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구박물관 섬유복식실 특별전시 ‘신득연家 여인, 외출하다’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신득연申得淵은 신숙주의 5세손이며 고령신씨 현포공파 14세손이다. 그의 아버지는 가례언해家禮諺解를 편찬한 대사헌 신식申湜이다. 신득연 묘에서 출토된 옷은 저고리 4점과 장옷 2점, 단령 1점이다. 피장자인 신득연은 남성이다 복식은 모두 여성용이다.
당시 친척과 형제, 친구로부터 옷을 받아 관 속에 채워주는 수례지의襚禮之衣 풍습으로 본다면 여성용 복식은 신득연의 부인인 동래정씨나 친지들의 것으로 생각된다. 옷의 상태는 매우 양호하고 접혀져 있었던 흔적을 보았을 때 관을 채우기 위한 보공용 옷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전시되는 출토복식 중에서는 여성의 단령과 소매를 서로 다른 색의 무늬와 조각을 이어서 만든 저고리가 돋보인다. 단령은 주로 남자들의 관복에 착용되는 겉옷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조사 된 조선시대의 무덤에서 여성이 단령을 착용한 채로 출토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복식 연구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성단령은 임진왜란 전후시기의 무덤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으며, 현재 신득연 묘 출토 단령을 포함하여 13점에 이른다. 단령 이외에도 저고리와 장옷의 무늬와 옷의 구성은 기품있는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의생활 문화를 보여준다.
웹사이트: http://daegu.museum.go.kr
연락처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실
민보라
053-760-8543
-
2012년 4월 27일 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