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기상관측선 ‘기상 1호’ 관련 설명
□ ‘기상 1호’의 취항 이후 주요 활동은?
- 6.21~6.24 : 장마 집중 관측 및 태풍 메아리 선도 관측(남해상)
- 6.28~7.1 : 장마 집중 관측(남해상)
- 7.7~7.18 : 장마 집중 관측(서해상)
- 7.26~7.29 : 해양관측, 고층기상관측, 심해측정장비테스트(동해상)
- 8.5~8.12 : 제9호 태풍 무이파 선도관측 및 집중 관측(서해상)
□ 7월 말 수도권 집중 호우 시 ‘기상 1호’의 활동 내용은?
동해상에서 고층 관측 및 수심 1000m 이상에서의 수층별 유향, 유속 해저환경 등의 관측을 수행하였음.(7월 26일 10시 부산항 출항)
□ 이번에 ‘기상 1호’가 왜 동해에 있었는지?
올해 장마기간 동안 서해상에서 집중 관측을 통해 예측민감도 테스트를 한 후 사전에 계획된 운항계획에 따라 동해상에서 관측을 수행 중에 있었음.
서해상에서 한반도를 지나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는 강수대 이동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한반도 동쪽에서 관측한 고층관측 자료에 대한 테스트도 필수적이기 때문에 ‘기상 1호’를 동해에 배치해 관측을 수행한 것임.
‘기상 1호’ 운항계획은 각 계절별 특성에 맞추어 계획하고 있음. 장마기간 동안은 서해 및 남해에 집중 배치하여 장마 관측 및 태풍선도 관측을 수행하였으며, 지난 7월 17일 장마가 끝난 후 2,000미터 이상의 수심에서 심해 측정 장비 테스트 및 울릉도 해양기상서비스 강화를 위한 부이 설치지점 환경조사를 위해 동해상에서 관측을 수행함.
관측선 1척으로는 동시에 서해 남해 동해를 커버하기에는 무리이며 선택적으로 운영할 수 밖에 없음. 또한, ‘기상 1호’가 취항되었다고 해서 바로 ‘기상 1호’로 관측한 자료가 수치모델에 바로 입력해 예보에 활용할 수는 없으며 현재는 테스트 중에 있음.
□ 현재 관측자료 들은 어떠한 테스트를 하고 있는지?
파고, 수온, 풍향·풍속 등의 자료들은 실시간으로 제공 되고 있으며, 고층자료는 수치모델 자료입력은 현재 테스트 중이며, 연말까지 테스트를 완료하고 수치모델에 입력할 것임. 또한 현재까지 관측된 자료들을 이용해 수치모델 개선효과, 예측 민감 지역 선정 등을 위한 자료를 산출 중에 있음.
각종 첨단 장비의 현업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테스트 기간이 필요함. 예로, 천리안 위성의 경우 약 9개월 이상의 테스트 기간을 거쳐 정식 운영에 들어감(천리안 위성의 경우 2010년 6월 27년 발사, 정규서비스 시작 2011년 4월 1일부터)
□ 제9호 태풍 무이파의 북상에 따른 ‘기상 1호’ 활동 계획은?
8월 5일(금) 오전 부산항을 출항하여 태풍의 이동 및 예상 경로에 따라 남해, 서해상에서 태풍 종료 시까지 관측을 수행할 계획임.
□ ‘기상 1호’의 관측 자료들이 수치모델 개선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지금까지의 관측수행결과 들을 분석 중에 있음. 올해 말경 그 동안의 관측 및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임.
웹사이트: http://www.kma.go.kr
연락처
기상청 관측기반국 해양기상과
과장 서장원
02-2181-0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