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워크 전면 도입’ 한국릴리, 의사 소통 시간 7시간 감소 등 스마트 워크 효과 톡톡

- 한국릴리, 스마트 워크 환경 도입의 실질적 효과 측정하기 위한 업무 환경 직원 평가 실시

- 스마트 워크 업무 환경에서 협업을 위한 의사 소통 시간 7시간 빨라지고, 창의적, 의욕적 분위기로 변화

서울--(뉴스와이어)--다국적 제약회사 한국릴리(대표: 야니 윗스트허이슨)는 스마트 워크 도입 후 업무 효율성 및 전반적인 사내 분위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업무 환경 직원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협업을 위한 사내 의사소통 소모 시간이 최대 7시간까지 감소하고, 창의적이고 의욕적인 사내 분위기 조성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평가는 지난 해 9월, 서울 STX 남산타워로 이전하면서 구축한 한국릴리의 스마트 워크 플레이스, ‘IWP (통합업무환경, Integrated Work place)’의 실질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4월 11일 ~ 22일에 걸쳐 본사에 근무하는 한국릴리 직원 120명(외근직 56%, 내근직 44%)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번 평가에서 직원들에게 가장 좋은 점수를 받은 것은 사내 의사 소통 시간의 감소 부분이었다. IWP 시행 이후, 상사의 피드백은 1시간(약 10%), 같은 부서 동료의 피드백은 3시간(약 27%) 단축되었으며, 타 부서 직원에 피드백 시간은 7시간(약 37%) 단축되어 업무 협업에 있어 효율성이 눈에 띄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업무 환경이 직무 수행에 강점으로 작용한다고 응답한 직원이 33% 증가해 IWP 도입에 따른 업무 효율성 제고 효과를 반증했다.

IWP가 직원들의 직무 태도나 사내 분위기 등 정서적인 부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내 분위기가 창의적이라는 답변이 기존 대비 41%, 서로 긍정적 자극을 주는 분위기라는 답변이 47% 증가해 IWP 구축 후 직원들이 체감하는 사내 분위기가 크게 개선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공동체 의식과 팀워크가 기존 대비 약 8% 향상되는 등 “동료간의 긴밀한 토론과 협업이 가능해졌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 결과와 관련해 야니 윗스트허이슨 대표는 “우수한 직원들이 보다 좋은 일터에서 효율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도입한 한국릴리의 IWP가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직원들의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순조롭게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러한 효율성 제고가 ‘환자에게 건강한 삶을 제공한다’ 는 한국 릴리의 기업적 소명을 다하는 데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릴리는 사옥을 이전하면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워크(smart work)’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IWP (Integrated Work place), 즉 통합업무환경을 구축하였다. 한국릴리의 직원들은 지정된 자리에서 근무하는 ‘상주직’과 다양한 업무 환경 중 원하는 자리에서 근무할 수 있는 ‘유동직’으로 나뉘어 근무한다. 상주직은 외근, 미팅이 적고 한 자리에서 집중하여 처리할 업무가 많은 직원으로 지정석에서 근무하며, 유동직은 타 부서와 협업이 많거나 회의와 외근이 잦아 자리를 비우는 일이 많은 직원으로 본인이 원하는 자리에서 근무 가능하다.

유동직 근무자들에게는 개인 사물함을 배정하고 장소에 관계없이 본인의 전화번호로 연락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소프트폰을 노트북에 탑재해 주는 등 편의성을 제공했다.

또한, 한국릴리는 2005년부터 유연근무제를 전면 실시, 현재 영업직을 제외한 본사 전 직원을 대상으로 출퇴근 시간을 개인의 상황과 필요에 맞게 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2009년부터는 이를 확대해 탄력근무제와 완전 재택근무제를 추가로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lilly.co.kr

연락처

한국릴리 기업홍보 담당
마콜커뮤니케이션컨설팅
이선화 팀장
02-6915-3041, 010-8946-0908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