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거래 중개하고 공동체 화폐 관리하는 ‘서울 e-품앗이’ 홈페이지 구축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 e-품앗이’는 온라인상에서 시민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서비스와 기술, 물품 등을 ‘e-품앗이 공동체 화폐’를 통해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는 제도다.
‘e-품앗이 공동체 화폐’는 통장에만 표기되는 가상화폐로서 통화단위는 <문(門)>이다. 1문은 1원의 현금 가치를 가지며 서울 e-품앗이 공동체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서울 e-품앗이에서 나눌 수 있는 품목으로는 아이돌보기 등 돌봄, 학습지도, 상담, 수리·제작, 가사·홈패션, 이·미용, 의료 등 서비스 거래에서 식품, 의류, 패션잡화, 출산·유아동용품, 가구, 전자, 도서, 스포츠, 자동차, 생활용품, 악기 등 물품거래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
예를 들어 보일러 수리 등 자신이 가진 기술을 제공하고 3만문의 가상화폐를 적립, 다른 회원으로부터 자전거를 1만문에 구입하는 거래 방식이다.
이렇듯 실제로 돈을 쓰지 않고도 내가 가진 재능으로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회원들이 온라인상에서 거래를 중개하고 계좌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서울시복지재단 안에 서울품앗이센터를 설치하고, ‘서울 e-품앗이 홈페이지’(http://poomasi.welfare.seoul.kr)를 구축, 오픈했다.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끼리 이루어지는 거래내용이 기록되고 이 정보는 다른 회원에게도 공개된다.
온·오프라인을 통해 지역 회원으로 가입한 시민들은 서울 e-품앗이 홈페이지에서 계좌를 개설한 뒤,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나 재능, 물품을 홈페이지를 통해 판매하고 다른 회원이 홈페이지에 올린 서비스나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거래되는 서비스 내용이나 금액은 거래 당사자들이 직접 협의해 결정할 수 있다.
서울 e-품앗이 사업은 ‘양천 공동체’, ‘노원 공동체’ 등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지역별 공동체를 기본 단위로 이루어진다.
서울시는 이미 지난 1일부터 1차 시범사업으로 노원구와 양천구에 사는 희망플러스·꿈나래통장 가입자 중 신청자 100명으로 꾸려진 ‘노원 품앗이’와 ‘양천 품앗이’에 대한 시범사업에 들어갔다.
시는 1차 시범운영을 2011년 3월까지 실시하고, 2차 시범운영으로 2011년 4월부터 9월까지 아파트부녀회, 학교, 다문화가족 모임 등 타깃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2011년 10월부터는 서울시 전역으로 사업을 확대, 원하는 시민이면 누구나 지역별로 공동체를 구성하여 e-품앗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서울 e-품앗이 사업을 통해 나눔 문화의 확산과 사회통합 효과를 꾀하는 한편 이 사업이 장기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중고 물품 등 자원의 효과적 연계 활용이 가능해져 환경보호에도 큰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면호 서울시 복지국장은 “서울 e-품앗이 사업은 지역 주민이 주체가 되어 기존 인적, 물적 자원을 나누고 공유하는 자립복지, 참여복지, 공동체복지 활성화 사업”이라며 “별도의 예산투입이 필요 없는 미래형 복지정책”이라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복지건강본부
복지정책과 고광현
02-3707-9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