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0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1. 주요 계층별 생활시간활용 실태
1) 전국민의 시간활용(10세 이상)
10세 이상 전 국민은 하루 24시간 중 잠자고 식사하는 시간에 10시간 34분(44%), 일하고 공부하고 이동하는 시간에 8시간 13분(34%), 여가활동에 5시간 13분(22%)을 사용
○ 우리나라 10세 이상 국민은 하루 24시간 중 10시간 34분(44%)동안 잠자고, 식사하고, 씻는 등 개인의 필수적인 활동에 사용함(5년전보다 16분 증가)
- 잠자는 시간은 7시간 49분을, 식사 및 간식시간은 1시간 37분을, 개인유지(개인위생, 외모관리, 건강관리 등)를 위한 시간은 1시간 8분을 각각 사용함
○ 일(수입노동), 가사노동, 학습, 출퇴근 등 의무적인 활동에 는 하루 중 8시간 13분(34%)을 사용함(5년 전에 비해 29분 감소)
- 일(수입노동)에 종사하는 시간은 3시간 26분, 학습시간은 1시간 14분임
○ 개인이 자유롭게 사용하는 여가시간은 하루 5시간 13분(22%)임
(5년 전보다 12분 증가)
- 컴퓨터 게임(12분 증가), 인터넷 정보검색(7분 증가), 걷기·산책(4분 증가) 등의 활동이 증가한 것에 기인함
2) 성인의 시간활용(20세 이상)
20세 이상 성인 여자는 성인 남자보다 24분 많은 8시간 16분을 의무적인 활동으로 사용하는 반면, 여가활동으로는 22분 적은 5시간 11분을 사용
○ 20세 이상 성인의 하루 중 잠자고 식사하는 등 필수적인 활동에 사용한 시간은 10시간 34분을 사용함(5년 전 대비 16분 증가)
- 수면 7시간 46분, 식사 및 간식 1시간 39분, 개인유지(개인위생, 외모관리, 건강관리 등)로 1시간 8분을 사용하며, 특히 개인유지 시간은 5년 전에 비해 10분 증가
○ 20세 이상 성인의 의무적인 활동에 사용한 시간(수입노동, 가사노동, 학습, 출퇴근 등)은 8시간 5분이며, 여자의 의무생활시간(8시간 16분)이 남자(7시간 52분)에 비해 24분 더 많음
- 수입 있는 일에 종사한 시간은 4시간 2분으로 5년 전(4시간 28분)에 비해 26분 감소(남자 33분, 여자 20분 각각 감소)
- 가사노동 시간은 남자는 36분, 여자는 3시간 40분을 사용하여, 남녀의 가사노동시간에 많은 차이를 보이나 5년 전에 비해서 그 차이는 줄어듦
○ 20세 이상 성인의 여가시간은 5시간 22분으로 남자(5시간 33분)가 여자(5시간 11분)보다 22분 더 많이 사용
3) 학생의 시간활용
고등학생은 하루의 43%나 되는 10시간 24분을 학습과 통학하는데 사용하고, 순수 학습만을 위한 시간으로는 하루 8시간 52분을 사용
○ 학생의 하루 중 필수적인 활동에 사용한 시간은 10시간 34분으로, 초등학생이 11시간 19분으로 가장 많으며, 고등학생이 9시간 48분으로 가장 적음(5년 전 보다 22분 증가)
- 수면시간은 5년 전에 비해 대학생이 20분 증가한 반면, 초등학생은 8분 감소
○ 학생의 의무적인 활동에 사용한 시간은 8시간 46분으로, 그 중 학습시간이 6시간 23분임
- 학습시간은 5년 전 보다 32분 감소하였는데, 특히 대학생의 학습시간이 1시간 14분 감소
- 고등학생의 경우는 하루의 43%인 10시간 24분을 학습과 통학에 사용하고, 순수 학습 시간은 8시간 52분으로 대학생에 비해서는 5시간 38분이 많음
○ 학생의 여가시간은 4시간 39분으로 미디어 이용(1시간 43분)이나 취미활동 등(1시간 28분)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냄
- 5년 전에 비해 컴퓨터 이용관련 여가의 증가(컴퓨터 게임 23분 증가, 인터넷 검색 9분 증가) 등으로 여가시간 10분 늘었으나, 미디어 이용시간은 19분 감소함
4) 노인의 시간활용(65세 이상)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하루의 절반 가량인 11시간 16분을 식사, 수면 등 필수적인 활동을 위한 시간으로 사용하고 여가시간 대부분은 TV 시청으로 시간을 보냄
