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제약, 2010년 제13회 송음 의·약학상 시상식 개최
- 가천의과대 전희숙 교수와 벨라루스공화국 트루하초바 타치아나 박사 수상
수상자는 전희숙 가천의과대 교수(이길여 암당뇨연구원 부원장)와 벨라루스 공화국(백러시아) 트루하초바 타치아나 박사(Dr.Tatsiana V. TRUKHACHOVA. MS. Ph. D)가 수상하였으며 각각 상금과 상패가 수여되었다.
전희숙교수는 특허가 6종, 논문이 65편, 리뷰나 교과서 실린 것이 12종의 다양한 연구업적을 갖고 있다. 당뇨병에 관한 연구는 제1형 당뇨병의 원인과 예방에 관한 연구로 많은 논문을 냈으며, 제1형 당뇨병 연구의 선두주자로 인정받은 것이 1999년 Science, 284지에서 나타냈다.
그 후 쉐장세포 및 베타세포재생 및 사멸에 관한 연구를 계속, 최근에는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베타세포 분화 연구로 제2형 당뇨에 관한 연구로 항당뇨 약품개발에 약용식물을 이용한 혈당 강하제를 개발 특허를 획득하였다. 최근에는 비만으로 인한 염증과 면역반응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유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트루하초바 타치아나 박사는 사회적 생활에서 보다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의학, 국립과학학술원 특히 제약회사 연구개발에 관여하였으며 오랫동안 보건계에 봉사한 관계로 벨라루스 보건장관으로부터 공훈 훈장을 받았다. 연구논문으로는 실험동물의 종양에 대한 포토론의 약물동력학, 생체내 분포와 포토론의 광약학치료 등 그 외 생물을 이용한 정수작용 등의 연구를 주로 해왔다.
이날, 이양구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올해 송음 의·약학상을 수상하는 두 분의 연구업적이 건강과 행복한 삶을 위해 질병치료에 공헌하고 있다“며 “이러한 일을 위해 조금이나 만 보탬이 되고자 이 상은 제정한 고 이선규 회장의 봉사정신의 의지와 신약개발에 대한 남다른 집념이 복합된 상”이라며 인류의 질병치료를 위해 이 상을 지속 시켜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전희숙 박사는 가천의과대 교수와 가천의과대 이길여 암당뇨연구원 부원장으로 제직하고 있으며 트루하초바 박사는 벨메드프레파라티(Rue Belmedpreparaty)제약회사 부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송음 의약학상은 동성제약을 설립한 송음 고 이선규명예회장의 ‘봉사하는 인생’이라는 철학으로 기업이윤을 사회에 환원시키고자 이 상을 제정하여 1998년 제1회로 시작, 약업계의 많은 관심 속에서 독자적으로 시상식을 진행하고 있다.
<전희숙 교수(가천 의과대학교) 프로필>
1982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학사, 석사
1989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 박사
1985-1989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 연구조교
1989-1991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 강사
1991-2003 캐나다 칼거리의대 당뇨연구소 선임연구원
1999-현재 캐나다 칼거리의대 겸임교수
2003-2007 미국 로잘런드 프랭클린 시카고 의대 부교수
2004-2006 조선대학교 의대 부교수
2007-현재 가천의과대 암당뇨연구원, 교수
2010-현재 가천의과대 이길여 암당뇨연구원 부원장
주요 연구내용 및 업적
지난 20여년간 당뇨병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 왔으며, 특히 인슐린을 생산하는 베타세포에 대한 연구에 주력해 왔다. 최근에는 당뇨병 치료에 세포치료법을 적용하기 위해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췌도양세포나 인슐린을 분비하는 간세포 등 대체 인슐린 생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를 통해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베타세포 성장인자나 분화인자를 이용하여 생체내에 남아있는 베타세포나 줄기세포를 분화, 증식시켜 재생시킬 수 있는 치료방법을 연구하는 등 부족한 인슐린을 보충하여 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당뇨병 치료법 개발에 도전하고 있고 그동안 6종의 특허가 등록되었으며 약 65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많은 학술활동을 하고 있다.
