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국내외 경제동향(2011.8)

서울--(뉴스와이어)--Ⅰ. 국외경제동향
1. 주요국 경제

(미국) 2/4분기중 GDP성장률(전기비 연율)이 1.3%에 그쳤으며 1/4분기(0.4%)도 큰 폭 하향 조정(당초 1.9%)

7월중 실업률이 9.1%를 나타내고, 비농업부문취업자수는 11.7만명 증가

(일본) 6월중 소비, 수출 및 생산이 회복세를 지속하면서 대지진의 영향에서 벗어나는 모습
(유로지역)5월중 수출 및 산업생산이 늘어나고 소매판매는 6월중 증가 전환
(중국) 7월중 소비, 투자, 수출 및 생산 모두 활기를 지속

2. 국제금융시장

미국채금리(10년 만기)는 유럽 국가채무문제 및 미국 신용등급 하향조정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등으로 크게 하락

(6월말 3.16% → 7월말 2.80% → 8.9일 2.25%)

미 달러화는 국제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미 국채 수요 증가, ECB 국채매입 재개 등으로 유로화에 대해 강세
엔화에 대해서는 미국 경기부진 우려 등으로 약세 지속

3. 주요 상품가격

국제유가(Brent유 기준)는 8월 들어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 전망 등으로 빠르게 하락
기타원자재가격(로이터상품가격지수 기준)은 7월중 소폭 상승하였다가 8월 들어 큰 폭 하락
(전월말대비 6월말 -2.6% → 7월말 0.6% → 8.9일 -6.6%)

Ⅱ. 국내경제동향
1. 내 수

6월중 소매판매는 내구재 및 준내구재가 늘어나면서 증가
(전월대비 5월 1.1% → 6월 1.3%)
설비투자는 항공기 등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증가
(전월대비 5월 14.1% → 6월 0.5%)

선행지표인 국내기계수주도 증가(8.5% → 11.9%)

건설기성액은 건축 및 토목이 모두 늘어나면서 큰 폭으로 증가

(전월대비 5월 3.8% → 6월 14.3%)

선행지표인 건설수주액은 증가 전환(-5.4% → 37.0%)

전년동월대비로는 소매판매가 증가세를 이어가고 설비투자도 늘어났으며 건설기성액은 감소세가 둔화

2. 생산활동
6월중 제조업 생산은 자동차,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증가(전월대비 5월 1.6% → 6월 0.7%)

전년동월대비로는 견조한 증가세 지속(8.3% → 6.4%)

평균가동률이 전월(81.4%)보다 1.1%p 높아진 82.5%를 기록하였으며, 재고출하비율도 재고가 출하보다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상승 전환(97.2 → 98.2)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업 및 출판·영상·방송통신 등이 호조를 보이면서 증가(전월대비 5월 0.8% → 6월 0.9%)

전년동월대비로는 증가세 확대(3.4% → 3.6%)

전산업 생산*은 건설업, 서비스업, 공공행정, 광공업 등이 모두 늘어나면서 1.9% 증가(전월대비 5월 1.8% → 6월 1.9%)

3. 고용 및 임금
7월중 취업자수(계절조정)는 전월대비 4만명 감소
(전월대비 6월 +5만명 → 7월 -4만명)

전년동월대비로는 34만명 증가(+47만명→+34만명)

산업별로는 농림어업(-1만명→-3만명)과 제조업(+0만명→-4만명)이 감소하였으나 건설업(+0만명→+2만명) 및 서비스업(+9만명→+3만명)은 증가

실업률(계절조정)은 전월과 같은 3.3% 수준

4. 경기종합지수
6월중 경기동행지수(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3p 상승 (5월 100.3 → 6월 100.6)

■상승지표(7개):광공업생산지수, 건설기성액, 서비스업생산지수, 도소매업판매액지수, 내수출하지수, 수입액, 비농가취업자수
■보합지표(1개):제조업가동률지수
경기선행지수(전년동월비)는 전월대비 0.4%p 상승
(5월 1.3% → 6월 1.7%)

■상승지표(6개):소비자기대지수, 기계수주액, 자본재수입액, 건설수주액, 종합주가지수, 금융기관유동성
■하락지표(4개):재고순환지표, 순상품교역조건, 구인구직비율, 장단기금리차

5. 물가 및 부동산가격
7월중 소비자물가는 4.7%(전년동월대비) 상승하여 전월보다 오름폭이 확대(6월 4.4% → 7월 4.7%)

전월대비로는 석유류 및 농축수산물을 중심으로 0.7% 상승(0.2% → 0.7%)

근원인플레이션율(전년동월대비)은 3.8% 상승(3.7% → 3.8%, 전월대비 0.3% → 0.3%)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대비 0.6% 상승(6월 0.7% → 7월 0.6%)

아파트 전세가격은 물량부족 현상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오름세를 지속(0.8% → 1.0%)

6. 대외거래
7월중 수출은 비IT 제품이 크게 늘어나면서 사상 최고치인 514억달러를 기록(6월 478억달러 → 7월 514억달러)

일평균 기준으로도 사상 최대치(20.8억달러 → 21.9억달러)

수입은 442억달러로 전월(449억달러)과 비슷한 수준
(6월 449억달러 → 7월 442억달러, 일평균 19.5억달러 → 18.8억달러)

6월중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개선에 힘입어 흑자규모가 확대
(5월 21.8억달러 → 6월 29.9억달러)

Ⅲ. 종합의견

최근 국내 경기는 상승세를 지속

6월중 소매판매 및 설비·건설투자가 전월보다 증가하고 7월중 수출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
― 생산 측면에서는 6월중 제조업 및 서비스업 모두 전월대비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건설투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요 및 생산지표들이 증가세 지속

앞으로도 우리 경제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겠으나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 회복세 약화, 유럽 국가채무문제 확산 조짐 등으로 성장의 하방리스크가 증대

소비자물가는 국제 원자재가격이 하락 움직임을 보이겠으나 농산물가격 상승 및 수요압력 등으로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전망

경상수지는 흑자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웹사이트: http://www.bok.or.kr

연락처

한국은행 공보실
02-759-401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