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 통풍환자 72.6%가 50~70대
전남대병원은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혈중 요산 농도가 높을수록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 통풍에 대해 2003년부터 2010년까지 8년간 류마티내스내과에서 통풍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분석해 보았다. 8년간 총 통풍환자는 3,979명이였으며, 그 중 남자환자가 3,646명으로 91.6%를 차지하였으며, 여자환자는 333명으로 8.4%였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대에서 70대가 2,888명으로 72.6%를 차지했다. 이어 40대가 563명으로 14.1%, 30대가 225명으로 5.7% 등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60대가 1,156명(남자 1,078명, 여자 78명)으로 29.1%로 가장 많았으며, 50대가 962명(남자 898명, 여자 64명)으로 24.2%, 70대가 770명(남자 695명, 여자 75명)으로 19.4%, 40대가 563명(남자 515명, 여자 48명)으로 14.1% 등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광주지역 환자가 2,256명으로 56.7%를 차지했으며, 전남지역 환자가 1,632명으로 41.0%였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3년에 360명(남자 338명, 여자 22명에서)에서 2006년에는 490명(남자 448명, 여자 42명), 2010년에는 647명(남자 590명, 여자 57명)으로 8년새 1.8배나 증가했다.
통계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통풍은 주로 남성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남성은 콩팥에서의 요산 제거 능력이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데 반하여 여성은 폐경 이전까지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요산 제거 능력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 옛날에 고기 등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는 왕족이나 귀족에게 많이 발생했기 때문에 ‘황제의 병’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통풍은 20~30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질환이었지만 서구식 식생활 습관과 인구 고령화로 통풍환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통풍환자가 연평균 13%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류마티스내과 박용욱 교수는 “통풍은 비교적 치료가 잘 되는 질병으로 매년 두 차례 이상 반복적으로 통풍 발작이 나타날 경우 약물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대부분의 통풍 환자들이 비만인 경우가 많으므로, 정상 체중을 회복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알코올은 요산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반면 배설을 억제하므로 술을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cnuh.chonnam.ac.kr
연락처
전남대학교병원 홍보실
김동이
062-220-509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