전희숙 교수 - 당뇨병에 관한 연구
제1형 당뇨병의 원인과 예방에 관한 연구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제 1형 당뇨병 발병에 바이러스의 capsid 유전자에서의 single point mutation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혔으며 (J of Virology, 71: 9782-9785, 1997; Diabetes, 47: 576-582, 1998) 또한 베타세포 파괴에 바이러스에 의해 활성화된 macrophage에서 생산되는NO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밝혔다 (J of Virology 83: 8004-8011, 2009). 캘거리 의과 대학 당뇨병 연구소에 재직하는 동안 macrophage가 T 세포 매개에 의한 자가면역 당뇨병 발병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여 제 1형 당뇨병의 발병 기전으로 macrophage의 중요성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J of Experimental Medicine, 189: 347-358, 1999; Diabetes, 48: 34-42, 1999).
또한 제 1형 당뇨병의 중요한 자가면역 항원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발현을 억제하는 형질전환 마우스를 제작하고 당뇨병 발병에 있어 GAD 항원의 중요한 역할을 증명하여 제 1형 당뇨병 연구의 선두주자로 인정받았다 (Science, 284: 1183-1187, 1999). 당뇨병의 예방에 관한 연구로 제 1형 당뇨병의 중요한 항원인 GAD에 의한 면역내성 유도가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밝혔고 (Diabetologia, 45: 668-676, 2001) 특허를 획득했다. 미국의 로잘린드 프랭클린 시카고의대에 부임 후 베타세포 재생연구와 더불어 재생된 베타세포의 사멸 예방을 집중 연구하였다. 특히, 성호르몬(chorionic gonadotropin)이 자가면역을 억제하여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Diabetologia. 50: 2147-2155, 2007; Athritis and Rheum. 56: 2211-2215, 2007) 당뇨병 치료에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췌도및베타세포재생, 사멸에 관한 연구
당뇨병 치료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의 Kobayashi 그룹과 협력하여 인슐린을 생산하는 가역적 불멸화 베타세포를 확립하여 당뇨병 치료에 획기적인 세포 치료법을 제시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Nature Biotechnology, 23: 1274-1282, 2005). 또한 췌장세포가 아닌 다른 조직 세포에서 인슐린을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세포치료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Molecular Therapy, 15: 1195-1202, 2007; Diabetes, 53: 105-112, 2004). 최근에는 유전자치료법으로 베타세포 성장인자를 생체 내에서 발현시켜 베타세포 재생을 유도하는 당뇨병 치료 연구를 진행하였고 (Molecular Therapy 15: 86-93, 2007; 16: 854-861, 2008) 특허를 출원하였다. 최근에는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베타세포 분화연구로 줄기세포를 이용한 당뇨병 치료에 관항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제2형 당뇨에 관한 연구
항당뇨 약품 개발에 대한 관심을 실현하기 위하여 항당뇨 약용 식물을 이용한 혈당강하제를 개발하고 특허를 획득하였으며 또한 계피나무에서 추출한 천연물을 이용하여 당뇨병환자의 혈당강하능이 우수한 유도체 개발 및 혈당강하 기전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고 (Diabetologia, 49: 2437-2448, 2006) 특허를 획득하였다. 최근에는 비만형 서구형 당뇨모델과는 달리 한국형 노인성 비비만형 당뇨모델을 구축하여 당뇨병 기전연구에 새로운 동물 모델을 제시하였고 이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인슐린 저항성 발병과caveolin-1의 역할에 관하여 (Diabetologia 51: 1025-1034, 2008; Diabetologia). 또한 간세포에서 혈당에 반응하여 인슐린을 생산할 수 있는 전사조절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슐린 유전자 치료법에 의한 당뇨병 치료에 관한 결과를 논문 투고하였다. 최근에는 비만으로 인한 염증과 면역 반응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유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인크레틴호르몬에 관한 연구
인크레틴 호르몬의 하나인 glucagon-like peptide-1 (GLP-1)은 다양한 항당뇨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LP-1을 기반으로 하는 항당뇨제제가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그 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실에서는 GLP-1의 항당뇨 효과로 베타세포 재생효과, 베타세포 사멸억제에 관한 기전을 밝히고 (Molecular Therapy 15: 86-93, 2007; J of Endocrinol Invest 31: 334-340, 2008) GLP-1에 의해 intestine의 stem cell에서 베타세포가 재생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J of Molecular Medicine 88: 351-358, 2010) 보고하였다. 또한 GLP-1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가 간세포와 지방조직에서의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하고 (Diabetes 56: 1671-1679, 2007) 항염증 작용과 면역세포에 대한 작용에 의한 것임을 밝혔다.
