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아카데미, 19일 M&A의 잘못된 상식(例) 등에 대한 M&A 교육 개설
- 제14기 M&A와 기업구조조정 전략과정 매주 토요일 7주간 진행
- 실전사례를 통한 M&A 전문가 양성
본 과정은 매주 토요일 6시간씩 총 7주간으로 구성되며 3월19일 시작된다고 한다. 본 과정은 국내외의 M&A 실전사례를 기초로 강의가 이루어지므로 쉽게 습득할 수 있어 기업체 및 관계자들에게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아래와 같이 국내에서 잘못 이해되고 있는 M&A상식들이나 한계점들을 사례로 설명하여 국내 M&A의 오류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국내 M&A의 잘못된 상식(例)들과 체크포인트
1. 한국과 미국 M&A는 다르다: 미국- M ≒ A vs 한국- M(합병) ≠ A(인수)
2. 상장폐지와 자기주식 취득(share buyback)도 M&A
3. 한국과 미국 차입매수는 다르다: 미국은 합법, 한국은 불법 (?)
4. 국내 M&A의 목적은? 덩치 키우기
5. M&A의 시너지효과는 만병 통치약? 어떻게 반영하고 산정하는가?
6. 경영권(기업지배권)을 확보하기 위해 최대주주가 되면 된다. (?)
7. M&A에 필요한 지분율은? 1) 최대주주 지분율, 2) 50% + 1주 3) 66.67%
8. 타인자본비용이 자기자본비용보다 비싸다. 또는 배당은 안해도 무방하다.
9. 무차입기업은 우량한 기업이고 무차입경영이 좋은 재무전략(?)
10. 한국의 M&A시장은 온통 지뢰밭- 현명한 vs 용감한 투자자 (?)
11. 우회상장도 일종의 M&A (?)
12. 기업 보유의 부동산 가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13. 국내에서는 왜 담보나 보증이 없으면 자금조달을 못할까? 현명한 자금조달과 딜 구조
14. 국내 M&A에서 대체로 외국 인수자들은 성공하는데 국내 인수자들은 실패하는 이유는?
15. Google은 2006년 설립된 지 17개월 된 YouTube를 1조6천억 원에 살 수 있었을까?
16. 두산그룹의 한국중공업 M&A는 성공했는데, 왜 미국 밥캣 M&A는 실패했을까?
17. 경영권 프리미엄은 존재하는가? 있다면 어떻게 산정하는가?
18. 국내 증권사의 대형화 = Mega IB, 과연 그럴까?
19. 외국 PEF는 성공, 한국은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이 과정의 장점은 M&A의 현장 경험과 업무적인 프로세스 지식이 풍부한 M&A전문회사 블루아이콘(유) 대표이사 제해진 씨가 대표강사로 전반적인 금융, 가치평가, M&A전략 등을 맡아서 강의한다. 그에 따르면 “국내에서 M&A 성공사례가 많지 않은 것은 M&A의 본질을 잘 모르기 때문”이라며, 본 과정을 통해 “정통의 M&A 이론을 바탕으로 국내외의 실무 전략을 동시에 이해하여 수강생들의 M&A에 대한 올바른 시각과 지식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노동부의 재직자 지원프로그램인 고용보험환급과정으로 진행되며, 2인 이상 신청하는 경우 할인혜택도 부여하고 있다. 자세한 상담이나 문의는 홈페이지(http://ac.hankyung.com)나 전화(02-360-4886)를 통해 할 수 있다.
관련링크:한국경제신문사 한경아카데미: http://ac.hankyung.com
블루아이콘 개요
저희 블루아이콘은 M&A 및 기업금융 관련 전문컨설팅을 제공하는 M&A전문회사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금융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들에게 "기업인수", "기업매각", "자금조달", "투자분석", "기업가치평가", "사업타당성분석", "기업구조조정 전략" 등에 대한 전문적인 자문업무(financial advisory service)를 제공합니다.
http://academy.hankyung.com/html_a/a01_read.html?m...
http://www.blueicon.co.kr
웹사이트: http://www.blueicon.co.kr
연락처
한경아카데미 교육기획팀
02-360-4886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