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일자리 증감현황 원인분석…대응전략 마련

대구--(뉴스와이어)--경상북도는 민선5기 도정의 최우선 과제인 일자리 22만개 창출을 위해 최근 5년간 일자리 증감현황 원인을 분석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대응전략을 마련하여 적극 추진한다.

국내 최대 규모의 기업 데이터베이스(DB)인 ‘코참비즈’에 등록돼 있는 종업원 5인 이상 7만3,333개 기업의 고용 추이 중심으로 2005년 대비 2010년 일자리 증감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북은 1만1,172개로 수도권에 이어 4위를 차지하였지만 도내 시·군간 편차가 심하여 이를 해소하고, 부진한 시·군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을 통한 해결책 마련으로 경북도의 역량을 일자리 창출로 재집결시키기 위한 조치이다.

최근 5년간 일자리 증감현황을 보면 전국적으로 7개 시·도가 감소하였고, 증가한 시·도 중 일자리 92% 증가한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 조선업계의 대호황기로 증가한 경남에 이어 경북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특별한 외부요인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민선 4기 동안 투자유치 12조원 시대를 개척하였고, 국가예산 7조원대를 확보하여 지역 숙원사업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한 데에 기인한 것이어서 더욱 뜻 깊다고 할 수 있다.

경북도는 LG 디스플레이 LCD공장 등 기업유치와 공장 증설 등으로 일자리가 증가한 구미시와 세진테크, 에스엔비인터네셔널, 오성 등 기업유치로 일자리가 증가한 청도군에 대해 오는 8월 4일(목) 기관표창을 실시할 계획이다.

반면에, 일자리 창출 실적이 낮은 청송, 의성군 등에 대해서는 향후 재정적 지원 등에 패널티를 주는 것은 물론 각종 추진실적 시·군 평가 시 평가항목에 반영할 계획이다.

앞으로 경북도에서는 일자리 창출 추진전략으로 ▲ 글로벌 리더, 해외청년인턴쉽, 청년창업 지원 등 청년일자리 뉴딜정책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 ▲ 대학생과 우수기업을 연결하는 희망이음 프로젝트 등 시대 트랜드에 부합하는 맞춤형일자리 창출 ▲ 사회적기업 육성 등 저소득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기업 활성화 ▲ 글로벌 대기업 유치에 치중하는 한편, 일자리창출과 연계하여 매출 규모보다 일자리가 많은 기업 집중유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지역의 고용창출이 지역산업 정책과 연계하여 추진할 때가 효과가 크므로 고용창출 기여도가 높은 지역 서비스산업, 숙련 집약형 산업, 제조업 기반산업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도 장기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경북도 관계자는 앞으로도 도정의 최우선 과제가 일자리 창출인 만큼 시·군별 일자리 창출 맞춤전략을 추진하여 구석구석 일자리가 늘어나도록 추진하고, 일자리창출 우수 시·군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시·군에서는 고용 없는 성장시대에 대비하여 공공근로,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등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창출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지역개발계획의 정부정책화를 통한 미래형 일자리 창출에도 더욱 박차를 가할 때라고 강조했다.

경상북도청 개요
경상북도청은 272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6년 7월부터 시민의 선거를 통해 당선된 김관용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도청이전 신도시 명품화 프로젝트, 한반도 역사·문화산업 네트워크 구축,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 FTA대응 농어업 경쟁력 강화, 백두대간·낙동정맥 힐링벨트 조성, IT 융복합 신산업벨트 조성, 초광역 SOC 도로·철도망 구축, 동해안 첨단과학 그린에너지 거점 조성, UN과 함께하는 새마을운동 세계화, 민족의 섬 울릉도·독도를 2014년 10대 전략 프로젝트로 삼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yeongbuk.go.kr

연락처

경상북도청 일자리경제본부
일자리창출단 최순고
053-950-290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