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겨울철 AI·구제역 사전차단 위한 특별방역대책 가동
이번에 특별관리되는 대상은 AI 발생가능성이 있는 닭·오리·거위·칠면조·꿩 등의 가금류와 구제역 발생가능성이 있는 소·돼지·염소·사슴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우제류다.
서울시는 올해 우리나라에서만 17건의 구제역이 발생했고, 인접한 중국, 일본, 대만에서도 지속적으로 발병을 하고 있으며, AI 또한 2008년 이후 국내 발생은 보고되지 않았으나 인도, 베트남, 캄보디아 등 가까운 11개의 사육농가와 6개국 야생동물에서 관찰되고 있어 집중관리체계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먼저 사육시설별로 전담직원을 배치해 주 1회 사육주를 직접 방문 또는 전화로 ‘AI·구제역 예방요령’을 집중 교육하고 의심동물 발생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이와 함께 사육주에게 예방요령 리플렛 1,000부를 배포하고 24시간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또한 매주 수요일을 ‘소독의 날’로 지정하고 사육농가에 대해 소독약품을 긴급 지원해 농가중심의 자율방역을 유도하는 한편 외곽 농촌지역 축산 농가는 각 자치구 보건소 및 연구원으로 구성된 8개팀 소독지원반이 방역차량을 이용해 주 1회 소독작업을 지원해 차단방역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권용하 서울시 동물관리팀장은 “동절기에는 가급적 신규입식은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사육할 경우 철새와의 접촉을 피하는 한편 주기적으로 사육시설에 대해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우제류 사육농가는 구제역 발생국 여행을 자제하고, 여행 후 5일간은 축사 출입을 금지하며 축사 출입시 옷·신발 등을 소독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제진흥본부
주무관 김세곤
02-6321-4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