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비전새움터’ 통해 정신장애 노숙인 14명 취업 성공
서울시는 정신장애 노숙인들의 재활능력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비전새움터’가 지난해 2,000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심리적 안정’과 ‘일’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1석 2조 재활프로그램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5일(화) 밝혔다.
서울시립 노숙인 재활쉼터인 ‘비전트레이닝센터’에서는 2006. 3월부터 친환경비누작업장 ‘비전새움터’를 운영, 정신 노숙인들의 재활능력을 키워 사회복귀를 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연인원 1,200여명이 보호작업장에서 근로에 참여했으며 지난해 2,000만원의 매출을 냈고, 올해에는 지난해의 2배인 4,000만 원 이상의 매출을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의 경우 근로에 참여한 43명의 정신장애 노숙인중 14명이 취업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둬 기존처럼 단순 소일거리 제공에 그치는 것이 아닌 정신장애 노숙인들의 실질적 자활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 병력을 가진 노숙인 강신영(가명)씨는 최근 행복하다. 그가 출근할 사무실과 할 일이 생긴 것은 물론, 적은 돈이지만 꾸준히 저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심신의 건강도 꾸준히 나아지고 있어 조심스럽지만 사회복귀도 꿈꿔 본다.
뿐만 아니라, 친환경비누작업장 ‘비전새움터’는 지역주민과의 소통의 장도 만들고 있다. 월 2회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비누공방을 활용한 친환경 비누만들기 체험활동을 진행해 주민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
지난 3.29일에는 여성능력개발원, 5.11일에는 세화고등학교에서, 6.10일에는 중앙공무원 연수생들이 비누만들기 체험에 참여했다.
이 외에도 2011년 가을에는 서울형 사회적기업 신청을 준비하고 있으며 또한, 지역주민과의 더욱 건강한 소통을 위해 함께 커피를 마시며 비누도 만들 수 있는 ‘친환경비누카페’도 구상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에 따라 서울시는 올 해 1월, 친환경비누제작 사업의 확대운영을 위해 보호작업장 내에 비누공방과 ‘건조실’을 신규로 설치했고 제작과 판매, 공방운영에 필요한 사업자등록까지 마쳤다.
또한, 정신장애인이라는 개별적 특성을 반영해 이들의 적절한 재활을 돕기 위한 인력지원 등 초기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 특별자활근로 인원을 배정해 이들이 안정적 조건에서 비누제작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정관 서울시 복지건강본부장은 “노숙인은 게으르다는 편견과 달리 대다수의 노숙인은 일자리에 관심이 많다”며, “이들의 관심으로 어엿한 노숙인 보호사업장을 건실하게 만들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서울시는 비누제작작업장이 사회적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정신장애 노숙인들이 만든 친환경 비누를 구매를 원하는 분은 서울시 자활지원과(02-6360-4544) 또는 비전새움터(02-2243-9187)로 전화하면 된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복지건강본부
자활지원과 김용범
02-6360-4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