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IT 시스템 도입 확산으로 ‘스마트스쿨’ 시장 개화
최근 ‘스마트’ ‘디지털’ 바람을 타고 첨단 IT기기들이 교육 현장에 도입되면서, 그동안 칠판, 책, 노트, 연필에만 의존하던 일방적인 교육시스템에서 쌍방향 ‘스마트스쿨’로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IT부문의 녹색화, 디지털 교실화를 적극 추진하고 나서면서 교육 기자재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IT업계에서는 최근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의 도입이 크게 확산되는 등 디지털기기의 일반 보급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현재 교육 현장에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고, 전자책 단말기가 교과서를 대신할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분필가루가 날릴 우려가 없어 친환경적인 전자교실의 보급을 2013년까지 전 학교에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지난해 11월 정부는 기존 콘텐츠와 서비스, 운용소프트웨어 이외에 디지털교과서와 전자칠판 등의 이러닝 관련기기가 확산되는 추세에 맞춰 이러닝의 산업 범위에 포함하여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하여 본격적 ‘스마트 스쿨’ 확산에 초점을 맞췄다. 했다. 관련 기기도 이러닝 지원 범위에 포함시킨 게 핵심이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IT기기 업체들이 교육 시장을 겨냥한 전자칠판, 태블릿PC, 전자교탁, 화상 쌍방향 교육 시스템 등 등 첨단 IT제품을 잇따라 출시하면서 교육현장에도 IT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전자칠판 – 전자펜으로 터치하여 생생한 강의 진행, 기존 교실 TV 활용한 제품도 주목
LG전자(www.lge.co.kr)는 최근 CES 2011에서 TV 화면을 전자칠판처럼 이용할 수 있는 60인치 펜 터치 3D PDP TV 등 3D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제품들을 출시한바 있다.
미미오코리아(대표 박흥진, www.mimiodymo.co.kr)는 합리적인 가격에 효과적인 디지털 교육 환경을 구현하는 전자칠판 솔루션인 ‘미미오 인터렉티브 화이트보드’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단거리 빔 프로젝터와 와이드 인터렉티브 화이트 보드를 결합한 제품으로 PC와 연동해 무선 전송장치가 전자펜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생생한 강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강화된 터치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강의 내용을 디지털화해 수정과 편집, 저장이 가능하며, 강의안을 미리 제작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동영상으로도 저장할 수 있다.
엠에스코리아(대표 김문수, www.mskorea21.com)는 기존의 영상장비나 교실마다 설치된 평판TV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교실의 평판 TV를 전자칠판으로 바꿔주는 전자칠판 터치 솔루션 ‘터치윙(Touchwing)’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일반 교실에 설치돼 있는 평판TV에 자사의 전자칠판 터치솔루션을 부착하면 낮은 금액으로 고가의 전자칠판을 구축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엠에스코리아가 직접 개발 및 생산하고 있는 이 제품은 지난 9월에 조달등록 돼 50인치가 주력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33인치부터 100인치까지 총 8개 종류의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엠에스코리아가 판매하고 있는 ‘TV 리프트’는 교실 천장에 설치하여, 평소 사용하지 않는 교실의 TV를 교사나 학생들이 머리나 어깨에 부딪히지 않게 수업 시간에만 내려 사용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션 형태로 개발한 것이 특징이다.
화상 교육 시스템 – 원어민 및 전문 강사의 쌍방향 영상교육 환경 구축 인기
강의자가 원격지에서 강의하면서도 쌍방향 교육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화상 교육 시스템 구축도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텔레프레즌스(Telepresence), 영상 및 음성 커뮤니케이션의 글로벌 기업인 폴리콤코리아(한국총괄본부장 크리스토퍼 테일러, www.polycom.co.kr)는 대전광역시교육청과 함께 대전교육정보원 및 6개 공립초등학교에 원어민 영상 영어교육 환경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대전광역시교육청의 영상회의 솔루션 도입은 영어 공교육 강화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 중인 초등학교 영어체험교실 구축 일환으로 진행했다.
대전교육정보원과 6개 공립초등학교에 도입된 영상회의 솔루션은 HD 영상회의 솔루션인 HDX 8000™ 7대, 실시간 미디어 컨퍼런싱 플랫폼인 RMX 2000™ 1대, 가상스튜디오 솔루션인 피플 온 콘텐츠(People On Content™)다. 특히 국내 최초로 도입된 폴리콤 가상스튜디오 솔루션 ‘피플 온 콘텐츠(People On Content™)’는 일기예보와 같이 인물 배경에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HD급 콘텐츠를 입체적으로 삽입해 가상현실을 효과적으로 연출하고 있다.
