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 중동의 문화 거장들을 만난다
아프리카, 중동, 그 깊고 오묘한 문화의 세계로의 초대
가나의 사진
가나의 문화에는 유럽풍뿐만 아니라 지중해와 동양적인 요소가 잘 조화되어 있으며 그들의 토속적인 요소도 현재의 생활 속에 잘 녹아 있다. 가나인들의 전통적인 문화는 우주론, 철학, 종교, 사회정치적 사상, 예술 등의 개념과 사상에 잘 나타나 있다. 가나에서는 버크너 콤라 도베와 토마스 핀 명인이 방문한다.
- 버크너 콤라 도베(Buckner Komla Dogbe)
버크너 콤라 도베는 가나의 아티스트로서 고전식 모더니스트이다. 그는 예술의 여러 가지 방식에서 가나를 대표하고 있다. 그는 가나와 아프리카의 문화와 예술 이미지를 나타내왔다. 그의 스타일은 사실주의에서 추상까지 걸쳐있고, 주로 하는 주제는 문화, 역사와 국제적인 사건들이다. 그는 아프리카의 단단한 나무로 작업하는 것을 좋아하며 사람의 형상에 대해 조각하는 것을 좋아한다.
- 토마스 핀(Thomas Fynn)
토마스 핀은 가나의 촉망받는 사진작가로서 사회-문화적 행사들과 활동, 프로그램들의 작품 사진으로 가나를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가나의 문화와 역사적 자산을 널리 알리기 위해 수많은 전시회를 개최했다. 이것은 독일의 하노버에서 열린 월드 익스포지션 2000, 월드 엑스포 2005와 같은 국제 행사들에서 축적된 경험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세네갈의 그림
아프리카에서 문화수준이 높은 나라 중 하나로 꼽히는 세네갈은 뛰어난 자연경관의 아름다움으로 많은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세네갈에서는 칼리두 카쎄 명인이 방문하여 풍부한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 칼리두 카쎄(Kalidou Kasse)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인정받는 세네갈의 화가로서, 전 세계에 걸쳐 수많은 전시회에 참여했다. 특수 재료를 이용한 회화 기법을 많이 사용하며,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풍부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오만의 독특한 디자인
신밧드가 태어난 곳으로 알려진 오만은 아라비아 반도 남동부 해안에 있는 나라이다. 오만은 기원전 563년에 페르시아 제국의 하나로 편입되었다. 기원전 3, 4세기에 페르시아인들이 세운 제국은 7세기까지 지속되며, 1세기가 시작할 무렵 아랍인들이 오만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632년에 페르시아 제국은 오만에서 힘을 잃어버리고 아랍인의 나라가 세워졌다. 오만에서는 살림 사키 알바루쉬 명인이 방문한다.
- 살림 사키 알바루쉬(Saleem Sakhi Albalushi)
오만의 저명한 디자이너로서, 1995년 유네스코 주최로 열린 제3회 국제 포스터 콘테스트에서 3위를 했으며, GCC를 포함해 수많은 그룹전을 가졌다. 야생 생활, 자화상, 풍경 등을 소재로 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이집트의 전통댄스의 세계
이집트는 누구나 알다시피 고대 이집트 문명과 그 산물인 기자의 피라미드와 대 스핑크스 등 세계적인 문화유산의 보고이며, 남부 도시 룩소르에는 카르낙 신전이나 왕들의 계곡 등 고대 유적이 수없이 많다. 또한 이집트는 중동에서 중요한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이며 경제 면에서도 매우 앞선 나라이기도 하다. 이집트에서는 모하메드 아트이야 명인과 유니스 모하메드 아흐메드 타하 명인이 방문한다.
- 모하메드 아트이야(Mohamed Attya)
이집트의 무용가이다. 수피 Tannoura 댄스 전문가. 이 수피 Tannoura 댄스는 무용가가 원을 그리며 무한히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이 원형으로 도는 것은 Mulawia sect로 알려진 이슬람 수피 의식에 철학적 개념을 반영한 것이다. 이 개념을 믿는 사람들은 우주가 한 지점의 회전의 지점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믿는다. 우주가 같은 지점에서 시작되고 끝나기 때문에 무용수는 태양을 의미한다.
