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 움직임, 강남권 중심으로 살아나나
이에 계약이 체결될 때마다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했던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은 바닥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주 들어 문의가 증가하며 급매물이 소화됐고, 일반 아파트시장 역시 갈아타는 수요로 인해 오랜만에 계약성사가 이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강남권을 제외한 비강남권, 수도권 대부분 아파트시장은 여전히 거래부진이 이어졌다. 전세시장의 경우 물량이 달려 세입자들이 발길을 돌리기 일쑤였던 반면, 매매시장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가격하락 기대감이 팽배해 계약체결의 어려움을 겪었던 한 주였다.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가격은 -0.06%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버블세븐지역이 -0.07%로 하락세를 지속했고, 신도시는 -0.06%, 경기도와 인천은 각각 -0.08%, -0.05%로 지난주와 비슷한 변동률을 보였다.
서울▼0.06%, 강남권 ▼0.04%, 비강남권 ▼0.06%, 서울 재건축 ▲0.03%
이번주 서울 아파트시장은 강남권을 중심으로 훈풍이 불었다. 가격변동률 자체는 지난주와 동일했지만 거래 분위기만큼은 호전됐다는 게 일대 중개업자들의 일관된 입장이다. 권열별 변동률을 살펴보면 강남권이 -0.04% 소폭 하락했고, 비강남권은 급매물 거래로 지난주 소폭 오름세를 보였던 성북구, 강북구 등의 지역이 이번주 다시 내림세로 돌아서면서 전주보다 -0.05%p 하락, -0.06%의 약세장을 이었다.
유형별로는 서울 재건축은 송파구(0.27%), 강동구(0.03%), 서초구(0.01%) 등의 상승세로 한달 만에 다시 반등(0.03%)에 성공했다. 특히, 지난주 10억 5,000만 원 안팎으로 계약이 체결된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112㎡의 경우 이주 들어 호가가 4,000만~5,000만 원 올라 10억 9,000만~11억 원에 매물이 나오는 상황.
그동안 실거주자 위주로 매수문의가 있었다면 최근 들어 전세를 안고 매입하려는 투자자들의 문의도 늘어난 상황이다. 강남구 재건축 단지는 -0.06%로 이번주 약세를 보였지만 송파구 잠실, 서초구 반포, 경기도 분당 등에서 집을 매도한 수요자들이 오히려 전세로 갈아타고 나머지 금액에 대출을 보태 개포동 재건축 단지를 매입하려는 움직임이 엿보였다.
한편, 대형면적(-0.14%)의 약세가 두드러졌던 가운데, 일반아파트와 주상복합 단지는 각각 -0.06%, -0.01%의 변동률로 약세장을 지속했다.
일반 아파트 구별로는 화곡동 화곡푸르지오 135㎡(6억 2,500만→5억 7,500만 원), 우장산아이파크 79㎡(4억 3,750만→4억 1,750만 원) 등의 약세로 강서구가 -0.37%로 가장 많이 빠졌고, 마포구(-0.27%), 강남구(-0.15%), 동작구(-0.14%), 동대문구(-0.11%), 관악구(-0.10%) 등의 순으로 하락세를 이었다.
경기도 ▼0.08%, 신도시 ▼0.06%, 인천 ▼0.05%
경기도 지역은 이번주 99㎡ 이상의 중대형 약세가 두드러졌다. 하안동 주공12단지 102㎡(4억 2,500만→3억 7,500만 원), 9단지 102㎡(3억 7,500만→3억 4,000만 원) 등 하안동 일대 아파트값이 일제히 하락하면서 광명시가 -0.69%로 하락세를 주도했고, 보정동 죽전자이Ⅱ158㎡(5억 1,500만→4억 7,000만 원), 서천동 서천SK 194㎡(5억 1,500만→4억 5,000만 원) 등의 약세로 용인시가 -0.16% 내리막길을 걸었다. 이어 김포시(-0.16%), 구리시(-0.14%), 고양시(-0.12%), 성남시(-0.09%) 등의 순으로 하락세를 이었다.
일부 급매물 거래로 평택시(0.05%), 화성시(0.03%), 파주시(0.025), 의왕시(0.02%) 등의 지역은 이번주 소폭 오른 지역으로 꼽혔다.
신도시 지역은 이번주 역시 전 지역이 모두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일산(-0.17%),산본(-0.07%), 분당(-0.03%), 평촌(-0.01%) 등의 순으로 내림세를 나타냈고, 인천은 계양구(0.06%), 남구(0.01%)가 오른 반면, 부평구(-0.13%), 중구(-0.09%), 동구(-0.08%), 남동구(-0.08%), 서구(-0.03%) 지역은 거래부진이 여전했다.
도움말:부동산뱅크 시황분석팀 김근옥 책임연구원(kko@neonet.co.kr)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시황분석팀
김근옥 책임연구원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