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독한 짝퉁 대응’ 나섰다

- 이라크 짝퉁 제품 판매업체 ‘KAWA’社에 160억 원 손해배상 청구 소송

- 중국서 짝퉁 LG전자 휴대폰 제조업체 ‘DISCOVY’社 임직원 형사 단속 및 고발

- LG전자 브랜드/디자인 도용행위에 대해 형사 및 민사소송 등 ‘독한 대응’ 방침

뉴스 제공
LG전자 코스피 066570
2011-08-10 11:00
서울--(뉴스와이어)--LG전자(066570, 대표 具本俊, www.lge.co.kr)가 브랜드를 도용하거나 ‘짝퉁(Fake)’ 전자제품을 제조해 판매하는 업체들에 대해 ‘독한 대응’에 나섰다.

LG전자는 이달 초 이라크에서 중국산 전자제품에 ‘Super LG’라는 유사 브랜드를 달아 판매해 오던 ‘KAWA(카와)’社를 상대로 160억 이라크 디나르(Iraqi Dinar, 한화 약 160억 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바그다드 법원에 제기했다.

이와 함께 유사 브랜드를 부착한 제품, 광고 및 판촉자료의 몰수 및 폐기도 함께 요구했다.

LG전자는 지난 2009년 KAWA社의 ‘Super LG’ 상표 무효 소송을 바그다드 법원에 제기, 올해 3월 최종 승소한 데 이어 이번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함으로써 브랜드이미지 회복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특히, LG전자는 이라크에서 각종 위협을 무릅쓰고 짝퉁 브랜드에 강력 대응한다는 점을 널리 알려, 이 시장에서 유사 상표 제품이 2년 전에 비해 20% 수준으로 감소하는 성과를 올렸다.

또한, LG전자는 특허센터와 레반트 법인의 공조를 통해 ‘Super LG’ 등 짝퉁 제품의 수출입 차단조치는 물론, 정품 사용 유도 활동 등을 지속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한편, LG전자는 중국 심천(深?)에서도 수년간 짝퉁 LG전자 휴대폰을 제조, 판매해오던 ‘DISCOVY(디스코비)’社를 지난해 중국 공안의 협조로 형사 단속하고, 이 회사 임직원을 심천시 인민법원에 형사 고발했다.

DISCOVY社는 짝퉁폰 상품기획, 디자인, 제조 및 판매조직뿐만 아니라 북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 전 세계적인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으며, 연간 짝퉁폰 매출이 100만 달러(약 11억 원)에 이르는 대규모 업체다.

형사 단속에는 차량 14대 및 중국 공안 40명 이상이 투입됐고, 이들이 공장/사무실/창고 등 6개 표적을 동시에 급습해 물증을 확보하고 관련자를 체포하는 대규모 작전이 펼쳐졌다.

심천시 남산구 인민법원은 올 1월에 열린 1심 판결에서 이 회사 부총경리(부사장급)에게 6만 위안(약 1천만 원)의 벌금과 함께 징역 8개월의 실형을 선고했으며, 짝퉁 제품, 원자재, 생산장비를 모두 압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LG전자는 향후에도 국내/외에서 벌어지는 LG전자 브랜드 및 디자인 등의 도용행위에 대해 행정 단속을 통한 제품 압류 등 기존 조치는 물론, 형사 및 민사소송 등을 통해 단호하고 독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LG전자 특허센터장 이정환 부사장은 “짝퉁 제품 판매 및 브랜드 도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가의 법인과 특허센터가 협력, LG전자의 지적재산을 침해하는 행위를 뿌리 뽑을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개요
LG전자는 가전제품,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등 여러 분야에서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이며 세계 130여 개 사업장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H&A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HE (Home Entertainment), VS (Vehicle component Solutions), BS (Business Solutions)의 사업본부로 구성됐으며 TV, 세탁기, 냉장고, 자동차부품, 사이니지,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lge.co.kr

연락처

LG전자 홍보팀
02-3777-659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