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상반기 어업생산동향 조사 결과(잠정)
1. 총괄
상반기 어업생산량은 1,626천톤, 전년 동기 1,630천톤보다 4천톤(-0.3%) 감소
상반기 어업생산은 연근해어장으로 이동해 오는 어군(고기 떼)이 늘어 어획량이 증가한 반면, 자원 감소 등 원양어업의 조업 부진으로 생산량이 줄어 전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
- 연·근해어업 : (’10) 407 → (’11) 420천톤 ( 13천톤 / 3.3%)
- 천해양식어업 : (’10) 920 → (’11) 918천톤 ( -2천톤 / -0.2%)
- 원 양 어 업 : (’10) 289 → (’11) 273천톤 (-16천톤 / -5.5%)
- 내수면어업 : (’10) 15 → (’11) 14천톤 ( -1천톤 / -3.5%)
생산금액은 3조4,985억원, 전년 동기 3조3,326억원 보다 1,659억원 (5.0%) 증가
생산량 감소에 따른 연·근해어업 및 원양어업 어획물 가격 상승으로 생산금액 증가
- 연·근해어업 : (’10) 1조5,351 → (’11) 1조6,765억원(1,414억원 / 9.2%)
- 천해양식어업 : (’10) 9,804 → (’11) 9,124억원( -680억원 / -6.9%)
- 원 양 어 업 : (’10) 6,766 → (’11) 7,437억원( 671억원 / 9.9%)
- 내수면어업 : (’10) 1,405 → (’11) 1,659억원( 254억원 / 18.1%)
※ 연·근해어업 주요어종 출하가격(상반기 kg당 평균 가격)
- 갈 치 : ('10) 4,656 → (’11) 9,768원(109.8% 상승)
- 참 조 기 : ('10) 5,056 → (’11) 7,196원( 42.3% 상승)
- 오징어(국산) : ('10) 2,908 → (’11) 4,305원( 48.0% 상승)
- 오징어(원양) : (’10) 2,218 → (’11) 3,294원( 48.5% 상승)
2. 어업별 생산동향
□ 상반기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420천톤, 전년 동기 407천톤 보다 13천톤(3.3%) 증가
연·근해어업은 멸치, 고등어, 오징어 등 회유성(떼를 지어 이동하는) 어종 서식에 적합한 수온대가 형성되면서 어군의 밀도가 높아 어획 실적이 증가
주요 어종인 고등어(80.9%), 오징어(63.9%), 멸치(18.6%), 붉은대게(5.7%) 등은 각각 증가한 반면, 갈치(-55.5%), 꽃게(-22.8%), 낙지(-11.1%), 참조기(-8.3%) 등은 생산이 감소
□ 천해양식어업 생산량은 918천톤, 전년 동기 920천톤 보다 2천톤(-0.2%) 감소
전년도 태풍(곤파스)에 의한 양식시설 파손, 겨울철 어류양식 동해 피해로 생산 감소
해조류의 생산량 비중이 높은 김(52.6%), 다시마(17.1%), 어류의 넙치(5.3%) 등은 증가한 반면, 시설량 감소에 따른 미역(-33.8%), 조피볼락(-29.6%), 참돔(-44.8%) 등은 각각 감소
□ 원양어업 생산량은 273천톤, 전년 동기 289천톤 보다 16천톤(-5.5%) 감소
원양어업 생산량은 조업국(미크로네시아, 마셜) 입어 계약만료, 자원 감소 등 공해상의 조업 부진으로 어획량 감소
가다랑어(14.7%), 꽁치(26.2%) 등은 각각 증가한 반면, 황다랑어(-55.3%), 눈다랑어(-5.0%), 남빙양새우(-37.8%), 오징어(-8.2%) 등은 각각 감소
□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14천톤, 전년 동기 15천톤 보다 1천톤(-3.5%) 감소
봄 가뭄으로 인해 하천의 수량부족과 6월 호우로 인한 어로활동 위축 및 보양식 어종인 뱀장어, 잉어 등 수요 감소로 생산량 감소
송어(24.3%), 메기(13.6%), 우렁이(32.5%) 등은 각각 증가한 반면, 생산 비중이 높은 뱀장어(-12.0%), 잉어(-15.3%), 다슬기(-9.8%)는 각각 감소
3. 시도별·품종별 생산동향
□ 상반기 시·도별 어업생산동향
국내 총 어업생산량은 1,353천톤 중 전남 687천톤으로 50.8%를 차지하였으며, 경남 303천톤(22.4%), 부산 141천톤(10.4%) 순
-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420천톤 중 경남 104천톤, 부산 94천톤, 전남 69천톤, 경북 50천톤, 충남 31천톤, 제주 25천톤 순
- 천해양식어업 생산량은 918천톤 중 전남 615천톤, 경남 199천톤, 부산 47천톤, 전북 17천톤, 충남 14천톤 순
-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14천톤 중 전남 3.2천톤, 전북 2.6천톤, 경기 1.8천톤, 충남·강원 1.4천톤, 경남 1.1천톤 순
□ 품종별 생산동향
연·근해어업에서는 멸치가 97천톤(23.0%)으로 가장 많이 어획되었으며, 오징어 36천톤(8.6%), 고등어 25천톤(6.0%) 순임
천해양식어업 생산은 김이 242천톤(26.3%)이며, 미역 237천톤(25.8%), 다시마 170천톤(18.5%), 굴 159천톤(17.4%) 순임
원양어업 생산은 다랑어류* 142천톤으로 51.9%를 차지하며 오징어 60천톤(22.0%), 남빙양새우 17천톤(6.2%) 순임
* 다랑어류 : 가다랑어, 황다랑어, 눈다랑어
내수면어업 생산은 뱀장어 3.3천톤(23.4%), 메기 2.4천톤(16.8%), 송어 1.6천톤(11.5%), 붕어 1.4천톤(9.9%) 순임
통계청 개요
통계의 기준설정과 인구조사, 각종 통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외청이다. 정부대전청사 3동에 본부가 있다. 1948년 정부수립 때 공보처 통계국으로 출범해 1961년 경제기획원으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1990년 통계청으로 발족했다. 통계의 종합조정 및 통계작성의 기준을 설정하며, 통계의 중복 방지 및 신뢰성 제고, 통계작성의 일관성 유지 및 통계간 비교를 위한 통계표준 분류의 제정 개정 업무를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사회통계국 농어업통계과
사무관 정대성
042.481.2595
-
2018년 1월 2일 13:17