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년무역인, 터키전시회 1억 원 오더 수주

서울--(뉴스와이어)--20~30대 젊은 청년구직자들로 구성된 서울산업통상진흥원(SBA) 청년무역 1기생 25명은 지난 10월 6일(수)부터 10일(일)까지 터키 이스탄불에서 개최된 이스탄불 정보통신 박람회(세빗 유라시아)에 참가하였으며 25개 중소기업의 제품을 박람회 현장에 출품하여 시장조사와 적격 바이어발굴을 위한 활동을 벌인 결과 WiFi 무선 인터넷폰을 담당한 한 청년무역인이 1억 원 상당의 주문을 이끌어 내는데 성공하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서울시 중소기업 지원전문기관인 SBA는 무역업무에 관심 있는 청년구직자와 해외마케팅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서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중소기업에게는 해외시장의 진출 기회를, 실전경험이 부족한 청년구직자들에게는 해외마케팅을 직접 수행하여 봄으로써 유망 중소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SBA 청년무역스튜디오(청년무역인 양성 프로그램)”를 운영 중에 있다.

SBA 청년무역스튜디오 1기생들은 1개월 간 무역실무 전문교육을 수료 후, 해외시장진출에 관심이 있는 25개 중소기업과 매칭되었다.

이스탄불 전시회 파견 1개월 전, 1기 청년무역인들은 해당 중소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전시회 출품예정인 제품에 대한 현지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하고 철저한 사전 시장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전시회 현지 참관객들로부터의 많은 호응을 유도해 내는데 성공하였다.

WiFi 무선 인터넷폰을 담당한 청년무역인의 경우, 박람회 기간 동안 터키 공공기관 구매자를 집요하게 접촉을 시도함으로써 결국 상담을 성사시켜, 다음달부터 1억원 상당의 주문을 이끌어 내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USB 메모리와 아이폰 주변기기를 담당한 청년무역인은 인상적인 제품시연을 통하여 샘플 현장 판매액이 300만 원을 넘길 정도로 왕성한 판매 활동을 벌였다. 기타 대부분 파견자들도 현장에 갖고 간 샘플을 모두 소진할 정도로 전시회 방문객들로부터 폭발적인 반응을 유도해 내는데 성공하였다.

SBA 관계자에 따르면, 우리 기업제품의 우수한 기술과 디자인 덕분에 높은 현지시장의 호응을 얻은 것은 사실이지만, 전문 무역교육을 수료한 SBA 청년무역인들이 파견 1개월 전부터 현지마케팅 전략을 치밀하게 준비한 덕분에 높은 성과를 유도해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즉석 사진인화 솔루션을 담당한 한 청년무역인은 제품성격상 현지 전시회를 방문하는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는 ‘적격’ 바이어 발굴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직접 지역 사진관들을 돌며 소매상과 도매상들과의 탐문조사를 통하여 전문수입상을 찾아내는데 성공하여 제품 거래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또한 터키시장에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한류열풍을 활용하여 한국고유의 한복을 입고 잠재 고객들과의 상담을 진행하는 등 ‘수동적’으로 앉아서 ‘손님’을 기다리는 자세보다는 ‘능동적’으로 ‘고객’을 직접 찾아 나서는 노력을 함으로써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해외전시회를 직접 참가하여 성공적인 해외마케팅 임무를 완수한 청년무역 1기생들은 지원기업들로부터 채용 러브콜을 받고 있다.

1억원 가량의 현장주문을 이끌어낸 한 청년무역인의 경우, 2006 월드컵 기간 중 주먹밥 노점상을 운영하면서 저축한 돈으로 해외연수까지 다녀왔으나 무역실무 경험 부족으로 중소기업 해외마케팅 분야에 면접 기회조차 얻지 못하였다고 하였으나, 이번 SBA 청년무역스튜디오를 통하여 실전경험과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해 냄으로써 중소기업으로의 특별채용 제안을 받았다.

SBA는 무역분야에서 성공에 목마른 취업/창업 희망자들에게 ‘청년무역스튜디오’를 통하여, 무역교육과 해외마케팅 활동을 벌일 수 있게 함으로써 실전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청년구직자들은 해당 중소기업들부터 채용 제안도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업의 해외마케팅 지원과 일자리 창출 등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SBA는 시범적으로 올해 50명의 청년무역인 양성을 계획하고 있으며, 전시회 실전경험을 마친 1기생 25명에게는 본격적으로 취업과 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청년무역 2기생 25명도 중소기업 25개사와 매칭을 마친 상태이며 다음달 초 개최 예정인 상해아시아 전자전에 투입되어 중소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임무를 책임질 예정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SBA 국제통상팀
담당자 김성민
02-2222-379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