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토지정보전산자료 공유 62억 예산 절감, 조상 땅 찾아 960억 국민 품으로
시에 따르면 토지정보활용으로 토지관련 정책 자료들의 다목적활용이 가능해졌으며, 신속·정확한 민원처리로 행정 효율이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적전산자료를 도시개발사업, 택지개발사업 등의 도시관리계획 입안·결정 등 도서작성(913만필지) 등에 활용해 62억원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관련 자료의 근간이 되는 연속지적도 전산파일을 GIS 관련산업, 도시재생사업, 연구기관, 도시관리계획용역기관 등에 제공함으로서 신속한 정책결정과 의사결정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산자료 제공 뿐만 아니라 한국토지정보시스템 홈페이지(klis.daejeon.go.kr)를 통하여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발급 및 조회가 가능하고 개별공시지가 등을 제공하여, 지난 2008년부터 최근까지 제공한 토지정보는 280만건으로 하루 평균 3900여건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도 시민들에게 맞춤형 토지정보 포털을 구축하고 더 많은 콘텐츠를 구성하여 시민들 알권리 충족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토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조상 땅 찾기 민원서비스’를 통해 올해 현재까지 102명에게 130만㎡의 땅을 국민에게 찾아주었으며, 이는 서대전광장(3만2557㎡) 면적 40배에 이르는 크기로 개별공시지가로 환산하여 960억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조상 땅 찾기 서비스’는 토지소유자 본인 또는 사망자의 상속인, 그 위임을 받은 자 또한 상속인의 법적대리인이 가까운 구청 또는 시청을 방문해 신청하면 간단한 확인을 절차를 거쳐 10분 이내에 열람 할 수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적전산시스템을 활용한 DB제공 및 가공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데 주력하여 민원인, 공직자, 연구소 등에서도 자료구축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실시간 자료공유와 공간정보의 범정부적 통합관리를 위해 국토공간정보통합체계를 구축하고 지적행정의 효율화 도모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광역시청 개요
대전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염홍철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습니다. 대전시는 대전엑스포, 정부대전청사 유치, 유성 관광특구 지정,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현행 대전역 인근의 고속철도 주변 정비사업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해 왔습니다. 또한 버스준공영제와 전국이 부러워하는 복지만두레 시책으로 서민들에게 큰 혜택을 주고있으며, 대전지하철시대 개막, 100년만의 동서관통도로 개통, 각종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및 도심공원화 사업도 착실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염홍철 시장은 대전경제를 위해 서비스산업의 고도화, 의료웰빙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미래 성장동력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metro.daejeon.kr
연락처
대전광역시 지적과
담당자 전병필
042-600-2844
-
2014년 6월 20일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