○ 65세 이상 노인은 하루 24시간 중 47%인 11시간 16분을 잠자고 먹고 씻는 등 필수적인 활동을 위한 시간으로 사용함
- 잠자는 시간 8시간 19분, 식사 시간 1시간 38분, 개인유지(개인위생, 외모관리, 건강관리 등)를 위한 시간 1시간 19분
○ 의무적인 활동에 사용한 시간은 5시간 23분이며, 남자노인(4시간 46분)에 비해 여자노인(5시간 47분)이 1시간 1분 더 많이 사용함
- 10세 이상 전 국민의 의무생활시간(8시간 13분)보다 2시간 50분 적게 사용
(노인은 필수시간과 여가시간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 65세 이상 노인의 여가시간은 7시간 21분으로 하루 24시간 중 31%를 차지하며, 남자(7시간 58분)가 여자(6시간 58분)보다 1시간을 더 많이 사용함
- 노인들은 여가생활 중 TV시청(3시간 28분)이 가장 많고, 휴식(41분), 걷기·산책(29분), 놀이(17분) 등의 활동을 하며 시간을 보냄
5) 가구유형별 시간활용
가. 맞벌이 가구
맞벌이 가구의 주부는 수입노동과 가사노동 등 의무적인 활동을 하는데 10시간 15분을 사용하여 비맞벌이 가구의 주부보다 2시간 26분 더 많이 사용
○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부부로 이루어진 가구 중 맞벌이가구의 남편과 주부는 비맞벌이가구의 남편과 주부보다 각각 필수적인 활동을 더 적게 함
- 특히 수면시간의 경우 맞벌이가구의 주부(7시간 25분)는 비맞벌이가구의 주부(7시간 39분)보다 14분 적게 사용하며, 5년 전에 비해서는 5분이 증가
○ 맞벌이가구의 주부(10시간 15분)는 비맞벌이가구의 주부(7시간 49분)보다 의무적인 활동에 2시간 26분을 더 많이 사용함
- 반면에 맞벌이가구의 남편과 비맞벌이 가구의 남편은 거의 비슷한 양의 의무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맞벌이가구 주부가 남편보다 상대적으로 일을 많이 함
○ 여가시간은 비맞벌이 가구의 주부가 5시간 51분으로 가장 많았으며 맞벌이가구의 주부(3시간 37분)에 비해 2시간 14분 더 많음
- 남편의 여가시간은 맞벌이 여부와 관계없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나. 편부모 가구
편모의 가사노동시간은 양부모가구 모(母)의 가사노동 시간보다 1시간 21분 적은 반면, 일(수입노동)하는 시간은 1시간 2분 더 많음
○ 편부모가구와 양(兩)부모가구의 전체 필수적인 활동 시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 다만, 편부모가구는 양부모가구에 비해 식사 및 간식 시간이 6분 적은 반면, 의료 서비스를 받는 등 기타 필수시간은 8분 더 많이 사용함
○ 편모의 가사노동 시간(4시간 4분)은 양부모가구 모(母)(5시간 25분)보다 1시간 21분 적으나 일(수입노동)하는 시간은 양부모가구 모(母)보다 1시간 2분 더 많음
- 편부는 양부모가구 부(父)보다 가사노동 시간이 41분 더 많은 1시간 19분을 사용함
○ 여가시간은 편부모가구가 양부모가구보다 11분 더 많은 4시간 38분을 사용함
- 편모의 경우, 양부모가구 모(母)보다 자격증 및 취업 관련 학습 시간이 5분 더 많아 취업에 대한 욕구를 많이 가지고 있음
- 편부의 경우, 양부모가구 부(父)보다 미디어 이용시간이 18분 많은 2시간 21분을, 취미활동은 20분 많은 1시간 10분을 사용함
6) 휴무실태에 따른 시간활용
주 5일 근무자는 토요일의 늘어난 여유시간(3시간 48분)을 수면 53분, 가사노동 51분, 교제 및 여가활동 1시간 53분 등으로 사용
○ 주 5일 근무 취업자의 시간활용을 살펴보면, 토요일에 일(수입노동)과 출퇴근 등을 하지 않아 생기는 여유시간(3시간 48분)을 수면(53분), 가사노동(51분), 교제 및 여가활동(1시간 53분) 등으로 사용함
- 남자의 경우 주 1일 휴무자에 비해 토요일에 수면 보충 46분, 교제 및 여가활동에 1시간 57분, 가사노동에 47분을 더 많이 사용함
· 특히 자기계발을 위한 시간에도 11분을 더 사용함