<벨라루스공화국 트루하초바 타치아나 박사 프로필>(Dr.Tatsiana V. TRUKHACHOVA. MS. Ph. D)
1976 벨라루스 주립 기술대학교 졸업, 연구활동에 참여하여 다수의 상 수상
1976-1986 벨라루스 주립 기술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 및 연구
1985 벨라루스 주립 기술대학교 박사(biotechnology 전공)
1986 연구소 임원으로 입사
주요 연구: 항암,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는 천연물의 합성, 분리, 정제
Dr. Trukhachova의 연구결과가 ‘벨메드프레파라티’사의 약리학적 물질개발의 기반이 됨
1999 벨메드프레파라티 R&D 센터 부사장으로 임명
주요 연구
항종양제와 항바이러스제와 같은 합성 뉴클레오시드를 기초로 하는 의약품의 생산기술을 정립하였고 특히 PDT(광역학 치료)에 쓰는 클로린을 기초로 한 의약품(광과민제)의 개량기술을 확립하였고 의약품 분석 등 품질관리 방법에 대한 기술적 향상을 도모하였다.
Dr. Trukhachova 업적
Dr. Trukhachova의 직접적 참여·관리하에 벨라루스 공화국의 항암제 생산이 처음 시작되었고, 15가지 약물에 대한 제조법 개발과 비임상시험·임상시험이 시행되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질환에 대한 2가지 약물 개발과, 기존 항바이러스제보다 안전성·유효성의 우위를 확인하였다. 그 밖에 oxypyridine 유도체 합성 기술을 이용한 항불안제, 비스테로이드성 관절 퇴행성 질환 치료제, 지혈·진통 작용이 있는 하이드로겔 제형의 상처 치료제 등을 개발하였다. Dr. Trukhachova가 연구한 30여개 이상의 약물이 특허 보호하에 있고 150개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벨라루스 약전 개발 및 국제 기준을 따르는 생동성 연구 기관이 설립 참여,“technology of drugs’에 관한 다수의 강의와 연구를 수행하였다. Dr. Trukhachova는 광과민 특성이 있는 클로린 유도체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기전 및 약물 안정화를 위한 방법론적 접근을 연구하였다. 피부암, 폐암,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등 종양학 영역에서 Photolon의 임상 시험 시행하였다. Photolon 결과는 국제 학회에 발표되었고, 현재 가장 전망있는 광과민제로 여겨지고 있다. 2010년 Photolon 연고제가 피부암과 만성 치주염에 대한 다기관 임상 시험에 기초하여 벨라루스 공화국에 등록되었다.
RUE BELMEDPREPARATY
공화국 단일기업 벨메드프레파라티는 벨라루스 공화국에서 가장 오래된 제약회사로, 메탄올, 요오드 용액, 베이킹 소다, 탈지면 등과 같은 의료용품을 생산하는 소규모 화학 약품 공장으로 1929년 시작하였다. 2차 세계대전 후 공장은 특화된 제약회사로 변경하여 빠르게 성장하였고, 인슐린(1947), 헤파린(1947), 항생제 (1947), 혈액 보충제(1951) 등을 생산하기 시작한 소비에트 공화국의 첫 번째 제약회사였다. 오늘날 벨메드프레파라티는 벨라루스 공화국에서 가장 큰 제약기업으로 생산 공장은 347,000m2에 위치해 있다. 총 직원수는 2100명 이상이고,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암, 심혈관·신경계·위장관·비뇨생식기계 질환 등에 대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벨메드프레파라티 자체 R&D 연구소에서 개발한 약 50여개의 original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GMP 기준에 따른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나노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 성분의 분리 및 정제, 미생물학적 합성과 화학적 변경 등의 방법을 통한 원료 생산 공정을 수행하고 있다.
벨메드프레파라티는 벨라루스 공화국에서 항균, 항바이러스, 혈장 대체제 부분에서 주도적 위치이면서, 인슐린과 streptokinase, 마약성 약물, 결핵치료제 등에 대한 공화국내 유일한 제조업체이다. 생산된 제품의 40~50%는 독립국가연합과 기타 국가에 수출하고 있으며, 화학, 약리, 생물학, 의학 분야의 우수 인력과 최신 분석·실험적·기술 장비를 바탕으로 꾸준한 연구활동을 통해 50여개의 물질과 제법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새로운 약물개발을 위해 벨라루스 공화국 보건국 산하 연구소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dongsung-pharm.co.kr
연락처
동성제약 광고부
나성열
02)6911-3600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