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4주 매매시황…서울에 이어 수도권도 집값 꿈틀, 올해 첫 동반 상승

서울--(뉴스와이어)--올들어 처음으로 서울 및 수도권 주택시장이 동반 상승했다. 장기불황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수도권 시장도 전셋값 급등, 집값바닥론 등으로 인해 실수요자들이 급매물을 중심으로 거래에 나서면서 호가가 많이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인천의 경우 지난 2월 이후 37주 만의 처음 반짝 상승해, 불황탈출의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부동산뱅크 조사에 따르면 11월 넷째주 아파트값은 전국 0.10%▲ 서울 0.06%▲ 경기도 0.06%▲ 인천 0.04%▲ 등을 기록했다. 또 버블세븐 지역은 0.08%▲ 올라 2주 연속 상승장을 이어갔고, 신도시도 0.05%▲를 기록하며 3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하지만 현지 부동산업계에서는 수도권 집값의 바닥 탈출은 시기상조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됐지만 호가를 올린 뒤엔 문의만 있을 뿐, 매수세가 쉽게 붙지 않고 있는데다 지역에 따라 수요가 몰리는 양극화 현상도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0.06%▲ 재건축 0.31%▲ 강남권 0.17%▲ 비강남 0.00%

서울 재건축은 0.31%▲를 기록하며 6주 연속 상승장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강남구(0.61%▲), 송파구(0.49%▲), 서초구(0.19%▲), 강동구(0.06%▲) 등 강남권 재건축 4인방들의 2주 연속 상승세가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서초구의 경우 반포동, 잠원동 등의 단지들이 3,000만~5,000만 원 가량 올라 시세조정 폭이 가장 높았다. 이는 지난 23일 서초구가 ‘반포유도정비구역 개발 구상안’을 마련해 서울시에 제출하면서, 기대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강남구도 개포주공, 개포시영, 은마 등의 호가가 1,000만~2,000만 원 가량 조정돼 시세가 상승했고, 송파구는 가락시영, 잠실주공 5단지 등이 1,000만 원 가량 오른 매물들이 나오면서 가격이 상승했다.

서울 일반아파트는 송파구가 0.15%▲ 올랐고, 서대문구 0.07%▲, 마포구 0.05%▲, 양천구 0.04%▲, 용산구 0.04%▲, 성북구 0.04%▲ 등 도심권역 주변 집값이 소폭 상승했다. 송파구는 전셋값 상승과 제2 롯데월드 건축허가 등의 기대감이 영향이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종로구 0.12%▼, 강동구 0.10%▼, 강남구 0.05%▼, 강북구 0.05%▼ 등은 지난주보다 하락폭을 키워 ‘집값바닥론’의 주장을 무색하게 했다.

경기 0.06%▲ 신도시 0.05%▲ 인천 0.04%▲

금주 수도권에서는 신도시와 인천의 상승세가 주목된다. 신도시의 경우 ‘남고북저’현상이 뚜렷하다. 분당(0.07%▲), 평촌(0.16%▲), 산본(0.07%▲) 등 경기남부권은 상승한 반면, 일산(0.05%▼), 중동(0.02%▼) 등의 경기북부권은 여전히 약세장을 이어갔다.

특히 4주 만에 반등에 성공한 분당신도시는 정자동 고급주상복합아파트들의 가격상승이 두드러졌다. 부동산뱅크 일일사공인 대표는 “지난주 정자동 아이파크, 동양파라곤 등의 급매물이 한 두건 팔리면서 호가가 올랐다”며 “호가가 오른 후 시장반응은 현재까진 조용한 편”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은 37주만의 첫 집값 상승을 이뤄냈다. 그러나 연수구(0.52%▲)를 제외한 서구(0.00%), 동구(0.00%), 부평구(0.17%▼), 남구(0.07%▼), 계양구(0.04%▼)등이 약보합세를 이어가고 있어 시장을 낙관하기엔 이르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보금자리, 경제자유구역, 2기 신도시 등의 공급량 증가는 앞으로 인천 주택시장의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장재현 팀장
02-2185-7341(직)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