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새끼돼지 1마리 증가시 연간 1,380억원 경제적효과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은 엄마돼지에게 섬유소 함량이 높은 풀 발효사료를 먹일 경우 모돈 1마리당 새끼돼지 1마리를 더 생산하고 새끼돼지의 생시체중도 10% 높아져 연간 1,38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엄마돼지에게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할 경우 섬유소 함량이 낮아 변비가 발생해 태어나는 새끼돼지 마릿수가 감소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은 배합사료에 사일리지와 농산부산물을 30% 포함하여 일반 배합사료에 비해 섬유소 함량이 80% 높은 임신돼지용 풀 발효사료를 개발하여 임신 후보돈부터 분만할 때까지 약 7개월 동안 급여실험을 했다.

그 결과, 임신돼지 1마리가 분만해 젖을 먹이는 새끼돼지 마릿수는 12.1마리로 일반배합사료를 급여했을 때 11.1마리보다 1.0마리가 높아졌으며 생시체중도 1.32㎏으로 먹이기 전 1.20㎏ 보다 10% 높아졌다.

또한, 풀 발효사료를 4주간 급여 후 어미돼지의 분변에서 미생물변화를 확인해 본 결과 대장균이 25%감소하고 유산균이 18% 증가해 대장 환경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의 경우 장내에서 아민과 같은 독소물질을 배출해 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데 유산균이 장내 산도를 낮추어 대장균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농촌진흥청 양돈과 김영화 연구사는 “풀 발효사료를 급여하면 엄마돼지의 변비예방 및 장내 환경 개선으로 생산되는 새끼돼지가 1마리 증가하고 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연간 1,380억원”이라며 “향후 농가에서 실제 사용할 수 있도록 펠렛 형태로 제조해 실증시험 후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시험농가로 참여한 비전농장 김건태 대표는 풀 발효사료가 임신돼지의 포만감을 충족시켜 주고 스트레스를 줄여줘 돼지의 건강이 좋아지고 산자수가 증가돼 앞으로 펠렛 형태로 보급시 풀 발효사료를 농장 전체의 임신돼지에게 급여키로 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라승용 원장은 “덴마크의 모돈 1마리당 연간 출하하는 비육돼지의 마릿수(MSY:양돈생산성)는 24.5두로 우리나라 15.2두에 비해 훨씬 높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양돈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과 보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양돈과
김인철 과장
041-580-3446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