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북한산 무허가건물지 헐고 생태공원 조성
서울시는 농사 및 주거용으로 무단 점유됐던 성북구 정릉4동 산1-1 일대의 생태환경을 복원하고 이 일대 무허가 건물 13동을 작년부터 철거해 지난 10월말 12,000㎡규모의 생태공원 조성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 지역은 북한산국립공원에서 길음뉴타운으로 이어지는 녹지축을 복원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입구부에는 만남의 광장과 신갈, 굴참, 졸참, 상수리 등 다양한 종류의 참나무를 볼 수 있는 생태복원지가 조성됐다.
또 전망쉼터를 설치해 이곳을 찾는 시민들이 북한산 봉우리 등 자연을 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전망쉼터를 지나면 자귀나무와 자생화 등으로 아름답게 조성된 중앙에 체육시설과 야외북까페 등을 설치해 정릉초교 학생들과 주변 지역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기존 사찰을 리모델링해 2009년 개관한 성북생태체험관이 바로 옆에 있어 자연학습장으로 함께 이용하기 좋다.
성북생태체험관은 현재 자연생태놀이(매주 화요일 10시), 숲에서 자라는 아이들(초등생 대상, 매주 목요일 10시), 작은세상 친구들 관찰하기(현미경 관찰, 매주 토요일 14시), 세밀화교실(성인대상, 매주 수요일 10시)이 진행되고 있으며 신청은 성북생태체험관나누기 블로그 홈페이지(http://cafe.naver.com/sbgreensharing)로 하면 된다.
이곳은 신설동로터리나 보문역에서 1014번 버스, 길음역에서 1114번 버스를 타면 바로 성북생태체험관에서 하차할 수 있어 접근성도 좋다.
또한, 이번에 복원된 생태공원은 북한산 둘레길과 연결되는 구간이기도 해 둘레길을 찾는 이용객들이 화장실 등 편의시설과 넓은 휴식공간에서 단체로 식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한편 이번 공원조성에는 무허가 건물에 살고 있던 거주민의 주거공간 확보를 위해 보상비 13억, 공사비 7억, 체육시설 8억(국비)등 총 28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
최윤종 서울시 공원조성과장은 “일부에게 무단 점유됐던 북한산 자연공간이 시민 품으로 돌아왔다”며 “정릉초교 학생들은 물론 주변 지역주민들이 숲을 체험하기 좋은 곳으로 다양한 이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
공원조성과 김승렬
02-2115-7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