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최첨단 미디어상징조형물 ‘밀레니엄 아이’ 9일 선보여
지난해 10월부터 DMC단지 서측 진입부에 위치한 일본인학교와 외국인임대아파트 부지 인근 구룡근린공원에 설치를 시작한 ‘밀레니엄아이’는 서울시의 ‘DMC 상징조형물 제작·설치 용역 제안 공모’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된 이배경·유영호·나점수 작가의 작품이다.
‘밀레니엄 아이’는 12개의 LED선이 가로 지르는 지름 30m 규모의 원반구조 조형물 <월드스퀘어> 가운데 지름 3m의 우물형태 대형 LCD패널인 <글로벌 아이>가 있고, 그 위에 높이 23m의 미디어 조형물 <밀레니엄셀>이 세워져 하나의 조형물을 완성한다.
‘첨성대’로 상징되는 과학기술의 우수성을 표현한 <밀레니엄 셀>은 140여개의 거울 구(球)로 이뤄져 주변의 사물을 비추고, <글로벌아이>는 지구의 반대편의 하늘을 실시간으로 시각화 한 영상을 보낸다.
<월드스퀘어>는 낮과 밤의 12시간, 12간지를 상징하는 12개의 LED선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이 인터넷 사이트에 올리는 미래 비전에 대한 생각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최첨단 조형물 ‘밀레니엄 아이’는 미디어와 테크놀로지 발달을 형상화 하고 있으며, 현대의 미디어 기술 또한 과거의 과학적 철학에서 출발해 미래로 연결되고 있음을 상징하는 작품이다.
거대한 거울 효과를 연출하는 <밀레니엄셀>은 미디어기술의 본질은 궁극적으로 세계를 반영하는 거울이며, 물방울이 끓어올라 상승하는 듯한 조형물의 외관은 미래의 디지털시대로의 변화를 이루고자 하는 DMC의 비전을 형상화한 것이다.
광장에서 보여지는 <글로벌아이>는 지구 반대편인 우루과이 수도 몬테비데오의 하늘과 풍경을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DMC를 찾는 관람객들에게 지구촌의 동시간성·동시대성을 체험하게 하고, 미래 미디어 기술이 가져다 줄 확장된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지난 6월, 서울시 관계자와 작가가 우루과이를 방문해 ‘서울시 - 콘테비데오시 - 우르과이동방공화국 통신공사(ANTEL)간 양 도시간 우호협력 증진 및 기술지원을 위한 양해각서’체결을 완료했다.
마지막으로 <월드 스퀘어>는 전 세계인의 꿈이 하나로 융화되는 미디어 용광로를 의미하며, 서울시민은 물론 세계인들에 소통하고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예술적 공간을 조성한다.
특히, ‘밀레이니엄 아이’는 거울과 빛을 이용해 낮과 밤 각각 다른 모습을 선보여 새로운 예술적 가치로 평가받고 있다. 레니엄 아이는 고대 한국의 과학 문명을 대표하는 역사적 유물인 첨성대를 현대적 조형언어로 표현해 현대의 미디어 기술이 과거와 미래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고자 했다”고 말했다.
낮 시간에는 우물형태의 ‘글로벌아이’에 표출되는 우루과이 수도 몬테비데오의 밤하늘이 140개의 거울로 이루어진 <밀레니엄셀>에 반사되어 판타지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일몰 30분 전부터는 낮 하늘영상이 반사되어 서울의 밤하늘과 극적대비효과를 보인다.
여기에 조형물을 둘러싸고 있는 조명은 거울의 반사효과를 통한 흑백대비효과로 더욱 다이내믹한 효과를 보인다.
상징물을 제작한 이배경 작가는 “밀레니엄 아이는 고대 한국의 과학 문명을 대표하는 역사적 유물인 첨성대를 현대적 조형언어로 표현해 현대의 미디어 기술이 과거와 미래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고자 했다”고 말했다.
서울시 박중권 투자유치과장은 “상징조형물 공개로 이제 DMC는 국내의 미술을 뛰어넘어 세계를 대표할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의 상징물을 갖게 되었다. DMC를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에게 첨단 디지털 기술이 가미한 또 하나의 볼거리를 제공하게 될 것이며, 세계 최고 높이의 랜드마크 빌딩과 함께 DMC를 상징할 수 있는 랜드 마크로서 부각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제진흥본부
투자유치과 정정모
02-2171-2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