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연연구소, “민간 병의원에 맡기는 당국의 금연사업 중단을 촉구한다”

부산--(뉴스와이어)--보건소에서 잘해 오던 금연사업을 내년부터 접근의 용이성을 내세워 민간 병의원에 맡기는 방안을 보건복지가족부가 확정한데 대하여 한국금연연구소(소장 최창목)가 31일 논평을 통해 “국민건강 담보로 춤추는 금연정책, 치료약물의 보급을 확산시키려는 의구심이 든다”며 중단 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복지부가 발표한 이 정책은 의사와 금연치료제를 판매하는 제약회사의 배를 불리는 정책이며, 그동안 자살충동 등의 논란이 돼왔던 의사처방이 필요한 금연약물의 보급을 확산시키려는 의도가 포함된 것이 아니냐며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국내 대표적인 금연치료약물은 부프로피온(bupropion)과 바레니클린(varenicline, 상품명:챔픽스)이 있다.

이어 연구소는 이미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3000건 이상의 각종 부작용이 보고됐고, 또 올해초 챔픽스를 복용한 미국의 소비자들은 화이자가 의도적으로 약의 부작용을 은폐했고, 자살 충동과 우울증 등의 위험성을 알리지 않았다며 뉴욕주 대법원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낸 상태이기도 하다며 정책집행의 반대이유를 설명했다.

국내에서도 2008년 이약을 처방한 의사가 한국금연연구소 부작용 신고센터로 챔픽스 복용환자가 부작용으로 자살한 것 같다는 소견을 메일로 보내옴에 따라 문제 재기를 한 바 있지만 당시 한국화이자측은 챔픽스 복용과 자살과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힘들다는 입장만 밝혔을뿐, 그후 안정성에 대한 명확한 사후조치나 특별한 대책이 마련된바 없어 문제의 소지가 다분하다는 주장이다.

또 금연연구소는“식약청이 약물과 자살충동 원인의 인과관계를 당장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어렵다고 해서, 우리 모두가 드러난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진실을 역행하는 것이며 소비자의 건강을 팽개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듯 논란의 중심에 있는 금연치료 약물은 어떠한 경우라도 소비자에게 재보급되서는 안될 일이며 또한 보건소 금연클리닉 연계를 통한 지역사회 다양한 금연사업활동에 대한 공백상태를 무엇으로 어떻게 매꾸려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최창목 소장은 “금연은 치료를 요하는 질병일수도 있지만 결심과 의지 강화의 문제로 본인 의지 등으로 극복해야 할 일이지 전적으로 의사가 약 등으로 치료할 일이 아니다”면서 “갈수록 국가제정이 어려워지는 판국에 금연치료 보험급여화 주장을 관철시키려는 뜸들이기 양상을 띠는 것은 아닌지 다분히 의사들의 이익주의 속내가 엿보이는 졸속 정책”이라며 성토했다.

2010. 10. 31.
한국금연연구소

한국금연연구소 개요
청소년선도 및 범국민 금연운동을 목적으로 1997년부터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99년 5월26일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사)한국금연연구소 창립발기인대회를 통해 본격적인 공익활동을 천명한 금연운동(연구)단체로써 흡연의 폐해를 조사, 연구하여 언론에 발표하는 등 금연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고, 각 기관,기업,학교,군부대 등을 순회하며 홍보교육하는 전문기관이다.

웹사이트: http://cafe.daum.net/kns11

연락처

한국금연연구소 홍보교육팀
051-637-1939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