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전문가들이 바라본 ‘오디션 서바이벌’ 예능 프로그램

- 3인의 전문가들 “허와 실 분명히 있어”

의정부--(뉴스와이어)--음악관련 예능 방송 사상 최고의 기획으로, 폭발적인 대중적 관심과 이슈를 쏟아내고 있는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들이 전성기를 맞고 있다.

세간에 화제가 되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들로는 세 번째 시즌을 맞이하고 있는 Mnet의 ‘슈퍼스타 K’, 멘토링 스쿨을 도입한 MBC의 ‘위대한 탄생’ 그리고 스타 가수들에게 프레임을 맞춘 ‘나는 가수다’, TVN의 ‘오페라스타’가 있으며, 성악 전문가가 일반인을 육성하는 방식의 SBS ‘기적의 목청킹’ 등도 있다.

그간 아이돌 중심의 극히 ‘산업적’이고 잘 ‘계획된’ 보는 음악에 길들여진 대중의 귀를 탄탄한 실력이 바탕이 된 듣는 음악으로 이끌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바라보는 음악 전문가들의 시각은 어떨까?

엠씨 더 맥스, 성시경, 조성모, 소야 등의 유명 가수들의 보컬 트레이닝을 지도한 바 있는 배연희(보컬 디렉터 화인) 아이플레이뮤직 원장은 “실력으로 평가받는 음악인들의 길을 보여주고, 음악을 매개로 대중을 TV로 이끈 의도 자체는 나쁘지 않다”며 그러나 “실력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오디션에 합격하는 것’ 자체가 목표인 교습 프로그램들이 개발 되는 등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 꼬집어 가수 지망생들이나 실용음악대학 준비생들의 올바른 방향설정에 혼란을 주지 말아야 함을 지적했다.

한편 여러 변수를 통해서 흥미를 유발한다는 포맷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반응이다.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인 유정훈 위원은 “사실 국내 오디션 프로그램들은 ‘브리튼즈 갓 탤런트’, ‘아메리칸 아이돌’의 포맷이 그대로 이식되어 식상하다는 선입견을 주는 것이 사실이었다” 면서 “하지만 생방송 이벤트, 멘토스쿨 등 여러가지 변수를 더 심어 놓아 흥미를 유발 한 것은 긍정적이다”고 논했다. 그러나 유 위원은 지나친 흥미위주의 포맷 설정이 과도한 경쟁과 비뚤어진 담론을 생산 할 수 있다는 반작용의 우려도 숨기지 않았다.

대중음악비평가 김원석 씨는 “방송 후 녹화 된 음원을 재빨리 대형 음악 다운로드 사이트에 공개해 놓은 것도 눈여겨 볼 점이다”고 평가했다. 김 씨는 “방송 된 내용을 다운 받을 수 있게 한 것은 일찍이 일부 예능 프로그램들에서 보여줬던 패턴이다”라고 지적하면서도 “몇몇 프로그램들은 방송 제작부, 음향 제작부, 온라인 사업팀의 긴밀한 업무 공조로 ‘방송 직후 업로드’라는 보다 신속한 대응을 보여줬는데 적당한 수위만 조절한다면 대단히 긍정적인 마케팅이 될 수 있다”고 평가 했다.

아이플레이뮤직 개요
아이플레이뮤직은 학원생들이 먼저 만족하는 커리큘럼으로 최상의 음악 전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이플레이뮤직 아카데미: http://iplaymusic.kr

웹사이트: http://www.iplaymusic.co.kr

연락처

시에스타
김원석 컨텐츠개발기획팀장
070-7123-6569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