폴리콤의 영상회의 솔루션 도입으로 학교별로 원어민 교사가 없더라도 대전교육정보원 내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는 원어민 수업을 한번에 최대 6개 학교까지 동시에 참여해 쌍방향 영어 수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해당 6개 초등학교 학생들은 영상회의를 통해 원어민 교사의 목소리와 판서 내용뿐 아니라 가상스튜디오 기능을 활용해 상점, 은행, 공항 등의 현장을 연출해 생생한 체험 학습을 경험할 수 있게 됐다.
교육용 프로젝터 - 전자칠판 기능을 지원하여 교육 시장 공략
한국엡손(www.epson.co.kr 쿠로다 타카시)은 전자칠판의 보드없이 어떤 환경에서도 전자칠판과 PC의 기능이 가능한 극단초점 프로젝터 “EB-450W, ‘EB-450Wi’, ‘EB-460’, ‘EB-460i” 등 4종을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전자칠판 기능을 내장한 스마트 프로젝터는 장소와 주위 환경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 비출 수 있는 흰 벽만 있으면 일반 PC처럼 화면의 터치로 모든 전자칠판의 기능 구현이 가능하고, 비싼 설치비와 번거로운 작업도 모두 없앴다. 또한 전자칠판용 보드의 60인치 화면 한계도 투사거리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극단초점 렌즈를 탑재해 짧은 거리에서도 100인치 이상의 대형 화면을 또렷하게 구현할 수 있다.
스크린과의 거리가 가까워도 최상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 작은 교실이나 회의실에서도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짧은 초점길이로 발표자의 그림자가 스크린에 겹치거나 참여자의 눈부심 현상을 없애 화면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칠판이나 화면에 가까운 높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전자칠판용 보드와 달리 프로젝터로 비추는 스크린의 상태에 상관없이 전자칠판 전용 소프트웨어와 센서를 내장한 전용펜으로 일반 칠판처럼 화면에 직접 쓰기와 그리기 기능이 되는 등 일반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터치스크린 형태로 거의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문서, 그림 등을 자유롭게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거대한 PDA를 사용하는 것처럼 대부분의 교육이나 비즈니스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전자교실용 가구시장 – 멀티미디어 교육을 위한 공간 구성 가구 인기
전자교실용 가구시장도 열리고 있다. 사무가구 업체인 리바트(대표 경규한)는 ‘V-studio전자교실 시스템’을 출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 회사는 U-러닝과 영어전용교실 등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맞춰 리바트는 사무가구 브랜드 ‘네오스’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미래 지향형 디자인과 유비쿼터스 기술이 어우러진 전자학습공간 ‘V-studio 전자교실 시스템’을 지난해 출시해 본격화하고 있다.
네오스 ‘V-studio 전자교실 시스템’은 전자칠판, 전자교탁, 전자책상 등으로 구성돼 멀티미디어 교육이 가능하도록 새로운 공간을 제안하고 있다. 네오스 제품은 초음파인식(IR)이나 압력인식 방법이 아닌 카메라를 통해 좌표를 인식하는 방식을 채택, 터치 반응속도가 빠르며, 특정 펜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손이나 딱딱한 어떤 물체를 이용하더라도 인식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강화 유리를 사용해 빛반사 현상 없어 멀리서도 잘 보인다.
폴리콤코리아 개요
폴리콤(Nasdaq: PLCM)은 폴리콤리얼프레즌스 플랫폼 (Polycom RealPresence Platform)을 통해 업계 표준 기반의 텔레프레즌스, 영상, 음성 분야 UC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도 기업이다. 리얼프레즌스 플랫폼은 다양한 비즈니스, 모바일, 소셜 애플리케이션 및 기기들과 호환된다. 현재 전세계 40만개 이상의 기업 및 기관에서 폴리콤의 솔루션을 통해 사내 임직원, 파트너 및 고객들과 효율적인 의사 소통을 위해 언제 어디에서든지 가능한 대면 커뮤니케이션의 이점을 누리며 협업하고 있다. 폴리콤은 최상의 TCO와 확장성, 보안, on-premises, 호스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 폭넓은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폴리콤 홈페이지(www.polycom.co.kr), 트위터(@Polycom_kr), 페이스북, LinkedIn 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웹사이트: http://xwww.polycom-korea.co.kr
연락처
폴리콤 유수경 과장
6005-2415
커뮤니케이션웨이브
정보람대리
3672-6597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