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4분기 지역경제동향

대전--(뉴스와이어)--Ⅰ 부문별 지역경제동향

1. 생 산 동 향

2010년 3/4분기 광공업생산은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 기계장비, 자동차 등 수출주도 업종을 중심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1.8% 증가 (증가세는 전분기보다 7.7%p 둔화)

지역별로 보면, 광주(24.0%) 지역은 전분기보다 증가세가 확대되었고, 경기(20.7%), 경남(17.1%), 대구(16.3%), 전북(15.4%) 지역은 반도체, 자동차, 기계장비 업종이 호조를 보여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제주(-23.7%), 경북(-4.3%), 서울(-2.7%), 전남(-0.4%) 지역은 감소

< 증가율이 높은 지역 및 주요 증가업종 >
·광주(24.0%): 기계장비(79.0%), 자동차(34.4%), 고무 및 플라스틱(27.9%)
·경기(20.7%): 기계장비(49.1%),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33.2%), 자동차(19.6%)
·경남(17.1%): 기계장비(59.7%), 1차금속(32.6%), 전기장비(28.9%)
·대구(16.3%):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48.0%), 기계장비(44.5%), 1차금속(26.3%)
·전북(15.4%): 고무 및 플라스틱(95.7%), 기계장비(62.5%), 식료품(10.3%)

2. 소 비 동 향

2010년 3/4분기 대형소매점 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7.6% 증가하였으며, '09년 4/4분기부터 4분기 연속 5% 이상의 증가세를 유지

모든 지역에서 증가한 가운데, 강원(21.2%), 충북(13.4%), 부산(13.3%), 대전(11.4%), 전북(10.7%) 지역에서 비교적 크게 증가

백화점 판매는 인천(-7.9%), 대구(-0.4%)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증가하였으며, 부산(25.6%), 대전(14.6%) 지역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

3. 고 용 동 향

2010년 3/4분기 취업자는 제조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에서 고용이 증가하여 전년동분기대비 1.6% 증가 (증가세는 전분기보다 0.2%p둔화)

지역별로 보면, 울산(3.4%), 서울(3.3%), 경기(2.5%) 지역은 제조업,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고용이 크게 증가

전북(-1.3%) 지역은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건설업 등에서 부진하여 감소하였으며, 전남(-4.8%), 제주(-2.8%), 강원(-0.1%) 지역은 전분기에 이어 감소세를 지속

인구변동이 감안된 고용률*을 보면, 대전, 대구를 제외한 특·광역시 지역에서는 전년동분기에 비해 상승
* 고용률(%) = (취업자÷15세이상인구)×100

도 지역 중에는 경북, 충북, 경기, 충남 지역에서 소폭 상승한 반면, 나머지 도 지역에서는 하락

4. 물 가 동 향

2010년 3/4분기 소비자물가는 식료품·비주류 음료, 주거 및 수도·광열 등의 가격이 올라 전년동분기대비 2.9% 상승

◦모든 지역에서 소비자물가는 전분기보다 상승률이 확대된 모습

※ 10월에는 식료품·비주류 음료가 큰 폭으로 상승(14.1%)하여 4% 이상으로 상승한 지역이 많아졌음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는 경남(3.8%), 제주(3.8%), 울산(3.7%), 전북(3.5%), 경북(3.5%) 지역에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음(전국은 3.1% 상승)

5. 건 설 동 향

2010년 3/4분기 건축착공면적은 공업용, 농수산용의 건축착공이 늘어나 전년동분기대비 4.5% 증가 (증가세는 전분기보다 41.6%p 큰 폭으로 둔화)

지역별로 보면, 제주(79.3%), 대전(74.4%), 울산(55.4%) 지역에서 주로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착공이 늘어나 큰 폭으로 증가

광주(-25.9%), 대구(-14.5%), 경기(-14.1%), 강원(-11.6%) 지역에서는 주거용 및 상업용 착공의 부진으로 감소

건축허가면적은 제주(123.4%), 서울(42.8%), 부산(30.6%) 지역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경기(-49.6%), 광주(-23.6%), 충북(-21.0%) 지역에서는 크게 감소 (전국은 14.3% 감소)

6. 수 출 동 향

2010년 3/4분기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의 주력 품목이 호조를 보여 전년동분기대비 23.7% 증가 (증가세는 전분기보다 9.4%p 둔화)

지역별로 보면, 전북(51.2%), 인천(32.9%), 충남(32.7%), 부산(31.8%) 지역에서 반도체, 자동차, 선박구조물 등이 늘어나 크게 증가

