 새우젓 축제의 빼놓을 수 없는 백미다. 이와 함께 천일염으로 유명한 신안군과 연계한 천일염 장터, 전국 11개 지역이 참여하는 전국특산물 장터도 만날 수 있다.
축제 기간 중 월드컵공원 평화광장에는 마포나루의 옛 모습을 고증한 난전과 주막, 실물크기의 황포돛배가 들어선다. 황포돛배 4척이 평화광장 주자창과 난지연못 데크 등에 세워지고 새우젓 배의 입항 장면을 연출하는 이벤트도 마련한다. 전통 캐노피 천막 50여 채가 들어서는 난전에서는 옛 복장을 한 뱃사공, 보부상, 한량, 걸인, 주모 등이 나와 조선시대 서민들의 생활상과 풍물을 생생하게 복원한다.
이번 전통문화체험 행사에서 가장 재미있는 공간은 바로 ‘마포나루 전통학교’. 이곳에서는 옛 장터에서 볼 수 있었던 뻥튀기 체험, 물지게 나르기, 공기놀이, 딱지치기, 엿치기 등 다양한 전통놀이를 체험할 수 있다. 또 떡메치기, 새끼 꼬기, 홀태, 베틀, 다듬이질 등 101가지에 이르는 옛 물건들을 직접 만져볼 수 있다.
이번 축제에서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강강술래도 볼 수 있다. 홍대앞에서 활동하는 대학생들이 직접공연을 펼치는데, 전남 진도군 소포리에 가서 마을 어르신들께 직접 배운 강강술래를 세계 젊은이들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재구성해 선보인다. 공연은 토요일과 일요일 두 번 펼쳐지는데, 행사에 참여한 모든 주민들과 함께 어우러지는 신명나는 춤판으로 꾸며져 축제의 흥을 돋울 것으로 기대된다.
또 전통문화 체험장에서는 드라마 ‘허준’에서처럼 수염을 길게 기른 마포구 한의사협회 소속 한의사들에게 진맥을 받을 수도 있다. 미술을 전공한 대학생들로 구성된 전통문화전수단은 마포학당을 열어 붓글씨와 동양화 그리기 체험 행사도 연다.
전국의 배가 드나들던 마포나루는 당시의 생활필수품인 새우젓, 소금, 양곡, 도기, 유기류 등 각 지방의 특산물을 실어 나르던 물류항구였으나, 이제는 문화가 번성하는 마포의 문화항구로 거듭나고 있다.
강강술래를 비롯해 노리단 공연, 뿌리패 공연, 고창판소리 등 전통공연이 청소년 공연, 록 밴드 공연 등의 현대공연과 함께 어우러진다. 마지막 날에는 몽골 전통공연, 필리핀 전통춤, 베트남 민속노래, 중국 전통공연 등 아시아의 전통문화도 선보일 예정이다.
한강 마포나루 새우젓축제는 종합 문화축제로서 마포구에서 여는 구민들의 축제 한마당이며, 구민들을 위한 다양한 공연이 준비된 축제다.
행사 첫날 특설무대로는 마포구와 ‘C&M 마포케이블 TV’가 함께 개막 축하공연으로 현철, 김상희, VOS, 제국의 아이들 등 모든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세대공감 콘서트를 마련한다. 이날에는 제17회 마포구민의 날 기념식과 구민상 시상식도 개최된다. 또 16일에는 아현산업정보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학생들이 펼치는 댄스공연, 다양한 장르의 음악공연 등이, 행사 마지막 날인 17일에는 구민 노래자랑이 예정돼 있다.
박홍섭 마포구청장은 “100년 전 물류입구(入口)던 마포구가 100년의 문화출구(出口)로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한강 마포나루 새우젓축제’를 아시아·세계의 포구문화를 대표하는 마포의 브랜드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문화체육과
담당자 구본수
02-3153-8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