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서 ‘신라의 문자’ 상설 전시회 열어
기록이 많지 않은 고대의 신라사를 연구하면서 문자가 새겨진 신라의 각종 유물은 신라의 정치, 경제, 제도 등의 사회상과 생활·정신문화를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이번 전시에는 율령반포(법흥왕 7 : 520년) 이전 신라가 지방에 대한 통제권을 넓히는 과정에서 지방민들의 고충을 해결해주는 내용이 담긴 포항 중성리신라비(501년 추정, 현존하는 신라의 가장 오래된 비)와 영일 냉수리신라비(503년 추정, 국보 제264호, 복제품), 경주 남산신성의 축조와 관련된 남산신성 제10비 등을 비롯하여 문자가 새겨진 중요 유물들이 공개된다.
뿐만 아니라 2011년 사천왕사지 발굴현장에서 출토된 추정 사천왕사 사적비(事蹟碑) 편과 이수(螭首: 비석 윗부분의 용무늬 장식) 편도 이번 전시회를 통해 최초로 일반인에게 공개된다.
이와 함께 삼국통일 이후 신라왕경의 확대 사실을 보여주는 문자가 새겨진 기와류, 음식과 관련된 토기류, 여러 가지 내용을 담고 있는 목간(木簡), 여러 용도로 사용했던 인장(印章)들도 함께 전시된다. 또한 각 유적지에서 발굴 조사한 명문이 있는 자기류와 고고학적인 현장에서 유적의 연대를 살필 수 있는 동전들도 함께 전시되어 경주지역에서 출토된 문자가 새겨진 다양한 유물을 만나게 된다.
아울러 이번 전시회는 신라인의 생활상을 그대로 전하는 1차 사료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신라의 역사, 그리고 경주의 역사와 문화를 고증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며, ‘신라의 문자’라는 새로운 테마의 전시에 국민과 경주시민의 많은 관람을 기대한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054-777-8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