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구주 현황 및 특성 분석

대전--(뉴스와이어)--최근 들어 이혼, 결혼 지연 및 1인가구의 증가 등으로 여성가구주가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특히, 여성가구주의 고령화 현상 등을 감안할 때 이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 여성가구주 : 해당가구에 거주하며 그 가구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으며, 사실상 생계유지를 위한 비용(예, 의식주 지출)을 주로 조달하고 있는 사람이 여성인 가구

☞ 주민등록상의 세대주와는 관계가 없으며, 이혼·사별 등으로 배우자가 없는 경우 뿐만 아니라, 배우자가 있음에도 사실상 생계를 책임지는 경우는 여성가구주에 해당

여성가구주를 위한 사회적 지원 대책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여성가구주에 대한 특성은 물론 다양한 가치관과 그 특성을 정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가계동향조사’등을 통해 여성가구주의 인구-사회학적 현황(연령, 교육수준), 경제생활 수준(월평균 소득, 소비, 주거형태) 및 노동시장 참여 형태 등을 분석하였다.

장래인구추계상 2010년 우리나라의 총가구수는 17,152천 가구이며 이중 여성이 가구주인 가구는 3,809천 가구로 전체의 22.2%를 차지

평균 가구원수(’09년 기준)는 여성가구주의 경우 1.93명으로 남성가구주 가구 평균(3.22명)보다 적음

가구원수 구성(’09년 기준)에서도 여성가구주의 경우 1인가구 비중이 49.4%로 가장 많은 반면, 남성가구주는 4인가구 비중(36.5%)이 가장 높음

여성가구주 평균연령(’09년 기준)은 54.0세로 나타났고, 50대가 22.5%로 가장 많고, 40대와 60대가 각각 20.8%, 19.7%로 나타남

교육수준(’09년 기준)은 중학교 이하 여성이 52.7%, 고등학교 학력의 여성이 31.2%, 그리고 초대졸(전문대 졸업 포함) 이상이 16.2%를 구성

여성가구주 중 배우자가 있는 경우(’09년 기준)는 32.4%, 배우자 없는 경우가 67.6%를 차지하고 있으며, 배우자 없는 경우(’05년 44.6%)는 지속적으로 증가

여성가구주 중 노인가구*는 24.6%, 모자가구는 10.2%, 맞벌이 가구는 4.3%, 일반가구는 61.0%를 차지

* 노인가구 : 가구주가 65세이상이며, 18세이상 65세미만인 가구원이 없는 가구

⇒ 남성가구주의 경우 노인가구는 7.0%에 불과함

* 모자가구 : 여성가구주와 자녀만으로 구성된 가구

세대구분*시 1세대가구 56.8%, 2세대가구 38.2%를 차지한 반면, 남성가구주의 경우 세대구분시 2세대가구가 65.5%로 다수임

* 세대구분 : 부모님이나 형제들끼리 사는 것을 1세대, 부모님·자녀들이 함께 사는 것을 2세대, 조부모·부모님·자녀들이 사는 가정을 3세대 가구라함

여성가구주 중 취업을 한 경우(’09년 기준)는 58.4%로 남성가구주 중 취업을 한 경우(85.3%)에 비해 낮음

직업별로는 단순노무 종사자(30.5%), 서비스 종사자(21.2%), 판매 종사자(15.2%),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13.0%), 사무 종사자(10.9%)의 순으로 나타남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16.2%), 숙박 및 음식점업(15.0%), 제조업(12.8%)의 순으로 나타남

여성가구주의 주거실태(’09년 기준)에 있어서는 55.7%가 자기집을 소유하고 있으며, 입주형태로는 자기집 50.7%, 전세 20.9%, 보증부월세(사글세 포함) 20.7%임

주택유형으로는 단독주택이 47.8%로 가장 많고, 아파트 30.5%, 연립주택 20.2%, 기타 1.5%임

한편, 여성가구주의 26.1%만이 자동차를 소유한 반면, 남성가구주의 경우 71.9%가 자동차를 소유

여성가구주 가구의 월평균 소득(’09년 기준)은 1,847.7천원이며, 전체 소득 중 경상소득이 95%, 비경상소득이 5%를 차지하며, 이중 근로소득(46.3%), 이전소득(31.2%), 사업소득(16.7%)의 순

월평균 가계지출은 1,536.5천원이며, 소비지출 비중은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15.8%, 주거 및 수도광열 15.0%, 음식·숙박 11.2% 순

비소비지출 비중은 가구간 이전지출 42.4%, 비영리단체로 이전 18.2%, 사회보장 11.0%, 이자비용 9.9%의 순으로 나타남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과장 이호섭
042.481.223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