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반복되는 행동은 ‘습관장애’

서울--(뉴스와이어)--우리들은 자녀가 반복적으로 하는 어떤 행동에 대해 ‘저건 습관이야’라며 일상에서 쉽게 말하게 된다. 하지만 정작 부모로서 습관에 대해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치료적 접근에도 소극적 태도를 취한다. 단지 그러한 행동이 지속될 경우에는 지적과 추궁으로 자녀에게만 그 책임을 넘기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부모님들은 다른 신체적 질환과 관련해서는 미리 주사를 맞히는 등 예방적 차원을 시도하면서도 미래 자녀의 학습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게 될 기질적 심리적 문제의 신호인, 습관 행동에 대한 예방적 접근에 대해서는 그렇지 못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부모로서 무심코 지나쳤던 습관 행동에 내재되었던 문제들이 자녀의 학습과 생활에서 부정적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 이후에야 병원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다.

휴한의원 위영만 원장은 임상치료현장에서 병리적 진단을 받는 아동의 경우, 정신병리적 양상이 드러나기 전에 습관적 행동을 갖고 있었던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지속되는 습관 행동에는 나름대로의 이유가 존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습관 행동을 치료한다면 그 습관 행동 자체의 개선과 함께 자녀에게 나타날 수도 있는 미래의 발생 가능한 정신병리적 양상도 예방할 수 있다.

- 신경성 습관 :
촉각 감각적 습관 : 손가락 빨기, 부드러운 촉감에 대한 집착, 손톱 물어뜯기, 연필씹기, 성기만지기, 눈썹 뽑기 등의 신체에 관련된 습관들
진동 감각적 습관 : 다리 떨기, 연필 두드리기 등 신체의 반복적 진동에 의한 습관들

- 틱 경향성 습관 : 반복적 눈 깜박이기, 헛기침, 코훌쩍이기 등의 틱장애의 초기적 양상들

- 실행기능 습관: 정리정돈 못하기, 물건 잃어버리기, 일에 대한 조직화 부족 등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습관장애는 아래와 같다.

이러한 양상은 우리주변에서 너무나도 쉽게 볼 수 있는 것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하지만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사라지고 난 이후에도 습관적 행동이 3~6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단순한 습관을 넘어선 습관장애적 접근과 치료가 필요하다.

습관 행동에서 정신병리적으로의 진행 과정이 일반화된 사실은 아니더라도 아이의 습관적 양상에는 부모로서 체크해야만 되는 많은 의미가 내포되어져 있다. 하지만 초기의 습관 행동들이 자녀 및 부모의 외부환경으로 피해가 되는 것이 아니기에 부모는 자녀에게 지적을 하며 버릇으로 치부해버리다가 나중에 정신병리적 진단을 받을 정도의 지경까지 이르러서야 큰 관심을 보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물론 버릇, 습관이라는 것이 그대로 두면 저절로 고쳐지기도 하지만 대부분 그러한 행동을 유발시켰던 근본적인 정서적, 신체적, 기질적 원인에 대한 개선은 변화되지 않는 면이 많다. 습관장애라는 것이 커다란 병리적 양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나, 이러한 습관에 내포된 신체적, 기질적, 정서적 원인에 대한 파악은 다른 신체적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예방주사를 맞히듯 자녀의 발생 가능한 정신병리적 장애에도 부모로서 예방적 조치를 취하는 일이 필요다. 물론 그전에 부모로서 자녀의 습관적 행동에 대한 세심한 관찰 및 관심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도움말:휴한의원 위영만 원장

휴한의원 개요
휴한의원은 틱장애, ADHD, 소아우울증, 학습장애, 뚜렛장애, 불안장애, 분리불안, 심리검사, 놀이치료, 미술치료 등 소아정신 전문 한의원입니다.

웹사이트: http://www.hyoomedical.com

연락처

휴한의원
위현준
02-552-374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