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최근 39년 동안 오징어 어획량이 ‘최고’
본 책자에 따르면, 최근 39년간 동해에서 가장 많이 어획된 어종은 오징어로 전체의 31%를 차지하였고, 이어 명태 18%, 붉은대게가 8%를 차지하였다.
연대별 주요 어획 어종의 변화를 살펴보면, 1970-1980년대에 명태, 꽁치 등 어류가 7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1990년대부터 오징어와 붉은대게의 어획량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어류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2000년대에 더욱 심해져 오징어 등 두족류의 어획비율이 57%, 갑각류가 14%를 차지하였고, 어류는 26% 수준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동해의 주요 수산자원의 변동을 살펴보면, 어류의 경우 과거에는 명태, 가자미 등 바다 밑에 사는 저어류가 많이 잡혔으나, 최근에는 멸치, 청어, 꽁치 등 바다 표층이나 중층에 사는 부어류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어류는 수명이 짧고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 시 어획량이나 자원량 변동이 더 클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해양환경 변화 모니터링을 통해 부어류와 저어류의 변화 현상 등을 조사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동해수산연구소는 매주 연안 수온, 기상 자료, 어획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어업인 및 유관기관에 주간해어황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본 책자의 발간을 통해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동해안의 주요 어법과 어종에 대한 전반적인 어획동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동해안에서 어획되는 수산자원은 연간 약 20만 톤이며, 향후 미래의 동해 어업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어종 변화까지 유추해 볼 수 있는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국립수산과학원 개요
국립수산과학원은 우리나라 해양수산분야를 연구하는 유일한 국립연구기관으로 해외 및 연근해 어장 개척, 해양환경조사, 어구어법 개발, 자원조성 및 관리, 양식기술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nifs.go.kr/main.do
연락처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박종화
033-660-8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