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 안중근의사 동상 재건립 완료, 26일 제막식

- 하얼빈 의거 직후 태극기를 꺼내든 안중근의사의 당당한 모습으로 제작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는 남산공원내 기존 안중근의사 동상 대신 새로운 안중근의사 동상을 6억원의 예산을 들여 제작 완료하였으며, 하얼빈의거 101주년 기념일인 26일(화) 오전 11시 제막식을 통해 시민들에게 공개된다고 밝혔다.

기존 안중근 의사 동상은 1967년에 청동으로 제작되었는데, 조사결과 40년 이상 경과하여 부식과 균열이 많아 위인의 품격을 떨어뜨리고, 안전성 문제 등으로 인하여 동상 재건립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올해초부터 ‘안중근의사 동상위원회(위원장 최만린 서울대 명예교수, 총 18명)’를 구성하고, 초청작가 선정위원회를 개최해 전국 주요 조각가 단체·협회와 대학교로부터 추천받은 작가 중 초청작가 5인을 선정하여 이 중 최종 당선된 이용덕 교수(서울대)에 의해 동상이 제작되었다.

조각가 이용덕 교수는 지난 7월부터 4개월간 제작하였으며,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직 후 태극기를 꺼내든 안중근의사의 당당하고 떳떳한 모습을 잘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제작과정에서도 복식, 영정 등 관련 전문가의 철저한 고증을 받았으며, 대중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옥중의 모습이 아닌 안중근 의사의 평소 건장하고 신념에 찬 모습으로 재조명했다는 관련 전문가들의 평이다.

새로 설치된 안중근 의사 동상의 총 높이는 총 7.35m로 동상은 4.5m, 동상을 받치는 발판 0.15m, 기단의 높이는 2.7m다.

안중근의사 동상과 기념관이 위치한 남산 분수대광장 일대는 일제 식민 통치의 상징물인 조선신궁이 건립되었던 곳으로, 이 곳에 우리나라를 식민지화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항일의 핵심 인물인 안중근 의사 동상 등을 재건립 하는 것은 항일운동의 역사에서 상징성이 매우 크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의 중심인 남산에 안중근 의사의 대한독립 정신을 담은 기념조각상을 재건립함으로써 일제강점기에 조선신궁이 위치했던 과거의 역사적 오류를 바로잡고 남산의 역사성을 한 차원 높이는 상징적인 장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
생활공원팀 임 성 수
2115-759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