- 여자의 경우 주 1일 휴무자에 비해 토요일에 수면 보충 1시간 2분, 교제 및 여가활동 1시간 57분, 가사노동에 36분을 더 많이 사용함
2. 주요 행동별 생활시간활용 실태
1) 필수생활시간
가. 수면
10세 이상 국민의 평균 취침시각은 평일은 밤 11시 38분, 토요일은 밤 11시 40분, 일요일은 밤 11시 25분이며, 65세 이상 연령층은 요일에 관계없이 밤 10시 15분경에 취침
○ 10세 이상 국민이 잠자리에 드는 시각은 평균적으로 평일과 토요일은 밤 11시 38분이며 일요일은 13분 빠른 밤 11시 25분임
- 연령별로 보면 65세 이상의 취침시각이 가장 빠르고, 농가의 평일 취침시각은 밤 10시 35분으로 비농가(밤 11시 44분)보다 1시간 9분이 빠름
○ 10세 이상 국민이 아침에 일어나는 시각은 월요일 아침 6시 47분, 평일 아침 6시 53분, 일요일 아침 7시 40분경으로 월요일 아침에 가장 빨리 일어남
- 농가를 제외하고는 월요일 출근준비 등을 위해 다른 때보다 일요일 밤에 일찍 자서 월요일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경향을 보임
고등학생은 평일 밤에 12시 13분에 잠자리에 들고 아침 6시 35분에 기상하여 수면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남
○ 학생의 평일 취침시각은 대학생이 밤 12시 26분으로 가장 늦고, 초등학생이 밤 10시 43분으로 가장 빠르며, 기상시각은 고등학생이 아침 6시 35분으로 가장 빠르고, 대학생이 아침 7시 53분으로 가장 늦음
나. 식사
우리나라 국민(10세 이상)의 평일 아침식사 시간은 평균 22분이며, 저녁식사 시간은 평균 29분임
○ 10세 이상 국민의 아침식사 시각은 평일은 오전 7시 44분, 일요일은 오전 8시 29분임
- 여자의 식사시각은 아침은 평일에 남자보다 9분 더 늦은 오전 7시 49분이며, 저녁식사 시각은 7분 빠른 오후 7시 18분임
○ 아침에 식사를 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은 남자(15.2%)보다 여자(15.4%)가 0.2%p 높음
- 미혼 여자 중 20대는 3명 중 1명(36.8%)이 아침식사를 하지 않음
○ 학생 중에서 아침 식사를 하지 않은 경우가 대학생이 25.4%로 가장 높고, 고등학생(14.4%), 중학생(9.6%), 초등학생(6.4%) 순임
2) 의무생활시간
가. 일(수입노동)
20세 이상 성인이 평일에 일한 시간은 4시간 35분으로 5년 전에 비해 18분 감소하였으며, 일을 한 행위자만의 평균시간은 6시간 59분으로 5년 전보다 26분 감소
○ 20세 이상 성인은 평일에 하루 24시간 중 4시간 35분 일을 하며, 5년 전에 비해서는 18분 감소함
- 하루에 10분이라도 일을 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행위자의 평균 일한 시간은 6시간 59분으로 5년 전에 비해 26분 감소함
○ 20세 이상 취업자가 평일에 일한 시간은 6시간 49분으로, 5년 전보다 28분 감소한 것이며, 행위자 평균 시간 또한 7시간 16분으로 5년 전에 비해 25분 감소함
- 취업한 남자의 95.2%, 여자의 91.9%는 평일에 10분이라도 일을 함
나. 가사노동
성인 남자 2명 중 1명(45.8%)은 평일에 하루 10분 이상 가사 일을 돕고 일요일에는 5명 중 3명(60.5%)이 가사 일을 도와 줌
○ 20세 이상 성인 남자 2명 중 1명(45.8%)은 평일에 하루 10분 이상 가사노동을 함
- 가사노동을 한 성인 남자의 비율과 평균시간은 가사노동 유형별로 평일보다는 토요일과 일요일이 많아 쉬는 날에 가사노동을 많이 분담함
- 5년 전에 비해서도 가사노동을 한 성인 남자의 비율과 평균시간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20세 이상 성인 여자 10명 중 9명(91.4%)은 평일에 하루 중 10분 이상 가사노동을 하며 이들이 가사노동을 하는 평균시간은 3시간 59분임(5년 전보다 20분 감소)
○ 20세 이상 성인 여자의 요일별 가사노동 행위자 평균시간을 보면, 토요일이 4시간 3분으로 평일이나 일요일보다 많음
