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가정폭력피해 이주여성 자활지원센터 ‘서울이주여성디딤터’ 개관

서울--(뉴스와이어)--가정폭력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이주여성의 보호는 물론 교육, 자립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자활지원센터가 전국 최초로 서울 금천구에 문을 연다.

서울시는 여성가족부와 공동으로 폭력피해 이주여성 자활지원센터인 ‘서울이주여성디딤터’를 금천구 남부여성발전센터 내에 오는 4일(목) 개관한다고 밝혔다.

서울이주여성디딤터는 교육과 훈련, 취업, 창업지원, 기술 및 자격증 취득지원 등 실질적 자립 및 국내 정착 프로그램을 갖췄다는 점에서 일시적인 보호만을 지원했던 쉼터와 크게 차별화된다.

현재 폭력피해 이주여성들은 가정폭력 상담소, 지역 경찰서, 이주여성 긴급지원센터를 통해 3개월 정도 쉼터에 머무를 수 있지만 쉼터가 서울시내에 2개소밖에 안되고, 보호기간이 짧은데다 지원도 충분하지 못해 동반자녀와 함께 국내에서 살아가는데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폭력피해 이주여성 대부분은 국내 인맥, 경제 능력 등 자립기반이 거의 없고 언어소통, 문화적 차이, 자녀양육 문제 등으로 국내 정착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이주여성디딤터는 연면적 990㎡,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에 이주여성과 자녀가 생활할 수 있는 10~12평형 방 10개, 어린이 집, 도서실, 다목적실, 실습 및 공동작업장, 사무실 등이 있다. 여기에는 폭력피해 이주여성 및 동반자녀 40여명이 입소할 수 있다.

입소대상자는 폭력피해 이주여성쉼터에서 퇴소하고 합법적으로 체류가 가능한 여성이면 쉼터를 통해 입소 추천을 받으면 된다.

입소여부는 입소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결정되며, 1년 6개월동안 지내며 자립, 자활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거주기간은 1회에 한해 6개월 연장이 가능하다.

서울이주여성디딤터 입소자는 국내적응에 필요한 한국어, 문화이해, 컴퓨터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정착을 위한 기술 및 자격 취득지원, 취업, 창업지원을 받게 된다.

직업훈련을 받는 동안에는 훈련수당과 교육재료비가 지원되며, 지역 사업체의 견습파견, 바리스타, 재단 및 봉재, 출장요리 등의 예비창업기회까지 제공돼 입소이주여성은 기술향상은 물론 수익창출까지 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교육·훈련 기간에는 주거공간은 물론 생계비(월평균135,616원) 지원, 동반자녀의 보육도 지원받아 입소자는 교육훈련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서울시는 퇴소 후에도 지속적인 자문과 친정엄마 결연사업 등으로 이주여성의 원만한 국내정착을 최대한 지원할 예정이다.

허미연 서울시 여성가족정책관은 “서울이주여성디딤터는 이주여성과 동반자녀가 국내에서 자립하고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게 하는 디딤터가 될 것”이라며, “서울에서 둥지를 튼 결혼이민여성이 따뜻하게 보호받고 정착해서 살아갈 수 있도록 서울시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관
여성정책담당관 김용복
02-3707-923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