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연구소, “스마트폰 악성코드 급증”
- 올 상반기 110개, 7월 들어 107개로 급증
- 앱 설치 시 평판 조회, 공식 마켓 이용 필요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ASEC)가 집계한 결과 작년 8월부터 발견되기 시작해 올해 들어 본격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하반기에 발견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7개인 데 비해 올해 상반기에는 110개, 하반기 들어서는 7월 한 달 동안에만 107개가 발견돼 가파르게 급증하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의 증상은 위치 정보, 단말기 정보 등 개인 정보를 유출하는 행위가 가장 많다. 다음으로 원격 조종을 통한 통화 및 SMS 발송으로 무단 과금하는 형태, 정상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변조해 악성코드 설치 코드를 추가하는 형태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작년까지는 러시아에서 개발된 것으로 추정되는 악성코드가 많았으나 최근엔 중국에서 개발된 것으로 추정되는 악성코드가 많다.
안철수연구소 시큐리티대응센터 이호웅 센터장은 “스마트폰은 PC와 달리 이동성과 개인화가 특징인 만큼 개인 정보 유출이나 금전적인 피해에 노출되기 쉽다. 안드로이드 마켓에 올라오는 앱은 바로 설치하지 말고 평판을 지켜본 후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공식 마켓이 아닌 써드 파티 마켓은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안철수연구소는 안드로이용 보안 애플리케이션인 ‘V3 Mobile for Android (V3 모바일 안드로이드)’를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를 비롯해 LG전자, 모토로라, 팬택의 스마트폰에 공급 중이다. 또한 V3 Mobile+는 50여 은행 및 증권사에도 공급돼 스마트폰 금융 거래 시 악성코드 유입 및 작동을 방지한다.
안랩 개요
안랩(www.ahnlab.com)은 1995년 3월 창립된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 세계적 수준의 보안 기술력과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제품 및 서비스 역량을 갖춘 신뢰도 높은 기업이다. 설립 이래 꾸준히 성장해 2012년에 국내 패키지 소프트웨어 업계 최초로 매출 1000억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세계적으로 정보보안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1988년부터 쌓은 정보보안 노하우를 기반으로 시장을 개척해왔으며, 국내 보안 업체 중 유일하게 5대 국제 인증을 모두 획득해 글로벌 기업들과 대등한 기술력으로 경쟁하고 있다. 네트워크 및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보안 컨설팅, 보안 관제 등 최신 보안 위협에 다층적인 해법을 제공한다. 지능형 지속 위협(APT)에 대응하는 트러스와처, 디도스 등 네트워크 침입을 탐지/차단하는 트러스가드, 모바일 및 PC용 악성코드를 진단/치료하는 V3가 대표적 제품군이다.
웹사이트: http://www.ahnlab.com
연락처
안철수연구소 커뮤니케이션팀
황미경 부장
2186-6033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