경북(13.1%), 제주(14.0%), 경남(14.6%) 지역은 무선통신기기, 평판디스플레이 등에서 부진하여 비교적 낮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두자리 수 증가세를 기록

수입은 강원(40.7%), 대구(38.1%) 지역에서 천연가스, 원유, 반도체 제조장비 위주로 크게 증가

Ⅱ 광역권별 경제동향

2010년 3/4분기 5대 광역권별 경제동향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반도체, 자동차 등의 수출호조가 지속되면서 광공업생산이 17.2% 증가하였으며, 소비(대형소매점판매)도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

고용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제조업의 취업자가 늘어나 2.7% 증가한 반면, 건축착공면적은 0.1% 감소하여 전분기(58.4%)보다 크게 둔화

충청권은 무선통신기기, 자동차 등의 수출이 늘어나 광공업생산이 9.9% 증가하였으며, 소비(대형소매점판매)는 10.4% 증가하여 큰 폭의 증가세를 유지하였고, 고용과 건설착공면적도 증가세를 지속

호남권은 수출이 연속 증가함에 따라 광공업생산이 8.8% 증가하였으나 증가세는 전분기(15.2%)보다 둔화

소비(대형소매점판매)는 8.2% 증가하여 증가세가 전분기(3.9%)보다 확대된 반면, 고용과 건축착공면적은 감소로 전환

대경권은 광공업생산이 감소로 전환된 반면, 소비(대형소매점판매)는 7.7% 증가하여 연속 증가세를 유지

고용과 건축착공면적은 각각 1.0%, 11.7% 증가하였으나 증가세는 전분기보다 다소 둔화

동남권은 자동차,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광공업생산과 수출이 각각 8.8%, 16.5% 증가

소비(대형소매점판매)는 10.7% 증가하여 증가세가 전분기(7.8%)보다 확대되었으며, 고용은 제조업,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서 취업자가 늘어나 1.2% 증가

Ⅲ 시·도별 경제동향

1. 서 울
광공업생산이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었고, 대형소매점판매, 건축착공면적, 수출은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반면, 고용은 증가세가 확대

2. 부 산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었고, 광공업생산, 고용, 수출은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반면, 대형소매점판매는 증가세가 확대

3. 대 구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었고, 고용은 증가세가 크게 둔화된 반면, 광공업생산, 수출, 대형소매점판매는 3분기 연속 큰 폭의 증가세를 유지

4. 인 천
광공업생산, 고용,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세가 둔화된 반면, 수출과 대형소매점판매는 3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

5. 광 주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었고, 고용은 증가세가 둔화된 반면, 광공업생산과 대형소매점판매는 증가세가 확대되었고, 수출은 큰 폭의 증가세를 유지

6. 대 전
광공업생산과 수출은 증가세가 둔화된 반면, 대형소매점판매와 고용은 증가세가 확대되었고, 건축착공면적은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7. 울 산
광공업생산과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세가 소폭 둔화된 반면, 대형 소매점판매, 고용, 수출은 증가세가 확대

8. 경 기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된 반면, 광공업생산, 대형소매점판매, 고용, 수출은 증가세 지속

9. 강 원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었고, 고용은 감소세가 지속되었으며, 광공업생산은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반면, 대형소매점판매와 수출은 큰 폭의 증가세를 지속

10. 충 북
광공업생산, 고용,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세가 둔화된 반면, 대형소매점판매와 수출은 증가세가 확대

11. 충 남
광공업생산과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반면, 대형 소매점판매는 증가세가 다소 확대되었고, 수출은 큰 폭의 증가세를 유지

12. 전 북
고용과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된 반면, 광공업생산과 수출은 큰 폭의 증가세를 유지하였고, 대형소매점판매는 증가세가 확대

13. 전 남
광공업생산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었고, 고용은 감소세가 지속된 반면, 대형소매점판매는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고, 수출은 큰 폭의 증가세를 지속

14. 경 북
광공업생산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되었고, 고용과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반면, 대형소매점판매와 수출은 증가세가 확대

15. 경 남
건축착공면적은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된 반면, 광공업 생산은 큰 폭의 증가세를 유지하였고, 대형소매점판매, 고용, 수출은 증가세가 다소 확대

16. 제 주
광공업생산과 고용은 감소세가 지속된 반면, 대형소매점판매는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으며, 건축착공면적과 수출은 증가세가 확대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정책홍보담당관
과장 김선옥
042-481-2044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