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수해지역 질병예방 강화
도 보건당국은, 지난 6월 24일 도내 전 시군에 장마철 감염병 관리대책을 시달하여 지자체별 감염병 대책수립, 재해대비 감염병 기동반 구성 및 방역약품 확보 등을 사전점검토록 하였다.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첫째,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장출혈성 대장균이나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음식물로 전파되는 수인성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고 둘째, 물웅덩이 증가로 인한 모기 유충의 서식 환경이 증가함에 따라 일본뇌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셋째, 유행성 눈병이나 피부병도 주의하여야 한다.
지난 7월에 발생한 수해와 관련하여, 전라북도에서는 시·군 수해지역에 방역물품(살충제 2,094개, 살균제 570개, 피부연고제 220개, 손소독제 2,700개, 고체비누 2,100개)을 지원한 바 있으며, 금번에도 추가 수요 물량이 있는지 파악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전라북도에서는 수해지역 주민, 복구작업 참여자, 기타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 수해 후, 감염병 및 각종 질병 예방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손씻기 및 안전한 음식물 섭취를 당부하였다.
철저한 손 씻기로 각종 수인성감염병과 유행성눈병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복구 작업 중에도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이 중요함.
음식물과 조리 과정에 대한 주의가 가장 중요하므로 되도록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며 조리한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도록 하고 설사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함.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집주변에 고인 물이 없도록 하고, 모기 활동이 왕성한 저녁부터 새벽까지는 외출을 자제함.
복구에 여념이 없지만 홍수 때 오염된 물에서 오랫동안 작업하거나 다친 피부에 노출되면 접촉성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물에 노출된 피부는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방수복이나 긴 장화를 착용하여야 함.
발열, 설사가 있거나 피부가 붓는 등 몸이 이상할 경우에는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함.
전라북도청 개요
전라북도청은 186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송하진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송하진 도지사는 한국 속의 한국, 생동하는 전라북도를 토대로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창의롭고 멋스런 문화, 알뜰하게 커가는 경제, 따뜻하고 정다운 복지, 아름답고 청정한 환경을 도정방침으로 정했다.
웹사이트: http://www.jeonbuk.go.kr
연락처
전라북도청 복지여성보건국
보건위생과 황의열
063-280-2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