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국산 장미품종 평가회 개최

수원--(뉴스와이어)--국내 장미 보급률 증가에 한 몫을 담당해 미래 장미시장을 이끌어갈 차세대 국산장미들이 한자리에 모여 저마다의 향을 뽐내는 시간을 가졌다.

농촌진흥청은 광주광역시농업기술센터와 공동으로 국산장미의 재배확대를 위해 국내육성 장미의 생산·보급 시범재배에 대한 현장평가회를 지난 15일 광주에서 개최했다.

평가회가 개최된 광주 김종화 농가는 국내 장미농가 중 재배면적(3.5ha)과 생산량에서 최대 규모인 농가로, 장미재배 농업인이 상시적으로 견학하고 있어 향후 ‘모델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곳이다. 이에 국산품종을 확대 보급할 때 파급효과가 가장 높은 곳으로 인정받고 있기도 하다.

이번 행사에서는 장미재배·수출 농가, 종묘·유통업체, 화훼단체, 연구·지도기관 등 화훼분야 전문가 및 소비자 등이 참석해 우수 장미품종을 평가했다.

평가회에서 선보인 장미는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허니드롭, 핑크벨, 체리티 등 3개 품종, 그리고 각 도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락파이어, 한마음, 진선미, 프리썬 등 10개 품종으로 총 13개 품종에 대한 기호도와 시장성을 평가해 국내 보급확대 가능성과 외국품종과의 경쟁력을 살펴보았다. 이들 품종은 올해 85,500주를 광주 등 전국 6개 지역에서 시범재배 했다.

그 중 농진청에서 육성한 ‘허니드롭’은 달콤한 향이 나는 노란색의 중형 장미로 절화품질이 우수하고 수량이 많은 품종이다.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한마음’은 적색과 백색이 섞인 복색의 대형 절화 장미로 번식이 용이하며 생육이 왕성하고, 경북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진선미’는 진주황색으로 화형이 아름답고 병에 강한 다수성 품종으로 특히 겨울에 수량이 많은 특징이 있다.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프리썬’은 밝은 적색의 스프레이 장미로 절화장이 길고 수량이 많아 수출에 유리하다.

매년 선보이고 있는 우수한 국내 장미품종 덕분에 국내 장미 보급률은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려 2009년 13%에 달했으며 일본 수출시장에서도 2003년 시범수출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2007년 전체 장미 수출액의 13%이던 것이 2009년에는 35%로 증가하는 등 농가 및 해외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에 이번 평가회에서 우수하다고 인정받은 품종들은 로열티 지불에 따른 종묘비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미재배 농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재배농가에서 외국품종 대신 국산품종을 1ha 재배하게 되면 연간 약 6~9천만원의 로열티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이정수 박사는 “국산장미 보급 확대를 위한 시범재배 면적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외국품종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 우수한 품질임을 적극 홍보하는 등 다각적 노력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적정 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우리장미의 품질 고급화와 생산량 증대로 수출 기반을 확고히 할 것이다”고 전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정준용 과장
031-240-359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