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기준 광업·제조업조사 잠정결과

대전--(뉴스와이어)--Ⅰ. 2009년 기준 광업·제조업조사 잠정결과

1. 총 괄

제조업은 금융위기가 외환위기 보다 충격을 덜 받음

금융위기인 2008~2009년(2년간)에는 2007년 대비 사업체수 6.0%, 종사자수 2.2% 감소하였고, 출하액은 19.3% 증가

외환위기인 1997~1998년(2년간)에는 1996년 대비 사업체수 19.0%, 종사자수 20.0% 감소하였고, 출하액은 7.5% 증가. 따라서 금융위기가 외환위기 보다 사업체와 종사자의 감소 폭이 적어 타격을 덜 받음

산업별로는 금융위기에는 석유정제, 철강, 자동차산업 등 일부 산업의 출하액이 감소하였으나, 외환위기에는 자동차, 기계장비, 의복·모피산업 등 산업 전반에 타격을 줌

우리나라 제조업의 주력산업은 섬유·의복 ⇒ 전자, 석유·화학 ⇒ 전자, 자동차 산업으로 변화

우리나라 제조업의 구조 변화 (%는 부가가치 구성비)

1979년 : ①섬유·의복(19.6%) ②음식료품(16.5%) ③석유·화학(11.8%)
1989년 : ①전자(15.2%) ②섬유·의복(14.0%) ③석유·화학(11.6%)
1999년 : ①전자(24.4%) ②석유·화학(13.8%) ③자동차(9.3%)
2009년 : ①전자(28.4%) ②석유·화학(12.3%) ③자동차(9.4%)

2. 제조업 출하액 동향

제조업 출하액 2000년 이후 최저 증가

금융위기 여파로 인한 국·내외 시장 위축으로 제조업의 출하액이 2000년 이래 최저 증가에 그침

이는 석유정제, 철강, 자동차산업 등이 2008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금융위기 여파로 출하액이 크게 감소한데 기인함. 이와 달리 전자(20.4%), 조선(11.7%)산업 등은 출하액 증가를 보임

중화학공업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둔화

중화학공업이 부진한 반면, 경공업이 증가. 중화학공업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08년도에는 0.9%p 증가하였지만, 2009년도에 0.6%p 감소로 반전

사업체당 출하액은 1.9%, 부가가치는 3.2% 소폭 증가

제조업 사업체당 출하액은 194억 300만원으로 전년대비 1.9% 증가하고, 부가가치는 64억 9,200만원으로 전년대비 3.2% 증가

3. 산업별 동향

전자산업은 LCD, 반도체 및 휴대폰 등의 판매호조로 출하액20.4% 증가

반도체업종(D램 등)의 출하액 17.6% 증가
반도체 단가 상승과 반도체 이용기기의 수요 증가로 출하액 증가

전자부품업종(LCD 등)의 출하액 34.9% 증가
노트북, 모니터, TV 등에 사용되는 LCD/PDP의 물량이 증가하여 출하액 증가

통신·방송장비업종(휴대폰 등)의 출하액 11.9% 증가
제품(휴대폰 등)의 교체주기가 짧은 특성 때문에 매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음

조선산업은 세계적인 수요 감소로 전년에 비해 증가폭이 대폭 축소

신규발주 감소 및 기존 물량의 인도연기와 수주취소 등에 기인. 원자재를 운반하는 벌크선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수출 등 물량 감소로 인해 콘테이너선은 부진

자동차산업은 해외수요의 부진으로 인하여 출하액 감소

자동차산업은 개별소비세 인하, 노후차 세금감면 등으로 내수는 증가를 보였지만, 수출이 부진하여 전체적으로는 출하액이 감소

석유정제, 철강산업은 세계적인 경제불황으로 인한 가격하락 및소비감소로 출하액 대폭 감소

석유정제산업은 세계적인 경제불황으로 인한 원유의 가격 하락으로 출하액 대폭 감소. 철강산업은 주요 수요산업인 자동차산업 등의 위축과 가격 인하로 출하액 대폭 감소

섬유산업은 출하액과 부가가치 소폭 증가

섬유산업은 고유가 등 대외여건 악화와 내수부진, 후발국의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설비자동화를 통한 지속적인 투자와 꾸준한 해외수요로 출하액이 증가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경제통계국 산업통계과
과장 장경세
042.481.213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