- 5년 전에 비해서 성인 여자의 가사노동시간은 모든 요일에 걸쳐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임
평일에 취업주부의 총 일한 시간(수입노동+가사노동)은 8시간 59분이며, 미취학 자녀가 있는 취업주부는 9시간 50분에 이름
○ 평일에 가사노동으로 전업주부는 5시간 29분을 사용하고, 취업주부는 3시간 1분을 사용함
- 그러나 취업주부의 가사노동 시간은 주말인 토요일(3시간 25분)과 일요일(3시간 43분)에 오히려 증가하는 반면, 전업주부의 가사노동 시간은 주말에 감소함
○ 취업주부의 경우, 평일에 총 일한 시간은 8시간 59분으로 전업주부(5시간 39분)보다 3시간 20분 더 많았고, 남자 취업자(7시간 41분)보다도 1시간 18분 더 많아 수입노동과 가사노동에 대한 이중부담을 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 다만, 5년 전에 비해서는 취업주부의 총 일한시간이 45분 감소하여 전업주부(21분 감소), 남자 취업자(25분 감소)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줄었음
○ 미취학 자녀가 있는 취업주부의 평일 총 일한 시간은 9시간 50분으로 다른 집단의 주부보다 총 일한 시간이 가장 길며, 일요일에도 6시간 56분을 일함
- 미취학 자녀가 있는 전업주부도 평일 총 일한 시간(8시간 6분)은 미취학 자녀가 없는 전업주부(4시간 52분)보다 크게 증가하여 미취학 자녀의 유무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음
다. 학습
학생의 총 학습시간은 평일에 초등학생이 7시간 33분, 중학생은 8시간 45분인데 비해 고등학생의 학습시간은 하루의 43%인 10시간 14분에 이름
○ 초등학생의 평일 학습 시간은 7시간 33분이며 학교에서 4시간 55분, 학교외에서 2시간 37분 학습함
- 5년 전에 비해 학교에서의 학습은 11분 감소한 반면, 학교외에서의 학습은 23분 증가
○ 학생의 학교외 학습시간을 보면,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평일이 각각 2시간 37분, 2시간 40분으로 가장 많고,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평일보다는 일요일에 학교외 학습이 3시간 6분으로 길게 나타남
- 고등학생의 경우 평일에는 학교 학습시간이 8시간 32분으로 길기 때문에 학교외 학습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에 비해 짧음
○ 학생이 학교 정규수업외에 학원수업이나 개인 강습을 하루 10분 이상 받은 학생의 비율은 초등학생이 56.6%로 가장 많고, 중학생 51.2%, 고등학생 24.9%의 순이며, 5년 전에 비해서는 중학생이 가장 많이 증가(15.1%p)하였음
하루 10분 이상 자기계발을 위한 학습을 하는 대학생은 10명 중 1명(11.3%), 일반인은 20명 중 1명(5.0%)에 불과
○ 대학생이 학교 수업과 무관하게 하루 10분 이상 자기계발을 위해 학습하는 비율은 11.3%로 5년 전에 비해 0.5%p 감소함
- 학습 내용별로 살펴보면 외국어 학습이 차지하는 비중이 36.6%로 5년 전에 비해 11.4%p, 취업·자격증 관련 학습은 33.3%로 8.1%p 증가한 반면 컴퓨터 관련 학습은 23.6%p 감소함
○ 학생을 제외한 일반인의 경우는 하루 10분 이상 자기계발을 위해 학습하는 비율이 5.0%에 그치며, 5년 전에 비해서도 0.2%p 감소함
- 남자의 경우는 취업·자격증 관련 학습이 42.6%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외국어 관련 학습으로 24.1%이며,
- 여자의 경우는 취미관련 강습과 취업·자격증 관련 학습이 각각 34.0%임
라. 이동
20세 이상 취업자가 평일에 출퇴근 및 일과 관련하여 이동하는데 사용하는 시간은 1시간 20분으로 5년 전보다 8분 증가하였으며, 학생의 통학 및 학습 관련 이동 시간은 1시간 16분으로 5년 전과 동일함