- 코트디부아르의 전통음악과 전통무용의 세계 속으로
프랑스어로 ‘상아 해안’이란 뜻으로, 영어로는 ‘아이보리 코스트(Ivory Coast)’라고 부르는 국명을 가진 나라, ‘코트디부아르’. 코트디부아르에서는 바 방가 니엑, 세리 욜란드의 두 명인이 방문하여 코트디부아르의 전통 공연을 보여줄 예정이다.
- 바 방가 니엑(Ba Banca Nyeck)
바 방가 니엑은 서아프리카 음악에 쓰이는 반음계 발라폰(African xylophone) 모형의 창시자이다. 이 발라폰은 일반적인 스케일에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전통 아프리카 악기의 연주를 일반화할 수 있게 하였다. 그는 이번 월드마스터 페스티벌에서 범아프리카 전통공연, 특별하게는 코트디부아르 전통공연을 보여줄 예정이다.
- 세리 욜란드(Sery Yolande)
코트디부아르의 세리 욜란드는 코트디부아르 무용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무용단의 이사로서, 무용단과 전 세계를 다니고 있다. 그는 아프리카 전통춤을 통해 아프리카의 가치를 개발하고자 하는 무용가로서, 이번 페스티벌에는 여성들의 흥미로운 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튀니지의 전통 음악 전하는 세 명의 명인
유럽과 접한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튀니지는 지리적 여건 때문에, 고대로부터 유럽과 아시아계 국가들의 지속적인 침입을 받았는데, 그 결과 튀니지의 문화 속에는 아랍, 로마, 유럽의 문화가 한데 섞여 있다. 고대 카르타고 유적과 로마 유적 등 많은 유적지가 있는 튀니지는 문화를 사랑하는 문화선진국이다. 튀니지에서는 세 명의 명인이 방문하여 고유한 음악을 선보일 예정이다.
- 페티 존다(Fethi Zghonda), 모하메드 압델 카데르 이븐 하즈 카셈(Mohamed Abdelkader Ibn Haj Kacem), 사비 무스타파(Sahbi Mustapha)
튀니지 음악의 거장이자 바이올리니스트인 페티 존다 세계명인은, 튀니지의 문화부에서 일하면서 문화 발전을 위한 주요한 일들을 하였고, 튀니지 가요페스티벌을 창시(1986년부터 1992년까지 처음 6회 감독)하였다. 튀니지 국가음악위원회 사무총장으로서 튀니지 음악의 발전에 지대한 공로를 쌓은 튀니지음악의 거장이자 아랍 아프리카 음악계의 거장이다.
사비 무스타파 세계명인은 튀니스 국립아카데미와 튀니스 고등음악학교의 류트(lute-16세기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유행했던 발현악기) 교수이며, 최고의 류트 연주자로 해외의 다양한 음악행사에 참가하였으며, 많은 류트연주음반과 류트 창작곡 등을 녹음하는 등 류트 솔로 연주자로서 높은 명성을 지니고 있다.
모하메드 압델카데르 이븐 하즈 카셈 세계명인은 튀니스의 국립아카데미, 아리아나 지역아카데미, 라키디 아 아카데미 타악기 교수이며, 일류 타악기 연주자로 해외의 다양한 행사에 참여, 튀니지의 음악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2010 월드마스터 페스티벌 World Masters Festival 2010 (www.worldmasters.org)
장소: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진남체육공원 일대
일시: 2010년 12월 3일(금)~5일(일) 3일간
(개막식- 12월 3일 오후 2시)
주최: 여수시, 월드마스터 조직위원회
주관: 세계명인문화예술교류회, 대한명인회
월드마스터위원회 개요
월드마스터위원회는 자국의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예술인을 월드마스터(세계명인)로 선정하는 비영리국제문화기구로서, 문화와 예술을 통해 하나되는 세상을 만들고, 세계평화와 화합을 이루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worldmasters.org
연락처
월드마스터조직위원회
황동윤 본부장
070-8228-0990
010-5796-0033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