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인문계 논술 ‘논제 3’은 글쓰기 방법론에서 승패가 엇갈린다
고려대학교 2011학년도 모의논술고사 ‘논제 3’은 전형적인 논리적 추론의 글쓰기 문제이다. 한 입장에서 다른 입장을 비판하는 글을 쓰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은 이 같은 형식의 글을 쓰지 못했다. 제시문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했음에도 불구하고 엉뚱한 답안을 적어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대학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대치동 신우성논술학원(02-3452-2210, www.shinwoosung.com)의 이태희 언어논술 대표강사는 “대부분 수험생들은 제시문만 완벽하게 독해하면 논술이 해결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글쓰기 방법론에서 승패가 갈린다고 볼 수 있다”면서 “논리적 추론 문제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은 거의 100%의 확률로 오답을 적어낸다”고 밝혔다.
이 선생은 “올 해 고대 모의 논술의 경우, 모순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동양적 사고의 관점에서 최인훈의 중편 ‘광장’의 주인공 명준이 자살을 선택한 것을 논하는 것”이었다면서 “학생들의 오답 유형은 크게 2가지였다”고 설명했다. 신우성논술학원에서는 19일부터 고려대 시험 전날까지 날마다 하루 6시간씩 언어논술, 3시간씩 논리논술 강좌를 진행한다.
논리적 추론의 오답 유형... 합리화 또는 비교의 글쓰기
첫 번째 오답 유형은 동양적 사고와 명준의 선택을 동일한 입장으로 파악한 답안이었다. 따라서 명준의 자살을 비판적 관점으로 논하지 못하고 있다. 역으로 명준의 선택을 동양적 사고의 관점에서 합리화했다. 이러한 유형의 오답은 제시문 독해 오류에서 출발한 측면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따져보면 논술 글쓰기 방법론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출발한 측면이 크다. 논리적 추론은 한 제시문의 입장에서 다른 제시문의 입장을 비판하는 문제 유형이기 때문이다.
한 제시문에서 다른 제시문의 입장을 합리화하는 패턴이 출제된 경우는 없다. 연세대, 서강대, 이화여대 등 다른 명문대들도 논리적 추론 문제를 즐겨 내지만 언제나 비판하는 글쓰기를 요구해왔다. 즉 논리적 추론은 ‘합리화’가 아닌 ‘비판’의 글쓰기라는 사실만 명심하고 있어도 동양적 사고와 명준의 선택이 정반대의 관점임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 오답 유형은 더욱 치명적이다. 논리적 추론을 포기하고 비교의 글을 쓰는 경우이다. 즉 동양적 사고와 명준의 자살을 각각 대비하면서 비교하는 답안 유형이다. 이 같은 비교의 글쓰기는 첫 번째 오답을 적어내는 수험생보다 논술 내공이 떨어지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연·고대 등 최상위권 수험생들의 경우에도 논리적 추론을 하라는 논제를 받아놓고서 정작 비교의 글쓰기를 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경우는 첫 번째 오답 유형과는 달리 동양적 사고와 명준의 선택이 정반대의 입장이라는 점은 파악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역시 글쓰기 방법론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논리적 추론, 주인이 하인을 꾸짖듯이 써라
그렇다면 논리적 추론의 글쓰기 방법론은 무엇일까? 이태희 선생은 “주인이 하인을 꾸짖는 듯한 느낌으로 글을 쓰면 된다”면서 “고대 모의 논술의 경우, 주인은 동양적 사고가 되고 하인은 자살을 선택한 명준이 된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우선 논제 직답형 답안을 써야 한다. 즉 명준의 선택이 동양적 사고의 관점에서 볼 경우 잘못된 선택이라는 점을 명시하는 논지를 써야 한다.
그리고 이 같은 논지를 뒷받침하는 2,3 개의 논지를 제시하면 글은 훌륭하게 완성된다. 명준의 선택 또는 동양적 사고를 자세히 설명해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되면 비교의 글로 전락(?)하기 쉽다. 이태희 선생은 “고대 측은 문장이 거칠어도 명확한 논지와 논거만으로 구성된 글을 선호하는 채점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 도움말: 이태희 선생 (신우성논술학원 언어논술대표강사, 서울대 석사(정치학), 전 국민일보 기자)]
신우성학원 개요
신우성학원은 대치동에 소재한, 전과목을 지도하는 종합 보습학원이다. 논술학원으로 출발한 신우성학원은 논술 면접은 물론 입학사정관, 수능(국어 영어 수학)과 한국사인증시험, 한자급수시험, 중국어급수시험 등을 전문적으로 지도한다. 2014년에 창립 11주년을 맞은 신우성학원은 중국어 급수시험(HSK iBT)을 주관하는 탕차이니즈에듀케이션의 협력사로서 홍보 및 시험 운영 업무도 병행한다.
웹사이트: http://www.shinwoosung.com
연락처
신우성학원
이상혁 원장
02-3452-2210
018-259-3065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