○ 20세 이상 취업자의 출퇴근 또는 일 관련 이동 시간은 평일 평균 1시간 20분이며, 남자 취업자의 이동시간이 1시간 31분으로 여자보다 26분 더 많음
- 고용주의 일 관련 이동시간이 1시간 44분으로 가장 길고, 임금근로자 1시간 29분, 자영자 1시간 1분, 무급가족 종사자 40분 순임
○ 학생의 학습 관련 이동시간은 평일 평균 1시간 16분인데 대학생이 1시간 22분으로 가장 길고, 고등학생 1시간 18분, 중학생 1시간 15분, 초등학생 1시간 7분 순임
- 5년 전과 비교해서는 초등학생의 이동시간이 59분에서 8분 늘어남
서울 지역의 임금근로자의 출퇴근 시간은 1시간 24분으로 강원·제주지역의 임금근로자에 비해 39분 더 소요하며, 광역시와 경기지역도 1시간 이상 소요
○ 임금근로자의 평일 출퇴근 소요시간은 서울이 1시간 24분으로 가장 길며, 5년 전에 비해서는 4분이 증가함
- 대전을 제외한 광역시와 경기 지역도 1시간 이상을 출퇴근에 소비하고 있으나, 강원과 제주 지역은 45분으로 소요시간이 가장 적음
- 자영자의 출퇴근 시간은 일반적으로 임금근로자에 비해 30분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나며, 5년 전과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음
○ 평일 시간대별로 취업자나 학생의 출퇴근·통학 등을 위한 이동 행위자 비율을 살펴보면 아침 7시부터 9시까지 가장 높음
○ 퇴근 또는 하교하는 시간대의 행위자 비율을 살펴보면, 취업자의 경우 오후 6시부터 7시 30분까지 가장 높고, 학생의 경우는 오후 3시 30분부터 6시까지 가장 높음
3) 여가생활시간
가. TV 시청
10세 이상 국민의 평균 TV 시청 시간은 평일 2시간 6분, 토요일 2시간 38분, 일요일 3시간 14분임
○ 10세 이상 국민은 평균적으로 평일 2시간 6분, 토요일 2시간 38분, 일요일 3시간 14분 TV를 시청함
- 남녀별로는 평일과 토요일에는 여자가 남자보다 각각 15분, 9분 더 많이 TV를 시청하나, 일요일에는 반대로 남자가 여자보다 14분 더 많이 TV를 시청함
- TV 시청 시간은 5년 전에 비해 평일 17분, 토요일 15분, 일요일 20분 감소함
나. 신문 읽기
남자가 여자보다 신문을 더 많이 읽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신문 읽는 사람 및 읽는 시간은 5년 전보다 감소하였음
○ 10세 이상 국민이 평일에 신문을 읽는데 사용하는 시간은 6분(남자 8분, 여자 3분)임
○ 10세 이상 국민 중 하루 10분 이상 신문을 읽는 사람은 평일 16.5%, 토요일 15.1%, 일요일 9.0%로 평일에 많이 읽음
(5년 전에 비해 평일 3.9%p, 토요일 5.4%p, 일요일 5.8%p 각각 감소)
다. 컴퓨터 이용
컴퓨터를 이용한 여가시간은 5년 전에 비해 20분 이상 늘었음
○ 10세 이상 국민 중 컴퓨터를 이용한 여가시간은 평일 28분, 토요일 39분, 일요일 44분이며, 여자보다는 남자들이 컴퓨터를 많이 이용함
- 5년 전에 비해 평일 20분, 토요일 27분, 일요일 28분이 늘어 컴퓨터 관련 여가 활동이 크게 증가함
○ 컴퓨터를 이용한 여가활동의 내용을 보면 평일의 28분 중 15분은 컴퓨터 게임을 하고, 나머지는 정보검색, 컴퓨터를 이용한 교제(이메일, 채팅 등)에 사용
○ 하루에 10분 이상 컴퓨터를 이용하는 비율은 평일 30.7%, 토요일 32.9%, 일요일 33.1%로 나타나 10세 이상 국민 3명 중 1명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여가활동을 함
- 컴퓨터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연령층은 10~20대로 평일에 남자는 63.2%가 1시간 51분을, 여자는 50.3%가 1시간 22분을 여가활동에 컴퓨터를 이용함
- 10~20대 남자의 경우, 토요일에는 73.3%가 2시간 30분을, 일요일에는 78.0%가 2시간 47분을 여가활동에 컴퓨터를 이용함
라. 취미 및 교제활동
관람 및 취미활동시간은 여자보다 남자가, 기혼자보다 미혼자가 많으며, 그 사용시간도 늘어나는 추세임
