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16년까지 노인여가복지시설 수요 100% 확보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가 2016년까지 급증하고 있는 노인인구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한 노인여가복지시설 수요 100% 확보에 나선다.

2010년 기준 60세 이상 서울 노인인구는 약150만 명인데 반해, 이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해 줄 노인여가복지시설은 노인종합복지관 30개소, 소규모 노인복지센터 24개소 등 총 54개 밖에 없어 노인여가복지시설 수요충족률이 56.7%(노인 1인당 적정 여가복지시설 면적 : 2.354㎡)에 머물러 있다.

경로당은 3,116개소가 있지만 역할이 단순 기능에 머물러 있어 프로그램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서울시는 2016년까지 소규모노인복지센터를 중심으로 노인여가복지시설을 54개소에서 105개소로 확충하고, 노인종합복지관과 경로당은 기능과 여가·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1일(월) 밝혔다.

서울시는 구체적으로 ▴광역단위 신개념 미래형 노인복합시설인 어르신행복타운 5개소 건립 ▴30개 노인종합복지관 자치구 단위 노인복지 거점화 ▴지역밀착형 소규모 노인복지센터 70개소로 대폭 확충 ▴경로당 이용 활성화 사업을 강화한다.

이로써 서울시는 베이비부머 등 새로운 노인복지 수요와 다양한 욕구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서울형 그물망 노인복지 인프라를 촘촘히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베이비붐 세대(55~63년생)의 노년층 편입에 따른 신세대 노인 등장 등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에 대응하는 여가시설 부족으로 새롭고 다양한 복지욕구 충족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특히, 노인종합복지관의 경우 노인인구와 여가문화 욕구 증대로 일평균 이용자가 ‘07년 3만명에서 ’10년 3만6천명으로 늘어나며 포화상태에 이르러 있어, 이에 준하는 시설확충이 시급하다.

첫째, 서울시는 신개념 미래형 노인복합시설인 ‘서남권 어르신행복타운’을 2014년까지 시범 건립한다.

현재 ‘서남권 어르신행복타운’ 건립은 시의회에서 부결된 상태이나 서울시는 지속적인 설득을 통해 시범 건립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베이비부머를 포함한 신노인 등장 등 급속한 고령화에 대비하기 위해선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기존 시설의 한계를 뛰어 넘어 의료, 건강은 물론 여가, 체육, 취약노인 보호 등 어르신 맞춤형 원스톱 토털서비스를 제공할 노인복합시설 건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5개 권역 중 우선 시범 건립하게 될 서남권 어르신행복타운은 기존 노인복지관에서 수용,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복합서비스 공간과 새롭게 도입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인근 보라매병원과 연계해 노인전문클리닉, 노인질환 R&D 등을 운영하여 ‘의료·건강’ 분야로 특화시킬 계획이다.

2016년까지는 서남권을 비롯해 도심권, 동북권, 동남권, 서북권 등 5개 권역별 어르신행복타운을 건립할 계획이다.

둘째, 서울시는 30개 노인종합복지관을 자치구 단위 노인복지 거점기관으로 기능을 재정립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존 장비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시설물 증·개축 도 실시한다.

서울시는 노인종합복지관의 표준사업안·표준운영모델을 개발해 지역사회 중심의 복합적, 종합적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홀몸 노인에 대한 역할조정을 통해 복지사각지대 어르신 통합 사례관리 기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셋째, 서울시는 지역밀착형 소규모노인복지센터를 '16년까지 24개소에서 70개소로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소규모노인복지센터는 '07년부터 서울시가 25개 자치구에 건립비를 지원해주는 ‘1자치구 1소규모노인복지센터’ 확충 사업을 통해 47개소를 짓고, 자치구 자체 건립을 통해 23개소를 건립한다.

서울시는 ‘1자치구 1소규모노인복지센터’ 확충 사업으로 ‘14년까지 25개 자치구에 지원을 하고, 그래도 노인여가복지시설이 부족한 17개 자치구에는 ’16년까지 추가로 건립비를 지원해 22개소를 추가 확충할 계획이다.

다만, 17개 자치구에서 배제되는 공급 충족 자치구(종로, 중구, 강북, 은평, 동작, 서초, 강남, 강동)도 향후 노인인구 증가 등으로 충족률이 부족할 경우 추가 지원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16년까지 노인종합복지관 30개소, 소규모노인복지센터 70개소, 어르신행복타운 5개소가 모두 완공돼 서울시가 목표로 하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수요충족률이 100% 확보된다.

서울시는 소규모 노인복지센터가 대폭 확충되면 기존의 노인종합복지관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강화해 어르신들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보다 가까이에서 듣고 지역 어르신들에게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인종합복지관과 경로당의 중간규모 여가시설인 소규모노인복지센터는 부족한 노인여가시설을 보완하고, 기존의 노인종합복지관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여 지역 어르신들에게 보다 가까운 곳에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사회교육, 정서함양, 복리후생, 기능회복, 자원봉사자육성, 지역복지협동 등 노인종합복지관에 버금가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운영해 지역 어르신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넷째, 서울시는 동네중심의 최소단위 여가시설로 거동이 불편하고 연로하신 어르신들의 접근성을 감안해 경로당 이용활성화 사업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총 3,116개 경로당 중 100㎡이상으로 활성화 욕구가 있는 경로당 1,474개소에 대해 지역 내 노인종합복지관과 연계, 이용자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 제공함으로써 시설의 운영 활성화 도모 및 기능을 개선할 계획이다.

현재 대부분의 경로당은 회원 중 일부에 국한되어 이용되고 있고 프로그램 활용도 제한적이어서 동네 단순한 쉼터 역할에 지나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경로당 활성화 사업 강화로 누구나 찾아가고 누릴 수 있는 경로당 문화·여가 프로그램을 구축해 단순한 쉼터가 아닌 동네 노인들의 문화·클럽 활동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광역단위 신개념 미래형 노인복합시설인 어르신행복타운과 자치구 지역여가시설인 노인종합복지관, 소규모노인복지센터, 경로당을 네트워크망으로 구성하고 각 시설별 기능·역할을 새롭게 정립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전달체계 효율화, 기능중복을 최소화하는 통합적 연계운영 방안을 마련해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예정이다.

이정관 서울시 복지건강본부장은 “앞으로의 노인여가복지시설은 보호와 휴식 위주 기능에서 일반 가정의 건강한 노인도 능동적으로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며 “서울형 그물망 노인복지 인프라 구축을 통해 기존시설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100세 도시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복지건강본부
노인복지과 배진성
02-3707-967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