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5일, ‘아시아전통오케스트라’ 공연 열려
대한민국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 국가연합) 10개국의 52종 전통악기로 구성된 ‘아시아전통오케스트라’의 <2011 아시아전통오케스트라 서울공연(주최 : 문화체육관광부)>이 8월 15일(월)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아시아전통오케스트라’는 대한민국의 광복절을 맞아, 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화합의 노래를 함께 연주한다. 이번 <2011 아시아전통오케스트라>의 서울 공연에는 해외연주자 50명, 국내연주자 30명, 인천시립합창단 60명 등 총 11개국 140명이 한 무대에 오른다.
‘셀로카(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각국 민속음악과 ‘사랑해요 아시아’ 연주
<아시아전통오케스트라>는 지난 2009년 창단 이래 ‘한-아세안 전통 오케스트라’라는 이름으로 활동해왔다. 올해는 ‘아시아전통오케스트라’로 그 명칭을 변경하여 보다 더 발전된 모습으로 활동영역을 넓혀나갈 예정이다. 2009년 창단 당시에 한국과 아세안 작곡가와 음악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하나의 소리를 내기 어렵다는 전통악기들을 서로 조율하며 불가능할 거라는 세상의 예상을 깨고 관객들에게 놀라움과 감동을 선사한 바 있다. 창단을 위해 서로 소리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피붙이 같은 전통악기들을 연습 현장에서 직접 자르고 다듬은 일화는 유명하다.
이번 8월 15일 공연에서는 작곡가 겸 지휘자 김성국(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의 현대적 해석과 함께 세련된 편곡으로 재탄생한 대한민국의 대표 가락 ‘쾌지나 칭칭’을 오프닝으로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라오스, 태국 등 총 11개국의 민속음악들을 선보인다. 또한 피날레를 장식하게 될 작곡가 박범훈(교육문화수석)의 ‘사랑해요, 아시아’는 <2011 아시아전통오케스트라 서울공연>의 평화와 화합의 뜻을 담은 곡으로 ‘안녕하세요, 사랑합니다, 고맙습니다.’의 한국어 가사를 한아세안 각 나라의 언어로 구성하였으며 각 국의 특징적이고 민속적인 선율도 느낄 수 있다. 특히 이 곡에는 국악인 김성녀(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가 한국을 대표하여 무대에 오르고, 참가국에서 초청된 가수들이 협연하며 그 의미를 더할 것이다.
아시아 연주자들이 한 곳에 모여 만드는 공연
이번 공연을 위해 각 국 연주자들은 8월 8일 한국에 입국하여 워크숍을 갖게 된다. 워크숍에서 80여명의 연주자들은 이번 공연 지휘를 맡게 된 김성국 지휘자를 중심으로, 서로의 음악에 대해 교류하고 함께 8월 15일 개최되는 2011 아시아 전통 오케스트라 서울공연을 만들어 가는 장을 마련한다. 52종의 전통악기가 한 곳에 모이는 만큼 다양한 아시아 음악의 교류가 기대된다.
무료 관람,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홈페이지 통해 예매 받아
이처럼 아시아 전통음악과 악기가 한자리에 모이게 될 <2011 아시아전통오케스트라> 서울공연은 각국의 평화와 화합의 미래를 연주하는 뜻 깊은 자리로, 누구나가 사전 예약을 통해 무료 관람할 수 있다. 공연예약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홈페이지(www.cct.go.kr)에서 8월 12일까지 진행한다.
문화체육관광부 개요
문화, 예술, 체육, 관광, 종교, 미디어, 국정홍보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이다. 2008년 문화관광부와 국정홍보처, 정보통신부의 디지털콘텐츠 기능을 통합해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했다. 1차관이 기획조정실, 종무실, 문화콘텐츠산업실, 문화정책국, 예술국, 관광국,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을 관할하며, 2차관이 국민소통실, 체육국, 미디어정책국, 아시아문화중심추진단을 맡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문화재청,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국어원, 국립중앙도서관, 국립극장,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술관, 한국영상자료원, 해외문화홍보원, 한국정책방송(KTV)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cst.go.kr
연락처
문화체육관광부 전당운영협력팀
홍성연 연구원
02-3704-3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