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 개원 6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개최

서울--(뉴스와이어)--국립국악원(원장: 박일훈, www.gugak.go.kr)은 오는 4월 7일(목)부터 8일(금)까지 국립국악원 개원 60주년을 기념으로 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한다. ‘동서양의 고악보와 무보’를 주제로 한 본 행사를 통해 세계 각국의 악보와 무보에 관한 역사 및 특징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자리로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고악보의 우수성을 알리고, 나아가 세계 기록문화 유산 등재의 기반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우리나라의 기보법에는 육보, 율자보, 공척보, 약자보, 정간보, 오음약보, 합자보, 연음표 등 8종이 있다. 현재까지 한국의 전통음악의 대부분이 전승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기보법을 사용한 고유의 악보가 있었기 때문이며, 한국의 고유한 고악보의 존재는 전통음악의 가치와 수준을 높여준다. 특히 세종대왕이 창안한 정간보는 한국음악사 뿐만 아니라 세계음악사에서도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

이와 더불어 악보와 함께 춤을 기록하는 무보와 그 기보법에 대해서도 조명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궁중정재(궁중무용)를 한자로 기록한 정재무도홀기, 종묘제례에서 추는 일무를 그림과 함께 기록한 시용무보 등이 전해지고 있다. 이번 학술회의는 우리 춤을 무보화하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국립국악원에서 한·중·일의 무용 기록법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 논의의 장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북한에서 개발된 무용표기법인 자모식 표기법과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통용되는 라바노테이션(Labanotation)을 활용한 우리 춤 기록에 대한 주제까지 폭 넓게 소개된다.

개원 60주년 기념 학술회의에는 독일, 중국, 일본, 한국 등 4개국에서 13명의 학자들이 주제발표자로 참가한다. 음악분야 한국 대표로는 권오성(한양대 명예교수)이 학술회의의 첫 기조발표를 맡는다. 우수박자(偶數拍子, 2박자 또는 4박자의 짝수박자)를 사용하는 중국과 일본에 비해 한국은 대부분의 음악이 3박자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으며, 가사 한 자에 미분법적 변화가 많은 특징들을 표현하기 위해 발달한 다양한 기보법을 알리고 그 우수성을 소개한다.

두 번째 기조발표를 하는 독일의 크리스치안 카덴교수는 훔볼트대학에 음악사회학과를 개설한 권위자로, 현재 세계 여러 나라의 악보에 관해 연구하는 ‘음악 기보법(Musical Notation)’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카덴교수를 중심으로 2006년부터 훔볼트대학과 국립국악원은 수차례 고악보에 관한 연구에 관하여 교류한 바 있으며, 이번 학술회의는 그 결실이기도 하다.

카덴 교수는 이번 학술회의에서 네우마(서양 중세 악보의 기호), 사각 악보(square notation), 숫자보, 점보, 문자보 등 인류의 악보의 형태에 관한 변천사를 개괄하고, 시간의 예술을 악보라는 공간으로 옮기는 표기와 음악적 시간과의 상호 의존성에 관해 발표한다.

아시아·태평양민족음악학회 회장인 중국 복건사범대의 왕야화 교수는 중국 전통음악인 푸젠성 남부의 공척보(중국 기보법의 일종)를 통해 중국 전통음악의 기보법에 관해 발표한다.

또한 무용분야에는 1998년 국립국악원 주최 ‘동양음악국제회의’ 발표를 계기로 한일 무용교류에 활발히 활동하는 니혼대 마루모 유우카 교수가 츠보우치 쇼요(坪内逍遙/1859-1935) 박사에 의해 소개되어 일본 무용보 가운데 최초로 정리된 ‘기가쿠토호부후(妓楽踏舞譜)’를 중심으로 일본무보의 현황, 역사, 종류 및 무보의 전승, 복원, 해석의 문제에 대해서 발표한다.

평양음악무용대학에서 ‘자모식무용표기과정’을 이수한 연변대 박영란 교수는 북한에서 개발된 자모식 표기법을 소개한다. 자모식 표기법은 북한에서 15년간 연구하여 1987년 발표된 무용표기법으로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단어를 이루는 언어학의 원리를 무용동작 표현에 이용한 것이다.

이번 국제학술회의에는 국내외 음악, 무용 및 인접분야 연구자면 누구나 무료로 참가할 수 있으며, 동·서양의 음악과 무용을 한 자리에서 조명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상세한 정보는 국립국악원 홈페이지(www.gugak.go.kr)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ncktpa.go.kr

연락처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이윤주
02-580-3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