○ 10세 이상 국민 중 관람 및 취미활동으로 평일 1시간 19분, 토요일 1시간 38분, 일요일 1시간 48분을 사용함(5년 전 보다 평일 12분, 토요일·일요일 18분씩 증가)
- 남자가 여자보다 관람 및 취미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평일 1시간 34분, 일요일 2시간 19분을 사용하여 여자보다 각각 30분, 1시간 2분이 더 많음
○ 20세 이상 성인 중에서는 기혼자 보다는 미혼자가 관람 및 취미 활동을 위한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평일에는 22분 많은 1시간 35분, 토요일에는 47분 많은 2시간 7분, 일요일에는 55분 더 많은 2시간 19분을 사용함
교제활동시간은 남자보다 여자가 많으며, 교제활동을 한 사람 비율은 미혼자가, 교제활동을 한 사람의 평균시간은 기혼자가 많음
○ 10세 이상 국민의 교제활동 시간은 평일 49분, 토요일 58분, 일요일 1시간이며, 평일과 토요일에는 여자가, 일요일에는 남자가 교제활동을 많이 함
○ 20세 이상 성인의 경우, 평일은 미혼자와 기혼자의 교제활동 시간이 51분으로 같은 수준이나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기혼자보다는 미혼자의 교제활동 시간이 각각 4분, 3분 더 많음
○ 10세 이상 국민의 교제를 위한 전화 통화 시간은 평일에는 9분으로 토요일과 일요일에 비해 1분, 2분 더 많음
10세 이상 국민 중 평일에 하루 10분 이상 책을 읽는 사람은 12.7%에 불과하며평일에 10분 이상 걷기·산책을 하는 사람은 14.8%로 5년 전에 비해서 5.4%p 증가
○ 10세 이상 국민 중 평일 하루 10분 이상 책을 읽는 사람은 12.7%(행위자 평균 1시간 4분)이며, 일요일에는 1.9%p 높은 14.6%(행위자 평균 1시간 19분)가 책을 읽음
○ 10세 이상 국민은 건강 관리를 위해 걷기·산책을 많이 하여 평일 평균 11분을 사용함
3. 근무실태 및 국민의 시간과 성역할에 대한 인식
임금근로자의 경우 주 5일제 근무 비율이 5년 전에 비해 12.5%p 증가한 18.5%임
○ 주 5일 근무하는 사람은 총 취업자의 14.8%로 5년 전에 비해 9.6%p 증가하였음
(주 1일 휴무하는 사람은 39.1%로 5년 전 대비 8.2%p 감소)
10세 이상 국민 중 68.1%가 평소 바쁘거나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며, 업무 후 피곤함을 느끼는 취업자도 89.1%에 이름
○ 10세 이상 국민 중 68.1%가 평소 바쁘거나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반면, 9.1%는 전혀 부족하지 않다고 느낌
- 연령별로는 30대(81.3%), 20대(77.5%), 40대(75.4%) 순으로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낌
○ 취업자의 경우 업무를 끝내고 난 후 피곤함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취업자는 89.1%이며, 기능·노무·장치 기계 조작 종사자는 91.1%가 피곤함을 느낀다고 응답
「남자는 일, 여자는 가정」이라는 성역할 인식에 대해, 남자는 2명 중 1명(49.2%)이 찬성한 반면, 여자는 3명 중 2명(64.8%)이 반대
○「남자는 일, 여자는 가정」이라는 성역할에 대한 10세 이상 국민의 주관적인 인식을 물어본 결과, 남자는 49.2%가 찬성하는 반면에 여자는 64.8%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도 남자와 여자의 성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성 역할에 대해 찬성하는 비율이 높음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사회통계과 042) 481-2361,62
-
2018년 1월 2일 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