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기준 운수업조사 잠정결과
Ⅰ. 개 황
운수업 매출액, ‘79년 통계청에서 운수업 통계작성 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감소를 나타냄
’09년 운수업 매출액은 세계적인 금융위기 영향으로 인한 경기침체에 따라, 수출입 물동량 감소 및 해외 여행객 둔화 등으로 수상운송업 및 항공운송업에서 감소하여 전년(‘08년) 대비 -12.4%를 나타냄
운수업 기업체수, ‘02년 이래 낮은 증가세 지속
‘09년 말 운수업 기업체수는 육상운송업의 개인택시 및 용달화물업체 등의 증가로 인해 전년대비 증가(0.2%, 552개)하였으나, 개인택시(2,196개 증가)를 제외할 경우 오히려 감소(-0.5%, -1,644개)
육상운송업의 비중은 축소되고, 수상운송업은 확대
운수업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수상운송업의 비중은 해외수출 물동량 증가 등에 따라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육상운송업에서는 축소 추세에 있음
2009년 운수업 동향
기업체수는 전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종사자수·매출액 및 영업비용은 감소
운수업 기업체수는 전년대비 0.2% 소폭 증가. 이는 육상운송업(0.3%), 수상운송업(10.1%) 등은 증가한 반면,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2.8%)은 감소한데 기인
종사자수는 전년대비 0.7%감소. 이는 수상운송업(1.8%) 및 항공운송업(1.6%)은 증가한 반면, 육상운송업(-0.8%), 창고 및 운송관련서비스업(-1.4%)에서 감소한데 기인
매출액은 전년대비 12.4%감소. 이는 육상운송업(2.7%), 창고 및 운송관련서비스업(2.4%)은 증가한 반면, 수상운송업(-31.3%), 항공운송업(-6.8%)에서 감소한데 기인
영업비용은 전년대비 9.9% 감소. 이는 육상운송업(1.7%), 창고 및 운송관련서비스업(1.2%)은 증가한 반면, 수상운송업(-23.4%), 항공운송업(-6.9%)에서 감소한데 기인
Ⅱ . 2009년도 운수업종별 주요동향
1. 육상운수업
육상운송업은 기업체수(0.3%), 매출액(2.7%) 및 영업비용(1.7%)은 증가하였으나, 종사자수(-0.8%)는 감소
기업체수는 택시운송업(1.3%), 전세버스운송업(0.2%) 등은 증가하였으나, 화물자동차운송업(-0.6%), 기타육상운송업(-8.1%) 등이 감소
종사자수는 택시운송업(0.6%), 시내버스운송업(0.9%) 등은 증가하였으나, 기타육상운송업(-17.7%), 전세버스운송업(-5.0%) 등이 감소
매출액은 화물자동차운송업(4.4%), 기타육상운송업(5.4%) 등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하였으나, 철도운송업(-2.8%), 고속버스운송업(-2.2%),시내버스운송업(-0.7%) 등이 감소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연간 교통비용, 73만 6천원 지출
- ‘08년 대비 1만 3천원 감소
운수업종별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연간 지출한 교통비용은 택시이용료(21만 5천원), 항공이용료(20만 4천원), 시내버스이용료(13만원), 철도이용료(5만 7천원), 시외버스이용료(4만 5천원) 순으로 나타남
인구 1,000명당 택시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제주(10.1대), 부산(7.3대) 순이며, 가장 적은 지역은 경기(3.1대), 충남(3.4대) 순임
2. 수상운송업·항공운송업
수상운송업은 금융위기 영향으로 해외화물이 크게 감소하여 매출액이 전년대비 31.3% 큰 폭 감소
기업체수는 내항화물운송업(21.1%), 항만내운송업(12.5%) 등은 증가하였으나, 외항여객운송업(-12.5%), 내항여객운송업(-11.4%)이 감소
종사자수는 내항화물운송업(18.0%), 항만내운송업(15.8%) 등은 증가하였으나, 외항여객운송업(-9.2%), 내항여객운송업(-5.1%) 등이 감소
항공운송업은 해외 여행객 감소로 매출액이 전년대비 6.8% 감소
기업체수 및 종사자수는 정기항공운송업, 부정기항공운송업 모두 증가
외항화물운송업,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전년대비 매출액 크게 감소
수상운송업 매출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항화물운송업 (94.7%)은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 및 국제 해운운임 인하 등 영향으로 전년(’08년)대비 매출액 감소(-32.7%)
항공운송업 매출액, 여객부분이 3/5(60.4%)를 차지
항공운송업 매출액은 부문별로 여객부문(-6.1%, -5,375억원) 및 화물부문(-11.1%, -4,662억원)에서 감소하였으나, 기내상품판매 등 기타부문(0.4%, 73억원)은 소폭 증가
항공운송업 매출액은 여객부문이 8조 2,192억원으로 전체의 60.4% 차지하였으며, 여객·기타 부문에서는 전년도에 비해 비중이 늘어났으나, 화물부문은 비중이 줄어들었음
3.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창고 및 운송관련서비스업은 기업체수(-2.8%), 종사자수(-1.4%)는 감소하였으나, 매출액(2.4%) 및 영업비용(1.2%)은 증가
기업체수는 도로 및 관련시설운영업(11.1%), 수상화물취급업(2.8%) 등은 증가하였으나, 주차장운영업(-6.3%), 육상운송주선업(-0.5%) 등이 감소
종사자수는 육상운송주선업(6.8%), 터미널운영업(4.1%) 등은 증가하였으나, 주차장운영업(-12.2%) , 철도운송지원서비스업(-9.1%) 등이 감소
매출액은 육상운송주선업(36.2%), 복합운송주선업(8.6%) 등은 증가하였으나, 항공 및 육상화물취급업(-27.1%), 수상화물취급업(-11.4%) 등이 감소
운송주선업 (육상운송·복합운송), 물동량 증가로 매출액 증가
육상운송주선업은 국내화물 물동량 증가에 따라 ‘08년 대비 매출액이 36.2% 증가하였는데, 이는 ’07년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회복된 것임
복합운송주선업은 주선료 인상 효과 등으로 ‘08년 대비 매출액 8.6% 증가
도로 및 관련시설운영업, 운행차량증가로 매출액 소폭 증가
도로 및 관련시설 운영업(고속도로, 터널, 교량 등을 운영하는 산업 활동)은 운행차량 증가 및 일부노선 증가 등으로 ‘08년보다 매출액 2.7% 증가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경제통계국 산업통계과
과장 장경세
042.481.2133
-
2018년 1월 2일 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