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에서 한성백제 최초의 적심시설 및 초석 건물지 확인

대전--(뉴스와이어)--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영원)는 백제의 도성유적으로 알려진 풍납토성(사적 제11호)에 대한 제7차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한성백제시대(漢城百濟時代) (B.C.18~A.D.475) 건물지 4동 등 총 100여 기의 유구를 확인했다.

특히, 올해 처음 조사된 적심시설 및 초석 건물지는 그동안 풍납토성에서 확인되었던 수혈 주거지와는 구조적으로 큰 차이가 있어 당시 풍납토성이 백제 초기의 왕성이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적심시설은 너비 1.8m, 깊이 0.5m로 흙을 파내고, 그 공간에 흙과 강자갈들을 섞어 채워 넣고 윗부분을 황색점토로 단단히 다져 만들었다. 지상에 세워진 적심시설 건물에서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시설이 확인되지 않고, 규모가 대형인 점으로 미루어 기원후 4~5세기경에 만들어진 관청이나 종교시설 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비슷한 시기에 강자갈을 사용한 적심시설 건물은 고구려의 환도산성과 국내성 내부에서도 확인된 적이 있어 고대 건축기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써 평가되고 있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이규훈
02)473-943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