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핀 관련 연구개발 동향

대전--(뉴스와이어)--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graphen)’에 대한 연구개발이 ‘09년 이후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핀은 ‘04년에 흑연에 ‘스카치테이프’를 붙였다 뗏다 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최초로 세상에 태어났다. 안드레 가임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는 최초로 그래핀을 분리한 연구공로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최근 그래핀을 첨단기술인 초고속 반도체, 투명전극, 나노구조체, 태양전지 등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허청(청장 이수원)의 최근 그래핀 관련 특허출원 동향 조사에 따르면, 그래핀을 최초로 분리에 성공한 ‘04년 이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09년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05년 및 ’06년에 각각 3건 및 6건의 특허출원으로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07년 및 ’08년에 각각 23건 및 44건의 특허출원으로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후, ‘09년 이후에 203건의 특허출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재료/제조(95건), 나노구조체(25건), 전자소자(51건), 전극(38건), 태양전지(18건), 디스플레이(10건) 및 조성물(23건)의 순서로 연구개발 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모든 기술분야별 특허출원이 ‘09년 이후에 급증하는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점도 흥미롭다.

특허청 개요
특허청은 특허와 실용 신안, 디자인(의장)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수행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산업재산정책국, 정보기획국, 고객협력국, 상표디자인심사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전기전자심사국, 정보통신심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 특허심판원과 특허청서울사무소,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po.go.kr

연락처

특허청 전기전자심사국
반도체심사과 이별섭
042-481-849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